본 연구는 베이비부머 은퇴자를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은퇴자의 사회 적 관계망과 성공적 노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2025년 6월 1일부터 7월 30일까지 S시와 K군에 거주 하는 베이비부머 은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60부 중 불성실 응답 16부를 제외한 244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선행연구에서 개발·활용된 사회적 지 지 척도(25문항)와 삶의 만족도 척도(16문항)를 사용하였고, 수 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 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 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은 은퇴자는 삶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 중 정서적 지지와 평가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 쳤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 도 수준에서 부분적인 차이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은퇴자 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정서적 교류와 사회적 인정이 중 요한 요인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지역사회와 복지기관은 은퇴자 들이 다양한 사회적 관계망을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정서 적·사회적 지원 프로그램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특히 본 연구는 기존 연구가 주로 일반 노인을 대상으로 하거나 특정 집단에 국 한된 것과 달리, 베이비부머 세대라는 세대적 특수성에 주목하였 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고령화 시대에 퇴직을 맞이하는 사람들은 회복탄력성과 심리적 우울의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한국 사회의 경제 사회분야에서 중심적 역할을 주도해 온 베이비부머 세대의 퇴직이 시작되면서 이들의 퇴직 이후의 삶에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태숲이 가지고 있는 산림치유인자들을 활용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통해 베이비부머 은퇴자들의 회복탄력성,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베이비부머 세대 58명을 대상으로 3그룹으로 구분하여 그룹 간 차이를 검정하였다. 그 결과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한 그룹(FHPG)은 자율적인 숲 활동 그룹(FHNG) 과 일상생활 그룹(DLG)에 비하여 회복탄력성이 매우 유의미하게 증가되었고, 우울감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따라서 은퇴자들의 자율적인 숲 활동 보다도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가 향후 은퇴자들의 회복탄력성과 우울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effective forest healing programs for retirees by identify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s. A survey was conduct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verall perceptions of forest healing, and preferences for forest healing programs, targeting a total of 258 retirees visiting a natural recreation forest and a healing forest. The results of the survey suggested that the awareness of the forest treatment program and the hope of participating in it were both high, but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as low. Among the forest healing programs, the order of preference was "Breath in the forest", "Wind bathing and sunbathing", and "Feeling negative ions in the valley".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forest healing program for retirees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such programs in the future.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tirees who sought not to be reemployed or join an organization but, instead, to be self-employed. This study verified self-employment by regional and/or educational features to determine the self-employment factors and the policies require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Models and hypotheses were used to verify the conversion into self-employment depending on retiree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is study investigated regions according to precedent studies and used SPSS 18.0 as follows. First, frequency was us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econd, a factor correlation analysis was done.
Results – Hypothesis 1, which stated that, "retirees with low educational background often start a self-employed business," was significant. Hypothesis 2, which stated that, "retirees in metropolitan areas frequently start a self-employed business," was significant. Hypothesis 3, which stated that, "retirees in a megalopolis frequently start a self-employed business," was significant.
Conclusions – A preliminary startup education was needed to lessen the losses. Retirees should have preliminary knowledge of actual self-employment conditions to be given a startup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