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anagement of pollutant emissions from industrial sites involves various crucial steps, including estimating emission quantities and assessing their impact on surrounding areas. While emissions from point sources, such as exhaust outlets, are relatively easier to manage, emissions from area sources, such as workshops and livestock facilities, are often challenging to measure due to various constraints. To address this issue,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for estimating emissions from area sources by utilizing data collected at site boundaries and applying a reverse modeling approach. Using data from actual livestock facilities, along with reverse modeling results, this study identified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facility area and the number of livestock raised. Correlation analyses revealed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facility area and the average odor emission rate, as well as between the number of livestock and the average odor emission rate. In addition, the results of reverse modeling confirm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odor emissions, the number of livestock, and the facility area.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eveloped an odor emission factor for livestock facilities using the number of livestock and the facility area as activity indicators. The odor emission factor is expressed in units of OU/s/pig/m², where “OU” represents odor units, “s” denotes seconds, “pig”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livestock, and “m²” refers to the total facility area. By multiplying the number of livestock by the facility area, the total odor emission rate (OU/sec) can be calculated. Unlike traditional emission factors that rely solely on the number of livestock, this newly developed factor incorporates all facilities contributing to odor emissions within a livestock operation. This approach allows for the estimation of odor emissions using external measurement data and facility information, even in cases where direct measurements are impractica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effectively utilized for odor evaluation and management in livestock facilities.
Controller modeling is essential for the design. It allows various control techniques to be simulated in advance, and various interpretations can be performed. If this is not the case, we need to reverse engineering in the real system developed by others. In this paper, controller modeling was reversely designed using the frequency test results of the target system. First, the characteristic equation of the target equipment was based on and a block diagram was assumed. Thereafter, controller variables were estimated using the frequency test results for each of the four control loops. In addition, time response simulations were performed using the estimated controller modeling. This method is thought to be of great help to reverse engineering in situations where there is completed equipment but no controller modeling.
해수담수화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물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최적 기술 중 하나이다. 막분리 및 투과 현상의 근본적인 이해는 차후의 막여과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현재 막기술 증진을 위한 통합적 디자인, 최적화 제어법, 그리고 중장기적 유지관리를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물질 전달 및 여과 현상에 대한 기존 의 주요 모델들을 상세히 재검토하고, 통계물리학에 근간하여 주요 막분리 현상들을 이론적으로 분석하며, 원천적 모델에 기 초한 물리적 의미와 그들이 실제 막공정에서 미치는 영향들에 대해서 함축적으로 토의하고자 한다. 이론적 재검토의 과정에 서 새로이 유도된 복합적 막오염도(Combined Fouling Index (CFI))의 소개도 포함한다.
전 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물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수재이용과 해수담수화 공정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정삼투-역삼투 융합공정은 해 수를 유도용액으로, 하수처리수를 유입수로 하여 정삼투 공정에서 유도용질의 회수 없이 희석된 해수를 역삼투 공정을 통해 하수재이용과 해수담수화를 동시 에 달성할 수 있는 공정으로 최근 각광받고 있다. 이 융합공정은 정삼투 공정과 역삼투 공정의 단점을 상호 보완하는 저에너지 공정으로 차세대 해수담수화 시장을 이끌어 나갈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삼투, 역삼투 막의 특성과 융합공정의 운영인자를 반영한 공정모사를 통하여 정삼투-역삼투 융합 공정의 소비에너지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최적 운영조건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인 제품들은 복합곡면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해석곡면과 자유곡면을 동시에 가지며 응용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충분한 정보를 가진 모델링 기법이 필요하다. 초기 설계단계에서는 정확한 데이터나 형상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지속적인 수정, 보완작업을 통하여 최종 모델에 도달하게 된다. 최근에는 데이터 측정장치의 발달로 물체 표면의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측정데이터로부터 곡면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한 역설계, CAD/CAM등 여러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역설계를 통한 블레이드를 모델링하여 여러가지의 복합곡면을 재구성하였다.
곡면가공에서 5축 가공은 복잡한 형상의 공작물에 대한 가공의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3축가공보다 자유곡면 가공을 위한 시도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가공 시 충돌과 간섭의 문제를 해결해야하는 어려움으로 공구경로 생성에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다양한 5축 CAD/CAM Software가 개발 되었고 이를 활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진 대표적인 형상인 Impeller의 복잡한 형상을 CAD Software를 이용하여 모델링 하였고, CAM Software로 공구 경로를 생성 및 검증하였으며 5축 가공기로 직접 가공하였다.
In reverse engineering area, it is rapidly developing reconstruction of surfaces from scanning or digitizing data, but geometric models of existing objects unavailable many industries. This paper describes new methodology of reverse engineering area, good strategies and important algorithms in reverse engineering area. Furthermore, proposing reconstruction of surface technique is presented. A method find base geometry and blending surface between them. Each based geometry is divided by triangular patch which are compared their normal vector for face grouping. Each group is categorized analytical surface such as a part of the cylinder, the sphere, the cone, and the plane that mean each based geometry surface. And then, each based geometry surface is implemented infinitive surface. Infinitive average surface's intersections are trimmed boundary representation model reconstruction. This method has several benefits such as the time efficiency and automatic functional modeling system in reverse engineering. Especially, it can be applied 3D scanner and 3D copi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