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ust is an individual’s belief that an exchange will happen in a manner consistent with one’s confident expectations. In social networking sites (SNS), uncertainty is usually higher due to the high level of user-generated contents and the lack of face-to-face interactions. Despite this, the enhancement of experience with exchange parties could reduce the uncertainty and the increase tendencies for social commerce adoption through the increase in trust. Information seeking on SNS enhances the users’ knowledge about a product through access to the pool of information. Familiarity with SNS enhances users understanding of the shopping process and reduces the intricacy of the decision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SNS and purchase intentions. We propose a model including trust, information seeking, familiarity with SNS, and purchase intentions of fashion products on SNS.
Data were obtained from 206 respondents who had experienced the purchase of fashion products on SNS. Mean age of the respondents was 22.1 years old and nearly 69.4 percent of the subjects were women. Approximately 84.0 percent reported a monthly income/allowance of less than US$400 and the majority (57.9 %) spent less than US$100 per six months on fashion products (e.g., apparel, shoes, etc.) purchases on the SNS. The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by AMOS 23.0 using a correlation matrix with maximum likelihood approac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relatively acceptable (chi-square value = 88.02, df = 57, p = .005; GFI = .94, AGFI = .90, RMR = .04). Cronbach's alphas were ranged between .80 and .88. We used Facebook as the best known SNS to empirically test our model.
Results from a survey of Facebook users showed that trust in SNS increases information seeking which in turn increases the familiarity with SNS. In addition, trust and familiarity with SNS increase the intention to purchase fashion products on SNS. Findings indicate that trust in SNS was found to be a key predictor of intention to purchase fashion products from SNS directly and indirectly.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소셜미디어는 소비자가 직접 콘텐츠를 생산하고 유통하는 프로슈머 역할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스마트폰의 확산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활성화를 가져왔다.사회복지기관에서도 SNS를 이용하고는 있지만, 아직 사회복지기관 안에서는 SNS를 이용한 홍보에 관한 연구가 사회복지기관에서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실정이다. 현재 사회복지기관의 SNS 이용은 SNS 계정을 통한 정보의 전달만이 주로 이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SNS의 이용행태를 분석하고 SNS의 이용행태와 이용동기가 SNS 홍보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효율적인 SNS 홍보에 대해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독립변수로서 SNS 이용자의 이용행태와 이용동기를, 종속변수로서 이미지 향상과 자원개발을 설정하여 연구모형과 구체적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연구방법은 설문조사를 통해 SNS 이용행태와 이용동기가 홍보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제시하고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이용된 SNS는 카카오톡, 페이스북 순으로 나타났고, SNS 이용 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NS이용자의 이용행태가 성별, 연령, 직업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NS 이용행태에 따른 홍보효과성을 분석한 경우엔 SNS 이용빈도와 홍보효과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용행태와 이용 동기도 홍보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기관 SNS 이용 빈도가 높을수록 홍보효과성이 높게, 이용 동기가 높을수록 홍보효과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SNS 사용자들이 온라인을 기반으로 생성하는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온라인 대인관계 영향 요인들을 문헌적 조사와 실증적 조사를 거쳐 수집한 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PLS와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인과적 분류에 따른 개인적, 관계적, 환경적 요인과 사회적매력, 육체적매력, 정보게시성, 호혜성, 유사성, 컨텐츠퀄리티, 웹외양, 공동공간감 등 8가지 세부 요인들은 대인관계 차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검증되었다. 최종적으로 이 요인들을 SNS 사용자들의 온라인 기반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