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need for an intelligent information-based ship accident prevention and control system for various marine accidents is very clearly emerging. As it is a variety of marine accidents, the causes are divers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prevent these marine accidents and their causes in advance. Therefore, a study was conducted on an intelligent information-based ship safety management decision support system that provides information necessary for decision-making at sea and land through an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for ships that informs safety-related risks in real-time ship operation. In the future, we intend to pursue the development of a system that can aim for safer and more economical ship operation by linking it to navigation instruments through the evaluation and analysis of AI, IoT, and big data.
To efficiently manage the waste packages like drums, it is meaningful to utilize the data of placement and emplacement of disposed waste in geological storage. For the transparent and real-time management of disposal data, both technical as well as administrative factors must be included. To this end, MIRAE-EN Co., Ltd. has developed a radioactive waste tracking and management system (m-trekⓇ v1.0) through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life cycle which is supported by KETEP. Enhancing the functional features of m-trekⓇ, IoT-based drum location measuring and data of those drums, such as position, radionuclides, activity, and dose etc., are to be collected and monitored through data modeling and visualization, which might be utilized in emplacing the loaded drums according to specifically certain criteria of internal and external data of disposal site. Position measuring using Beacon utilizes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to locate the correct position in 3D area. Since RSSI is affect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t is required to corrective optimization. In addition, error and deviation of previously applied Gaussian filter method, was corrected and improved through AI learning model. According to this location information and those data, the prototype in future provides the visualization of drum position and its relevant data for administrative purpose such as monitoring, emplacement and other management polic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nuclear industry and the increase in the use of radioactive materials, the generation of radioactive waste is increasing. As the generation of radioactive waste increases, the occurrence of related safety accidents is also increasing,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radioactive waste monitoring technology to prevent such accidents in advance and efficiently manage radioactive waste.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various ICT technologies such as Internet of Things (IoT), Augmented Reality (AR), and Virtual Reality (VR) that can help with the safety management of these radioactive wastes are being developed. In this study, a radioactive waste monitoring technology was developed using ICT technology, such as management of the entire cycle history of waste using Quick Response (QR) codes, and development of AR visualization technology for small packages of radioactive waste. In addition, by using IoT technology to collect desired data from sensors and store the results, after the waste drum is loaded in the waste storage, a technology was developed to track and monitor the history and movement of the waste drum from repackaging to transfer to the storage. The data required for monitoring the radioactive waste drum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whether the drum is open or closed, temperature and humidity, etc. To collect this information, a drum monitoring technology was built with a 2.4 G wireless router, an anchor constituting a virtual zone, a tag to be mounted on the drum container, and a WNT server that collects sensor data. The network tool provided by WirePas was used for network configuration, and the status of gateways and nodes can be monitored by interworking with the WNT server. The configured IoT sensor technology were tested in a waste storage environment. Four anchors were installed and linked to the network to match the virtual zone and the real storage zone, and it was confirmed whether the movement of the tag was recorded on the network while moving the tag including the IoT sensor for analyzing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can contribute to the safety management of radioactive waste and establishment of Waste Acceptance Criteria (WCP) by and managing the history and monitoring the waste in the entire cycle from repackaging to disposal.
지방관리 무역항은 비교적 중소형 무역항으로 지방도시의 경제력 강화 및 지역 산업 부가가치 제고를 위해 활발한 운영이 필요 하다. 또한, 선박대형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국제적 흐름에서 지방관리 무역항의 효율성 증대를 위해 항만기본계획상 기존 선석규모 대비 대형선박의 접안이 필요하며, 부두 및 선박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대형선박 접안시 계류시설 확충 및 안전운용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관리 무역항 중 옥계항을 선정하여, 현행 2만 DWT급 부두에 5만 DWT급 선박이 계류시 시나리오에 따른 계류안전성 평 가를 수행하였다. 평가 결과, 대상 부두에 100톤급 계선주를 신설하였을 경우, 긴급이안기준은 기존 파주기 3.2초에서 풍속 27노트, 파주기 5.0초에서 풍속 22노트의 계류 한계 조건이 파주기 3.2초에서 풍속 41노트, 파주기 5.0초에서 풍속 36노트로 약 50 %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지방관리 무역항에 기존 선석규모 대비 대형선박 접안시 부두 계류시설의 안전성 강화와 안전운용기준 설정 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longhorned tick, Haemaphysalis longicornis, is one of the vectors of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virus (SFTSV) in human. The use of pyrethroid insecticides induced pest resistance and environmental residual toxicity. Here in this work, our interest was given to the selection of highly virulent fungi against longhorned tick. A total of 101 fungal pathogens were assayed by dipping the nymph stage of ticks into a conidial suspension. Interestingly of the several species, one species showed high virulence and mycosis were observed in 7-15 days. Highly virulent strains were selected, and semi-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As a result, the control efficacy of the isolate was over 80% at 30 days of treatment. This work suggests that entomopathogenic fungi could be used to effectively control longhorend ticks.
연안여객선의 사고는 많은 인명의 손실로 이어질 수 있어 그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2014년 발생한 비극적 세월호 전복사고 이후 이러한 사고가 재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연안여객선의 안전 확보와 관련한 법제의 개정 및 정비 작업이 진행되어 왔다. 이에는 선박 자체의 감항성 유지를 위한 설비 및 선체와 관련한 규정, 선원의 교육·훈련 등 질적·양적 제고를 위한 규정, 그리고 연안여객선의 안전관리체계의 개선을 위한 규정 등의 개정 및 정비가 포함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특히 연안여객선의 안전관리와 관련한 법제의 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여 연안여객선 안전 확보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연안여객선 안전관리 법률로서의 해운법의 부적절성, 연안여객선 구분의 부적절성, 선령 연장의 부적절성, 안전관리주체의 혼란성, 그리고 기타 여객선의 개념, 선원의 질적 개선, 과적 방지 및 승객 안전 고지 등에 대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경인 아라뱃길 사업과 관련된 환경오염문제 및 경제적 실효성에 대한 논란은 접어두고 2011년 10월에 개통을 앞둔 현 상황에서는 수로가 완성되어 개통된 이후 선박 통항 안전성 확보를 통하여 사고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인명, 재산 및 환경을 적극적으로 보호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야 할 시점이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경인 아라뱃길이 우리나라 최초의 내륙수로가 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수로의 운영 및 선박 통항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운항 및 관리규칙의 제정에 대해 검토해 보고 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안은 세계 주요 운하의 통항 규칙 검토 및 경인 아라뱃길의 특성을 고려하여 총 7개장으로 분류하여 일반규정, 선박통항에 관한 일반규정, 선박운항규칙, 제한사항, 비상대응사항, 통항 제한사항및 벌칙규정 등으로 구성하여 각각의 규정을 개관하고 있다.
최근 국제원자력기구와 방사성폐기물 분야 주요 선도국들은 리스크 차등접근법에 따라 방사성폐기물의 분류기준을 세분화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맥락에서 극저준위폐기물을 새로운 방사성폐기물 범주로서 신설하거나 이에 대한 별도의 최적 관리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국제적으로 운영 사례가 점차 증가되고 있는 주요 국가의 극저준위폐기물 전용 공학적 표층매립형 처분시설들은 방사성핵종의 격리 및 지연성능 측면에서 1960년대 주로 건설된 천층 트렌치형 중·저준위폐기물 처분시설 보다 개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주요 선도국들의 극저준위폐기물 관리방안은 규제해제 제도, 중·저준위폐기물 처분시설 및 비원자력 폐기물매립장의 활용 가능성, 사회수용성 등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에서도 향후 대형 원자력시설의 해체에 대비하여 극저준위폐기물의 최적 관리방안에 관한 종합적인 검토와 논의를 통해 리스크 차등접근법에 따른 최적화된 관리방안을 사전에 수립하고, 이를 국가 방사성폐기물 관리정책 및 관리계획의 틀 내에서 체계적으로 시행할 필요가 있다.
나노기술이 급격히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산업, 의학, 환경 분야에서 나노물질의 사용 또한 급증하고 있다. 나노물질이란 1~100nm 크기의 미세입자로서 가정에서 흔히 사용하는 세정제나 항균코팅제, 페인트, 화장품, 전기전자제품, 토너 뿐만 아니라 의료기기, 배터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상당량의 나노물질들은 제조사업장이나 실험실에서 폐기되거나 일반소비자들이 나노제품을 사용한 후 결국 나노물질을 함유한 폐기물, 즉 나노폐기물의 형태로 배출되고 있다. 이들 나노물질이나 제품이 인체건강에 미치는 안전성에 대한 문제 또한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으나, 현재 별도의 관리 없이 기존 일반폐기물들과 함께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나노폐기물의 주요 배출원 및 노출경로를 조사하고, 특히 주요 폐기물 처리시설 중 소각시설에서의 처리실태를 바탕으로 향후 나노폐기물 안전처리를 위한 연구 추진과제 및 관리전략을 마련하였다. 특히, 국내 유통량 및 선행연구 적용사례, 해당 물질의 유해 특성에 기반하여 4가지 나노물질(n-TiO2,n-ZnO, n-Ag, CNT)을 선정하였으며, 이들 나노물질을 대상으로 소각시설로의 유입 및 배출 시나리오(I, II, III)를 통해 물질흐름을 예측하였다. 이 중 국내 폐기물 처리비율을 반영한 시나리오 III에 따르면, n-TiO2의 경우 연간 약 48톤이, n-ZnO는 178톤이 소각시설로 유입된 후 대부분 매립되며(65%), n-Ag는 상대적으로 소량 생산되어 7톤 정도 소각시설로 유입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앞서의 흐름 파악 및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향후 나노폐기물 안전처리를 위한 추진과제 및 관리전략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에 이어 향후 폐기물 부문, 화학물질 부문과 수처리 부문(슬러지류의 경우) 간 통합적 협력 및 정책 개발을 통해 나노폐기물을 보다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Considering possibility of public health risk and environmental hazards, it is important to manage the disposal of“medical waste” properly. Although Korean government has made many efforts to provide safe medical waste managementsystem, some institutional problems are still existing and need to be improved. We focused on medical waste managementin emergency situations. Currently, the most common method of medical waste disposal is off-site incineration, whichaccounts for approximately 99.6% of total waste. However, in case some incineration facilities stopped unexpectedlybecause of fire, strike, breakdown, etc., inappropriate management of the medical waste has been of importantenvironmental concern due to potential secondary infection. This paper presents current limitations of resignment-relatedregulation and suggests improvement methods for effective and safe treatment of the medical waste, especially inemergency situ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