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어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 요소 중 하나는 한자계 어휘에 대한 교육이 다. 어떤 언어의 학습에서와 마찬가지로 한국어 학습은 또 하나의 다른 언어적 도 구를 학습하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한자계 어휘는 한국어 어휘의 중추적 요소이 다. 곧 한국어의 학습 목표에 따라 학습자는 더 많은 한자계 어휘를 습득하고 활 용해야 하는 필요성이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한자와 한자계 어휘교육은 다른 한자문화권 언어 교육으로의 접근 용이성을 높여주며, 긍정적 전이를 통한 교육의 효율성을 담보할 수 있는 중 요한 요소이며, 그 국가의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고 수용하는데도 매우 중요한 요 소로 작용할 수 있다. 결국 한국어 교육에서 수행되는 한자와 어휘 교육은 1차적으로는 한국어를 교육하려는 목적에서 그 유용성을 가지지만, 다른 측면에서 볼 때 그 한자문화권 모 든 국가의 전통문화를 수용하고, 그 국가의 개별 언어를 학습하는데 일정 정도 기 여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내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문”교과의 교과목표와 상당 부분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한문교과가 한국만의 독특한 개별교과로 만 유의미한 것이 아니라 한자문화권의 기초교양교과로 역할이 변경 혹은 증대될 수 있음을 말해준다. 본고는 이런 측면에서 한자계 어휘 교육이 특정 국가의 언어를 벗어나 한자문 화권 전체의 공통적이며 기본적인 교육이 될 수 있음을 말하였다.
        15,500원
        2.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國語에는 많은 漢字語가 있다. 1957年에 완간된 〈(조선말)큰사전〉에 의하면 固有語(순수한 우리말)는 56,115 單語인 데 비하여 漢字語는 81,362 單語나 된다. 國語辭典에는 "국어(國語)"처럼 標題語 바로 뒤에 괄호 안에 漢子로 表示된다. 그런데 最近에 전 한글학회 辭典編纂員이었던 `한말연구회` 정재도 회장은 그 중 상당수의 單語를 固有語라고 하는 근거 없는 主張을 내어 놓고 있으며, 그의 주장을 믿고 일부 사전에서는 이미 語源 漢字를 없애 버린 것도 있다. 本稿에서는 정재도회장이 固有語라고 주장한 `부실(不實), 남사당패(男寺黨牌), 도배(塗褙), 기별(奇別·寄別), 표(標), 온돌(溫突), 방(房), 공부(工夫), 선물(膳物), 선사(膳賜)`등이 漢字語임을 논증하였다. 이 중에는 古代漢語에서 바로 借用한 것도 있고, 우리나라에서 만들거나, 固有語를 漢譯한 것도 있으나 各 形態素 [morpheme, 쉽게 말해 每個 글자]는 漢語이므로 틀림없는 漢字語다. 정재도씨가 이것들을 모두 漢字語라고 하는 이유는 그가 철저한 조사를 하지 못하여서 그런 것도 있지만 일부는 漢字에 대한 혐오(嫌惡) 등 偏狹한 民族主義 때문에 故意的으로 固有語라고 우긴 것도 있는 것 같다. 漢字語가 많다고 劣等感을 느끼는 것은 잘못된 관념이다. 英語에는 우리말 못지 않게 外來語가 많은데 그 중 대부분이 佛語를 통하여 간접 借用한 라틴어다. 그런데도 영어사전에는 이런 말들의 語源을 상세하고 당당하게 밝히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우리는 일찍부터 中國과 文化 交流를 하였고 文字가 없을 때 漢字로 文字生活을 하면서도 우리 國語를 완벽하게 지켜 온 우수한 民族이다. 漢字語가 많은 것을 부끄럽게 생각할 필요는 없다. 漢字語는 우리말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었다. 時代錯誤的인 劣等感은 버려야 한다.
        6,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