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9.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들의 사회의 안정, 교육의 기회균등 및 사회 참여의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장애인들의 생활수단인 휠체어 등 사용이 자신의 삶의 가치와 독립적인 이동을 위한 필수적인 활동보조기기는 일상생활과 이동에서 레저, 스포츠에 이르기까지 장애인의 욕구와 권리를 충족시키기 위해 발전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휠체어 사용 장애인을 대상으로 이동권 수준에서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 분석함으로서 장애인의 안전한 이동권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 하기 위한 보조기기 등 기술적 방안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4,000원
        3.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전동휠체어를 사용하는 중증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중증장애 인들의 전동휠체어에 대한 사용경험과 전동휠체어에 대한 그들의 욕구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전동휠체어를 사용하는 중증장애인 5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에 서 사용된 질문은 Krueger 와 Casey가 제시한 4가지 질문방식을 기반으로 하였다. 인터뷰내용은 녹음 하고 2명의 저자가 각각 전사하여 공통된 내용에 대해 합의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자들은 전동휠체어 구조물과 휠체어 자체의 결함, 사후관리서비스에 대한 문제점을 경험하였으 며 이에 따라 전동휠체어의 추진 및 지지구조물, 중증장애인에 대한 평가 및 전동휠체어에 대한 처방을 포함하는 보조공학 서비스의 개선 및 확대를 원하고 있었다. 또한 전동휠체어에 대한 구입 및 사후관리 서비스에 대하여 국가차원에서의 현실적인 재정적 지원을 기대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작업치료사는 전 동휠체어 처방 시 휠체어 사용자가 속한 환경, 원하는 활동을 고려하여 적절한 휠체어 추진구조물을 제 공해줘야 하고 사용자의 기능을 고려한 전동휠체어 착석옵션과 같은 지지구조물을 처방하여 중증장애인 이 기능적 활동을 수행하도록 도와야 한다. 결론 : 본 연구는 전동휠체어 처방 시 작업치료사가 고려해야할 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효율 적인 보조공학 서비스를 위한 제도적 변화를 이끄는데 있어 기초적인 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4,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