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18.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ird screen meshes are installed at the air inlet and outlet ducts of spent fuel storage casks to inhibit the intrusion of debris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The presence of these screens introduces an additional resistance to air flow through the ducts. In this study, a porous media model was developed to simplify the bird screen meshes. CFD analyses were used to derive and verify the flow resistance factors for the porous media model. Thermal analyses were carried out for concrete storage cask using the porous media model. Thermal tests were performed for concrete casks with bird screen meshes. The measured temperatures were compared with the analysis results for the porous model. The analysis results agreed well with the test results. The analysis temperatures were slightly higher than the test temperatures. Therefore, the reliability and conservatism of the analysis results for the porous model have been verified.
        4,000원
        3.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potential of thermal treated oak sawdust(steaming and steam explosion) as horticultural medium component in plug seedlings production of Chinese cabbage(Brassica campestris L.). This study involves the chemical, physical characterization and growth test of thermal treated oak sawdust(steaming and steam explosion) in order to evaluate their use as components of horticultural media. A commercial peat moss and oak sawdust were used as control. The total carbohydrate, C/N ratio, pH, phenolic compound, total porosity and water holding capacity were 45.1g/100g dry wt, 425.1, 4.4, 141.8mg/g wt, 82.5%, 47.1% in oak sawdust and 39.2g/100g dry wt, 300.3, 4.7, 131.7mg/g wt, 84.9% and 49.2% in steamed oak sawdust and 30.3g/100g dry wt, 247.8, 5.7, 40.8mg/g wt, 92.3% and 51.7% in steam exploded oak sawdust, respectively. The mixtures of the horticultural media were prepared using different substrate as peat moss, oak sawdust, steamed oak sawdust, steam exploded oak sawdust and perlite to grow Chinese cabbage in a greenhouse. The seed germination, stem height and leaf area were 68%, 2.2cm, 1.1cm2 in OSP(containing 90% oak sawdust and 10% perlite) and 69%, 2.5cm, 1.5cm2 in SMP(containing 90% steamed oak sawdust and 10% perlite) and 87%, 3.0cm, 2.2cm2 in SEP(containing 90% steam exploded oak sawdust and 10% perlite), respectively. The leaf area SEP(containing 90% steam exploded oak sawdust and 10% perlite) was higher than that of PP(containing 90% peat moss and 10% perlite). This research indicates that steam exploded oak sawdust may be utilized as a suitable replacement for peat moss in horticultural media component for Chinese cabbage.
        4,200원
        4.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들어 청각 장애인들에게 정상인들이 소리로부터의 느끼는 청감과 유사한 느낌을 전달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시각은 물론 진동감과 같은 촉감을 활용하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특히 시각 정보의 보조 감각으로써 스피커나 진동 모터를 이용한 촉감이 제공되는 경우 생동감은 상당히 개선되는 측면이 있으나 정서감 측면에서는 그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사 청감을 재현할 수 있는 또 하나의 보조 감각으로서 열감을 설정하고 열감이 유사 청감 재현 효과를 가질 수 있는가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열감을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열감 재현 모듈을 구현하였다. 그리고 실험 대상자들에게 시각 정보와 더불어 청각 정보, 진동 촉감, 그리고 열감을 혼합한 다양한 형태의 자극을 제공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서 얻어진 데이터 통계 분석을 통하여 i) 영상과 함께 열감 자극을 제공하거나 또는 ii) 영상과 함께 열감 자극과 진동 자극을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가 영상만을 제공하는 경우보다 실험 대상자들이 영상과 소리로부터 느끼는 실제 열감에 더 가까운 유사 열감을 느낄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실험 대상자의 피부에 제공되는 열감이 유사 청감 재현 보조 매체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300원
        5.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난분 함수량에 따른 생육반응에서 건중에 비해 생체중의 변화가 현저하였다. 특히 난분 함수량이 0%± 5인 C point는 100%± 5인 A point에 비해 16.1g에서 4.7g으로 지하부의 생체중 감소가 매우 격감하였으나, 지상부의 생체중에서는 3.5g에서 2.1g으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건중에서는 현저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또한 엽록소와 총수용성 탄수화물(Total soluble carbohydrate)에서 용토 내의 함수량에 따른 현저한 차이를 볼 수 있었으나, 지상부와 지하부에 따른 다른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체내 총수용성 탄수화물량의 변화를 살펴보면, 지상부는 난분 내의 함수량이 0%± 5의 C point시점에서 0.2mg/g DW로 다소 감소함을 알 수 있었으나, 근권부에서는 100%± 5인 A point에서 0.14mg/g DW에 비해 50%± 5(B point) 그리고 0%± 5(C point)의 시점에서 0.22mg/g DW로 보다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난분 함수량에 따른 proline 축적량 변화는 100%± 5인 A point에 0.05mg/g FW 비해 0%± 5인 C point의 시점에서 0.6mg/g FW로 큰 변화를 볼 수 없었다. 한편, glycinebetaine에서는 지상부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나, 근권부인 뿌리에서 함수량이 100%± 5(A point)의 0.11mg/g DW에서 0%± 5인 C point의 시점에서 0.26mg/g DW로 2배의 증가를 불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