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량머루의 과립 크기와 생산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GA3와 TDZ 처리의 효과와 적정 처리 농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GA3 처리는 모든 처리구에서 모두 과립 비대 효과를 보였으며 100과 200mg·L−1 처리구의 과립이 가장 컸다. 또한 GA3 처리구는 착립수가 증가하여 과방중이 크게 생산되었으나 당도 및 산도에 전혀 차이가 없었다. 200mg·L−1 처리구에서 과피 오염 및 탈립과 같은 약해가 발생되었다. GA3와 TDZ 혼 용 처리에서는 GA3 혹은 TDZ의 농도가 높은 처리구의 과립이 크기는 크지만 과실의 성숙이 지연되어 당도가 낮고 산도가 높은 과실이 수확되었다. GA3와 TDZ를 처리했을 때 과피 조직은 세포층수에는 변화 없이 유관속 조직까지의 길이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개량머루의 GA3 와 TDZ처리는 세포 분열에는 영향 없이 세포 크기가 증가됨으로 인해 과립 크기가 증가하였다. 개량머루는 착립이 결정되는 시기가 짧기 때문에 착립 직후 2~3회에 나누어 처리해야 착립률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개량 머루의 과립 비대와 착립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GA3 100mg·L−1 이하의 단독 처리 혹은 GA3 50+TDZ 1.25mg·L−1의 혼용 처리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고 TDZ 처리에 의해 과실의 성숙이 지연되므로 성숙과를 수확하도록 주의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피오네’ 포도 무핵재배 생력화를 위한 생장조정제 이용과 착과량 조절이 과실의 특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착과량 조절에 의한 과방중은 신초당 70립/1송이로 하였을 때, 681.6 g으로 가장 무거웠으며,35립/2송이에서 가장 낮은 결과를 나타냈다. 과립중은 신초당50립/1송이에서 10.1 g으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던 반면, 송이수 및 착립수가 많을수록 낮아졌다. 품질은 신초당 50립/1송이에서 당도는 17.3 oBrix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하게높았고, 안토시아닌, 명도, 적색도 등도 좋았다. 수확기는 농가관행 70립/1송이 처리구의 8월 하순 대비 50립/1송이 처리구에서는 8월 상순으로 20일 정도 단축되었다. 이로서 신초당50립/1송이의 500 g 정도의 착과량 조절이 상품성 향상에 적정하였다. 무핵 생력화를 위한 GA3 + TDZ 혼용 1회 처리에서 과방중은 TDZ 농도가 높을수록 무거운 경향을 보였으며, 대조구 568.9 g 대비 모든 처리구에서 낮은 과방중을 보였으나,GA325 mg·L−1 + TDZ 10 mg·L−1처리 구에서 상품성을 향상할수 있었다. GA3에 CPPU와 TDZ 혼용 2차 처리의 경우, 과방중은 처리 농도가 높은 GA325 mg·L−1+CPPU 20 mg·L−1처리 구에서 694.2 g으로 가장 무거웠으며, GA325 mg·L−1 + TDZ 5 mg·L−1처리구와 GA325 mg·L−1+CPPU 10 mg·L−1처리 구에서 당도가 높고, 산도는 낮아 품질 면에서 상품성이 우수하였고,과립비대에 TDZ보다 CPPU의 영향을 더 잘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엽 5매 출현시 GA3 5 mg·L−1처리 구에서 착립밀도 개선에 노동력 절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influences of ethylene inhibitors (AgNO3 and silver thiosulfate) and cytokinins (BAP and TDZ) on shoot regeneration from cotyledon and hypocotyl explants of B. napus cv. Youngsan were investigated. The presence of 50 μM Silver thiosulfate (STS) in shoot regeneration medium formed shoots at 60-68% after 3-4 weeks of culture, which was enhanced by 2-fold compared to that of Silver nitrate (AgNO3). Moreover, cotyledon explants were more regenerative than hypocotyls; shoots from cotyledon explants began to occur 4-5 days earlier than that of hypocotyl explants. TDZ at a concentration of 8-10 μM was effective for shoot regeneration, compared with BAP. Consequently, the optimal shoot regeneration response was observed in medium supplemented with 50 μM STS + 8 μM TDZ. I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analysis, higher density of silver nanoparticles was shown to be accumulated widely inside the cell wall and plasmodesmata of regenerating leaf cultured in medium supplemented with AgNO3. By contrast, in the cell cultured in medium with STS, fine-grained deposits were partly observed in the surroundings of the cell wall.
The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was investigated on in vitro shoot proliferation from axillary bud explants of Hypericum erectum. To determine the optimal cytokinin for proliferation of axillay buds, we carried out screening four cytokinins (BA, kinetin, 2iP, TDZ). When nodal segments were cultured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4.5 μM TDZ (thidiazuron), a number of shoots were induced.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addition of TDZ to culture medium resulted in the induction of significantly more axillary buds than in the addition of other cytokinins.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TDZ for proliferation of axillary buds was 10 μM. 92% of shoots spontaneously rooted without any plant growth regulator (PGR) and formed whole plantlets within one month. More than 95% of these regenerants survived and they did not show any detectable variation in morphology or growth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ir donor plants.
Centella asiatica accumulates large amounts of triterpene saponin, such as centellasaponin, asiaticoside, madecassoside. We examined the effect of two candidates, MJ (Methyl jasmonate) and TDZ (thidiazuron), on asiaticoside production and the accumulation of bAS mRNA associated with asiaticoside biosynthesis in leaves of cultured whole plants. The growth of whole plants treated with 0.1 mM MJ was found to decrease significantly, however, the growth of whole plants treated with 0.1 mM MJ plus 0.025 mg/l TDZ was better than that treated with MJ alone. When MJ alone was added to culture medium, asiaticoside contents in leaves wer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after 7 days of treatments. The maximum level of bAS (β-amyrin synthsae) mRNA in leaves of whole plant treated TDZ and MJ was transiently observed after exposure to 5 days. These results showed the up-regulation of bAS gene by adding TDZ and MJ at the molecular level, however, synergic effects of TDZ and MJ on asiaticoside biosynthesis were not testified.
Plants have been known to accumulate a very diverse range of triterpene saponins. We have investigated the regulation of saponin biosynthesis in higher plants using Centella asiatica (L.) Urban as a model plant. Effects of a feeding precursor on asiaticoside production from leaves and on the level of two-type OSCs mRNA were investigated. As a feeding precursor, squalene negatively affected the levels of CYS and bAS mRNA, but it also decreased the production of asiaticoside from whole plants. Plant hormones regulate secondary metabolism, and in plant tissue cultures they could affect both culture growth and secondary metabolite production. Although enhancement of asiaticoside production from whole plant cultures by addition of TDZ (thidiazuron) has been reported, the positive effect of TDZ on the levels of OSCs transcripts was not observed.
이 연구는 지황에서 신초의 유도와 신장에 미치는 thidiazuron과 paclobutrazol의 영향을 조사분석한 것으로 얻어진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신초 유도시 thidiazuron을 단독처리한 경우에 신초 발생율이 높았으며, thidiazuron은 저농도에서부터 활성을 나타내어 영향을 주는 농도범위가 비교적 넓었다. 특히 thidiazuron 1.0mg/L 농도에서 신초 발생이 많았다. 2. 신초 유도시 thidiazurona만을 사용하였거나 thidiazuron에 paclobutrazol을 조합처리하였던지 간에 신초의 신장에는 모두 thidiazuron 1.0mg/L 처리구에서 마디수와 신초의 수가 가장 많아 신초 신장에 효과적이었다.
반하의 조직배양을 통한 대량증식방법 확립의 일환으로 실시한 기내배양에서의 소괴경형성 및 식물체 분화에 영향을 미치는 배지 NAA와 Thidiazuron의 최적조건을 구명하고져 실시한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식물생장조절물질로 NAA와 TDZ을 단독처리 할 때 TDZ 0.5 μM에서 shoot수가 45개로 가장 양호하였으며 root분화는 NAA 2.0 mg/l 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2. NAA 0.1 mg/l +TDZ 2.0 μM 조합처리에서 shoot분화가 가장 양호하였으며 NAA 2.0 mg/l +TDZ 2.0 μM 처리시에 가장 저조하였다. 3. 반하의 소괴경 형성은 MS배지에서는 TDZ 5.0 μM 단독처리와 NAA 0.1 mg/l +TDZ 2.0 μM 처리에서 소괴경 형성이 가장 양호하였다. B5배지에서는 TDZ 1.0 μM 단독처리와 NAA 1.0 mg/l +TDZ 5.0 μM 처리에서 소괴경 형성이 가장 양호하였으나 생체중은 NAA 0.1 mg/l 와 TDZ 5.0 μM의 단독처리에서 생체중이 가장 무거웠다. 4. MS, MG, B5배지조성에 따른 소괴경형성은 MG배지에서 30일배양후 가장 양호하였으며 생체중도 좋았다. 5. 분화된 식물체 뿌리분화에는 IAA보다 NAA가, MS 보다 1/2MS가 더 효과적인 결과를 보여 1/2MS배지에 NAA 2 mg/l 를 처리하였을 때 23.3개의 뿌리가 유도되어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완전분화된 식물체를 vermiculite가 담긴 포트에 이식하여 온실에서 순화시킨 결과 80%정도의 생존율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