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현장에서 실무를 경험하며 겪었던 어려움에서 출발되었다. 전시를 진행 하며 예술가들의 아티스트피 지급기준이 부재했으며 마련되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예산을 집행하는 입장에서 문제의식을 가지고 출발한 고민이었지만, 예술가들에게는 창작활동을 지속하기 위한 필수적인 제도였고, 수년간 많은 주체들이 치열하게 고민 해오고 있다. 미술계에서는 대체로 예술가의 창작환경 조성을 위한 제도 추진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으로 보고 있긴 하지만, 세부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예술가·기관·화랑 등 주체별로 다양한 찬․반 의견이 오가고 있다. 예술가의 창작활동을 지속가능하게 하는 문화예술 지원정책은 일반 노동과 다른 ‘공공재’로서의 예술 노동의 특수성과 이를 반영할 수 있는 예술가 권리에 관한 법제 에 기반해야 한다. 그중 중요한 제도 중 하나로 ‘미술창작 대가기준’은 기본적인 창작 활동에 대한 존중의 의미, 전시 참여에 대한 보상의 개념이 포함된다. 여러 가지 사회적 이슈와 연구, 논의, 토론을 기반으로 발전되어온 ‘미술창작 대가기준’은 10여년간 작가를 포함한 기획자, 평론가까지 지급대상이 확대되면서 제도화 되어졌다. 예술가의 정체성, 사회적 지위와 예술 노동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기반으로 예술 가의 정당한 대가체계 형성을 위해 마련된 ‘미술창작 대가기준’에 대한 시기별 논의점과 구체적인 제도의 내용을 파악하고 그 성과와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현재 시점 에서 제도의 시행 사례를 통해 보완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7,700원
        2.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몸의 균형 능력 저하는 낙상과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어, 본 연구에서는 낙상 위험이 높은 노년층을 대 상으로 시력과 균형 능력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 성남시 S복지관에서 본 연구에 참여 의사를 밝힌 고령자 중 시야에 문제가 없는 고령자 총 24명(남4, 여20, 평균 나이 74.79±4.85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야검사는 OPTOS로 측정하였고, 시력은 ETDRS(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 study)시표를 이용하여 저대비(low contrast)시력과 고대비(high contrast)시력을 측정하였다. 균형 검사는 Tetra-ataxiometric posturography(Tetrax)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안정성 지수, 푸리에 지수, 체중분포율을 산출하였다. 이후 산출된 균형능력 데이터와 시력 간에 상관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시행하였다. 결과 : 시력과 관련된 NO자세와 PO자세에서 고대비시력은 푸리에지수(F6~F8)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고, 저 대비시력은 푸리에지수(F6)과 안정성지수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며(p<0.050), 고대비 및 저대비 시력이 감소 할수록 안정성지수와 퓨리에지수가 증가하여 균형능력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시야이상이 없는 고령자에서는 시력이 낮으면 균형능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낙상위험을 낮추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시력검사와 굴절교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4.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oss of postural stability can possibly lead to slip and fall accidents in the number of workplaces and everyday life.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whole body fatigue and partially limited visual field on the ability of maintaining postural balance during quiet standing. A group of twelve healthy mal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Before and after experiencing the whole body fatigue induced by bicycling exercises, the position coordinates of subject’s center of pressure (COP) were obtained under the two levels of visual field condition (i.e., open visual field and limited visual field). Four levels of the whole body fatigue examined were rest, 300watt, 600watt, and 900watt. Position coordinates of COPs measured on a force plate were then converted into the total length of postural sway path in both the medio-lateral (ML) direction and the anterior-posterior (AP) direction. Two-way ANOVA result showed that the length of sway path in the AP direction became significantly larger as the whole body fatigue accumulated. Post-hoc test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st and 900watt and between 300watt and 900watt. The significant increase of the sway length was also found when the visual field was partially obstructed by the boxes. In the ML direction,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postural sway in both the AP and ML directions. The results imply that the ability of maintaining postural stability can be reduced significantly due to such tasks along with whole body fatigue. The postural balance can also be impaired by the limited visual field.
        4,000원
        5.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urpose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at influence of dominant eye on the neural mechanisms involved in visual inputs system using ERPs which are neural signals that reflect neural activity. Methods : Twenty three normal controls adults with right dominant eye and twenty normal controls adults with left dominant eye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In initial screening, we had neuropsychological test with BAI and BDI-2. All participants had normal or corrected visual acuity 20/20. Edinburgh Handedness Inventory was carried out to select right-handed. To identify dominant eye, the hole-in- card test was executed repeatedly three times. To assess whether influence of dominant eye on the neural mechanisms involved in visual inputs system, event-related potentials (ERPs) were recorded with electroencephalography. Performance measure was the reaction time (RT). The ERPs in response to dominant eye in respect of visual field were investigated in three regions: the temporal-occipital, the occipital and the parietal regions. Especially, the P100 amplitude in occipital region, N170 amplitude in temporal-occipital region and the P300 amplitude in parietal region were explored. Results :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T was observed between the RVF and LVF, which the RVF exhibited shorter RT than the LVF with right hand in left dominant eye (t=-5.47, p<0.001). P100 latency showed that the RVF had shorter latency than the LVF with right hand in right dominant eye (p<0.001). N170 amplitude revealed that the RVF had larger amplitude than the LVF with right hand in right dominant eye (p<0.001). N170 latency revealed that the RVF had shorter latency than the LVF with right hand in right dominant eye (p<0.001). P300 amplitude and latency were no main effect for dominant eye. Conslusions : This present study has attempted to establish the influence of dominant eye on the neural mechanisms involved in visual inputs system. The conclusion which can be drawn from this study are that visual stimuli incoming from the RVF or LVF are differently recognized depends upon each dominant eye. That is, while the participants with right dominant eye responded more actively on stimuli coming from LVF than RVF when they conducted the experiment with their left hand, the participants with left dominant eye responded more actively on stimuli coming from RVF than LVF when they conducted the experiment with their right hand.
        7.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디자인 실무와 디자인 교육의 밀접한 상호 보완을 통해 학생들의 실무능력을 향상시키고 글로벌 환경에서의 실무 프로세서를 디자인 교육에 적용하여 운영한 사례연구로서 글로벌 캡스톤 디자인을 활성화를 위한 논문이다. 글로벌 환경에 맞추어 선문대학교 학생과 미국의 브리지포트 대학교 학생간의 의사소통을 중시했으며 학기 중에는 쇼셜 네트워크를 통해 아이디어 발굴과 평가 및 조언을 교환하였다. 과목의 주제는 서울브랜드 개발로 정하고 진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대학 및 학과의 대외홍보 및 인지도 상승시키는 효과를 가져왔으며, 브리지포트대의 교육적 콘텐츠와 방법론을 이해하고 경험하였으며 이로 인해 글로벌 취업역량을 강화시켰다. 또한, 실무에 강한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고 실무교수진의 크리틱을 통해 글로벌 디자인 현장실무 프로세스를 경험하였다. 이로 인해 개인디자인역량강화를 시킬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