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에메리개미는 여왕개미와 수개미가 유전적으로 복제되어 번식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여왕개미의 날개형태가 장시형과 단시형으로 나타난다. 장시형은 정상적인 날개형태이고, 이보다 짧은 날개형태는 단시형이라고 한다. 장시형과 단시형 모두 한 종으로 취급되지만, 두 가지 점에서 종 지위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첫째, 자연 상태에서는 두 날개형이 함께 발견되지 않고, 둘째, 날개형이 육안으로 뚜렷하게 구분된다. 또한 복제되어 번식한 여왕개미가 단수체인지 배수체인지 조사가 필요하다. 따라서 우리는 본 연구에서 에메리개미 유전체 크기를 추정하여 두 날개형은 동종이며, 여왕개미는 배수체임을 확인하였다.
        4,000원
        2.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Vollenhovia emeryi (Hymenoptera: Myrmicinae) is dimorphic in its wing morphology of alate females: the long-winged and the short-winged. In our previous study, we found that the long-winged is ancestral and the short-winged is derived. Intriguingly, the former is infected with the intracellular symbiotic Wolbachia bacterium and the derived is void of the bacterium indicating that the latter somehow evolved resistance to the bacterium. This may be one of few cases in which transition from susceptibility to the bacterium can be traceable via the divergence estimation. As a consequence, we inferred that the two morphs diverged approximately quarter million years ago; a remarkably recent event in evolutionary perspective. In this presentation, we will further discuss genetic orchestration in the host insect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3.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 (Fallén))는 벼줄무늬잎마름병을 매개하여 심각한 피해를 야기하는 벼 해충으로 국내에서 월동하는 토착종 이며 중국에서 국내 서해안지역으로 비래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애멸구의 분산과 개체군 동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국내 16지역에서 2014년 4월과 7월에 애멸구를 채집하여 발생시기에 따른 날개형태의 비율과 홍집게벌 기생율 현황을 파악하였다. 수컷은 4월보다 7월에 단시형 의 비율이 유의미하게 낮았고, 암컷 단시형 비율은 차이가 없었다. 회귀분석 결과 4월의 단시형 비율이 위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 였다. 약충 및 성충의 기생율은 7월보다 4월에 높았다. 또한 서해안지역의 약충 기생율이 대체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4,000원
        4.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little sized ant species, Vollenhovia emeryi Wheeler (Hymenoptera: Myrmicinae) is the only species belonging to genus Vollenhovia in South Korea, and it is endemic in East Asia encompassing Korea, Japan, China, Taiwan and has recently invaded into North America. In this species, the queen caste shows polymorphism in its wing form, the queen with normal wings called the long-winged (L) queen and short-winged (S) queen with aberrant small wings, and the two morphs are thought not to coexist in nature, however the morphology of workers and males of the two wing morphs are indistinguishable. We obtained a L gyne from a S colony that had been maintained in the laboratory. In addition, we compared the genome size of entire castes of the two wing morphs using flowcytometry. Our results confirm that the two wing morphs are obviously the same species, and moreover, the wing morph may be determinated by the epigenetical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