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버려지는 마늘껍질의 자원으로써의 활용 가치를 확인하기 위해 마늘껍질 70% 에탄올 추출물(GPE)을 이용하여 인체에서 유래된 폐암 세포(A549), 위암 세포(AGS), 유방암 세포(MCF-7), 간암 세포(Hep3B) 및 대장암 세포(HT-29)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폐암 세포(A549)의 경우 200 μg/mL의 저 농도에서는 A549 세포의 생존율이 100%로 증식 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500 μ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A549 세포의 생존율이 10% 이하로 떨어지면서 우수한 폐암 세포 증식 억제 활성이 확인되었다. 위암 세포에 대한 조사에서는 1,000 μg/mL의 농도에서 55%의 생존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최고 2,000 μg/mL의 농도에서 71%의 위암 세포 증식 억제활성이 확인되었다. 유방암 세포(MCF-7)의 경우 200 μg/mL의 저 농도에서 78%, 500 μg/mL 이상의 농도 처리 결과에서는 모두 90% 전후의 유방암 세포 증식 억제활성이 확인되었다. 간암 세포의 경우 100 μg/mL의 저 농도에서도 57%의 억제 활성이 확인되어, GPE의 매우 우수한 간암 세포 증식 억제 활성이 확인되었고, 처리되는 GPE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500 μg/mL 농도까지 농도 의존적으로 간암 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 활성은 증가되어 간암 세포의 생존율이 13%까지 저하되었다. 대장암 세포(HT-29)의 경우 200 μg/mL의 저 농도 처리에서 15%, 500 μg/mL 농도 처리에서 85%, 1,000 μg/mL의 고농도 처리에서 93%의 간암세포 증식 억제율이 확인되었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간암 세포에 대한 생장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마늘껍질 70% 에탄올 추출물 GPE는 조사된 제일 낮은 농도(100 μg/mL)에서도 간암 세포의 증식을 57% 억제하는 우수한 활성이 확인되었고, 200 μg/mL의 저 농도 범위에서는 유방암과 간암 세포의 증식을 72-78% 억제하는 높은 활성이 확인되었으며, 500 μ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위암 세포를 제외한 조사된 4종류의 암세포(폐암, 유방암, 간암 및 대장암 세포)의 증식을 85-90% 억제하는 우수한 활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마늘 가공 과정에서 쓰레기로 버려지고 있는 마늘껍질은 70% 에탄올 추출을 통해 유방암(MCF-7), 폐암(A549), 위암(AGS), 유방암(MCF-7) 및 간암(Hep3B)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활성 물질로서의 재활용 가치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2.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Haskap berries commonly refer to fruits of Lonicera caerulea L., recognized by the Japanese aborigines as the “The elixir of life.”. Due to their recent arrival on the North American market, haskap berries have not yet been positioned among other berries and compared in terms of their phytochemical content. And haskap berries have higher ascorbic acid and anthocyanin content than other berries known for their health-promoting benefits, such as blueberries. However, no study has reported on the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y of Lonicera caerulea 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urrent research on the chemical content,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Lonicera caerulea stem. Methods and Results : The stem of Lonicera caerulea L. ware dried in the shade at room temperature and extracted with 100% methanol. The extract was suspended in deionized water and partitioned sequentially with n-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and butanol (water saturated BuOH) fractions. Antioxidant activities were measured by determination of antioxidants,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by the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assay. All cell lines were purchased from the Korean Cell Line Bank (Seoul, Korea). All results were performed with three replications were processed statistically. By DPPH assay, the Lonicera caerulea L. the highest activity was obtained from the ethyl-acetate fraction (IC50=15.46 ㎍/㎖). By MTT assay, the chloroform fraction showed a significant growth inhibiting effect on MCF-7 (Human breast cancer, IC50=225.91 ㎍/㎖), COLO 205 (Human colon cancer, IC50=179.55 ㎍/㎖), but on AGS (Human stomach cancer) and other fractions it did not show effect. Conclusion : We demonstrated that Lonicera caerulea L. stem extract and fractions has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on activity in vitro. Further studies should identify the active constituents in Lonicera caerulea L stem to evaluate the potential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on activities of the extract.
        3.
        2006.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자의 생리활성 식품 소재로서 검토하기 위해 비타민 C가 첨가된 유자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암세포 억제활성에 대한 상승효과를 측정하였다. 과육과 과피의 추출물 중에 총 페놀 함량은 각각 건물당 와 으로서 과피가 과육보다 약 1.24배 높았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건물당 와 로서 과피가 과육보다 2.11배 높았다. 전자공여능은 유자 과피의 추출물은 유자 과육의 추출물보다 약간 높았으며, 이들 추출물은 그 자체에 비하여 각각 추출물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