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0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have focused on the building appearance according to the change of conservation policy and urban fabric in Bukchon, Seoul. The Urban Hanok, urban traditional housing type, had been evolved in modern contort from 1920's to 1960's, that is to say, many buildings(Urban Hanok) in Bukchon area has built up with a lot and road at the same time. But the change of conservation policy has an effect on the urban fabric and building(wooden structure, RC and brick building). Thus many types of building in Bukchon has undergone a various chang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fine a change factor of Bukchon buildings. Thus we need to pay attention to policy and urban fabric. We reached the result as follows. First, the change of architecture regulations according to the several policies(an aesthetic area, an altitude area for sky line restriction and so on) brought into building deformation and eventually the historic scenery of Bukchon has been spoiled. Second, the change of policy had an effect on the change of roads and lots. Buildings on a widen road and a united lot was built newly. But new buildings built up with a concrete or brick structure was not in harmony with the historic scenery of Bukchon area. Third, a development method of a large lot with lack prudence(disregarded a scale and size of lot) did damage to Urban hanok and urban fabric. With the understanding on the relationship of buildings, a urban fabric and a policy in Bukchon, we can define the identity and correspond with the urgent request for a the conservation of historic urban scenery In addition we can suggest the policy and the design guidelines for the reservation and rehabilitation for Bukchon, Seoul.
        5,500원
        3.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쌀의 외관 기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몇가지 관련 특성을 검토하고 이들의 상호관계를 구명함으로써 쌀 외관품질의 등급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국내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는 자포니카 44품종 쌀에 대한 외관기호도와 관련 특성을 조사 및 평가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쌀의 색기호도는 외관품질(r=-0.897) 및 적색도(r=-0.893)와 유의한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2. 외관품질(적색도×황색도)은 색에 의한 쌀 외관의 등급화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3. 쌀의 모양에 대한 기호도는 입폭(r=0.527)과 입의 크기(r=0.454)가 유의한 정 상관을 나타내었다. 4. 쌀의 외관에 대한 기호도의 군집분석결과 5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그룹별 품질은 외관품질, 입폭 및 입크기 등에 의해 품질등급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
        200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들깨의 화분은 인공수분 후 30분이면 화분이 발아되고, 1시간 후면 암술 하단부까지 화분관이 신장되었다. 2. 저온에서는 수술이 고사하거나 약벽이 터지지 않는 경우와 약벽이 터지고 약은 형성되었으나 화분관 신장 수가 매우 적은 비정상적인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고 종자가 맺히는 화방수가 적었다. 3. 들깨속의 수정, 결실은 온도 및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조생종인 YCPL 25는 야간온도가 15℃ 이하일 경우 크게 떨어졌으나, 만숙종인 YCPL 263은 야간온도 10℃ 에서도 그 영향은 미미하였다. 4. 저온에서 종자가 맺히지 않는 꽃에 정상적인 화분을 인공수분 시키면 높은 결실률을 얻을 수 있었다. 5. 화기 발달과정 중 수분 및 수정 시기는 YCPL 177-1등 5품종은 꽃잎이 꽃받침보다 커지는 시기에 화분이 만들어지고 화분관이 발달하였으나, 푸른 차조기인 YCPL 205-1은 이 시기에 화분은 만들어졌으나 화분관은 71%만 발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