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산재연대학은 화산재층을 지질학적 사건과 대비하거나 연대를 측정하는 연구이다. 화산재층은 건층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제4기 퇴적층의 연대측정에 매우 중요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울산의 산하동과 정자동 지역에 분포 하는 해안단구 퇴적층의 상하부에서 두 종류의 화산재가 발견되었다. 화산유리의 형태학적 특징과 굴절률, 주원소조성과 상관계수 분석을 통해 상부와 하부의 화산재는 각각 약 25 ka 전에 분출한 AT 화산재와 약 105-110 ka 전에 분출한 Ata 화산재로 밝혀졌다. Ata 화산재는 한국의 육상퇴적층에서 공식적으로 처음 보고되는 것이다. 이번 연구결과는 향후 한국의 제4기 고기후와 고환경 및 한국 동남부의 활성단층 연구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Ambiguous decision on whether rural or urban area for road design can increase the construction cost and restrict the land use of surrounding area. However, administrative classification on rural and urban area is not directly related to road design because of this classification is not based on the engineering viewpoint, so method which can explain the road design context is required. METHODS: Method which enables to identify the area for road design is suggested based on the deceleration expected to be experienced by drivers who use the road section concerned. Deceleration rate corresponding to the area such as rural or urban suggested in Road Design Guideline is used as the criteria to identify the area by comparing this value with the estimated deceleration rate at the road section concerned. Speed profile method is utilized to derive the deceleration rate, and speed estimation way for reflecting both road geometry and intersection is suggested using stopping sight distance concept. RESULTS: The procedure of the method application is suggested, and the design example utilizing the method is provided. CONCLUSIONS : The method is expected to be used to identify the area for road design with engineering viewpoint, and design consistency among the roads with similar driving environment can be made.
        4,000원
        5.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07년까지 충북지역 주요 버섯 자생지를 중심으로 채집을 실시하여 이들을 분류 동정하고, 이들 균주를 보존하여 버섯 유전자원 확보 및 자원화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실시한 것으로 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야생버섯 채집균주는 총 79종으로 식용 32종, 약용 3종, 독 15종, 기타(불명) 29종 이었다. 나. 채집된 야생버섯 중 식용 28종에 대한 조직분리를 실시하였고 이중 활력이 좋은 15종의 야생균주를 선발하여 현재 저온보관중이다. 다. 표본제작은 액침표본이 많았으며, 다년생 버섯은 건조표본으로 보관하였고, 자연상태의 자생지에서 채집 균주 79종을 모두 촬영하였다.
        4,000원
        6.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heat vulnerability area as represented by heat risk factors which could be attributable to heat-related deaths. The heat risk factors were temperature, Older Adults(OA), Economic Disadvantage(ED), Accessibility of Medical Services(AMS), The population Single Person Households(SPH). The factors are follow as; the temperature means to the number of days for decades average daily maximum temperature above 31℃, the Older Adults means to population ages 65 and above, furthermore, the Economic Disadvantage means to the population of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s(BLSR), the Accessibility of Medical Services(AMS) means to 5 minutes away from emergency medical servic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howed that the top-level of temperature vulnerability areas is Dong, the top-level of vulnerability OA areas is Eup, the top-level of AMS vulnerability is Eup. Moreover, the top-level of vulnerability ED area appears in the Eup and Dong. The result of analysing relative importance to each element, most of the Eup were vulnerable to heat. Since, there are many vulnerable groups such as Economic Disadvantage, Older Adults in the Eup. We can be figured out estimated the number of heat-related deaths was high in the Eup and Dong by the data of emergency activation in the Chungcheongnam-do Fire Department.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reasonable.
        7.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주목적은 조양하 유역의 유출응집구조와 에너지소비 양상을 멱함수 법칙분포의 틀 내에서 해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토사유실에 민감한 우심지역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GIS를 기반으로 대상유역 내 지점별 배수면적과 함께 소류력 및 수류력을 정의하는 지형학적 인자를 추출하여 해당 인자들에 대한 여누가 분포의 도해적 해석과 함께 멱함수 법칙분포의 적합을 수행하였으며 소류력과 수류력의 규모별 특성권역을 기반으로 토양우실 우심지역을 추출하여 보았다. 소류력를 기반으로 한 토사유실 우심지역의 경우 수류력을 기반으로한 결과에 비하여 우심지역의 범위가 매우 좁게 평가되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류력이 멱함수 법칙분포를 따르지 않는 규모종속성 지형학적 인자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해당 지형학적 인자는 멱함수 법칙분포의 틀 내에서 자연유역의 에너지 규모를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에서 수류력을 기반으로 제시한 지형학적 인자가 토사유실의 평가를 위해 보다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토사유실 우심지역을 도시해 본 결과 국부경사에 종속적인 사면활동 활성구간에서 발생한 토사가 국부경사와 배수면적에 종속적인 지표유동 활성구간을 통하여 계곡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론의 타당성을 판단할 수 있었다.
        8.
        201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 digital terrain analysis had been performed for a mountainous watershed having wetlands. In order to consider the impact for wetland in the flow determination algorithm, the Laplace equation is implemented into the upslope accounting algorithm of wetness computation scheme. The computational algorithm of wetland to spatial contribution of downslope area and wetness was also developed to evaluate spatially distributed runoff due to the presence of wetland. Developed schemes were applied to Wangpichun watershed located Chuncuk mountain at Ulzingun, South Korea. Both spatial distribution of wetness and its histogram indicate that the developed scheme provides feasible consideration of wetland impact in spatial hydrologic analysis. The impact of wetland to downslope propagation pattern is also useful to evaluate spatially distributed runoff distribution.
        9.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ld sensitivity has been shown to vary and the cold tolerance from vegetative to reproductive stage appears to be independent during the life cycle. In the current study, cold tolerance under high elevation rice growing area were evaluated using F4 generation of 181 lines derived from Gayabyeo*2/Chhamrong. Five main-effect QTLs related to days to heading, panicle exertion and spikelet fertility were identified. The QTL qDH-3 on chromosome 3 showed the peak LOD score of 6.3, explaining up to 16.5% of phenotypic variation with additive effect of -2.6. Moreover, the QTL qPE-3 and qSF-3 on chromosome 3 were coincided with the QTL qDH-3 showing an opposite allele effects. Thus, the region harboring marker RM523-RM14281 could be helpful for the selection of cold tolerance genotypes in marker assisted selection(MAS) of rice breeding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