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s about the ungramamtical use of 〈ttaemune (때문에)〉. Because 〈ttaemun (때 문)〉 is a bound noun, a noun modifier is essential before it. So 〈ttaemune〉 also needs a modifier before it. But on the actual language usage, 〈ttaemune〉 is often used without modifiers. This phenomenon appears to be mainly limited to cases where 〈ttaemune〉 is used between sentences. That is, in this case, 〈ttaemune〉 is used as the conjunction like 〈geulaeseo (그래서)〉. Previous research has treated this ungrammatical aspect of 〈ttaemune〉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degrammaticalization phenomenon. In other words, it has been understood that because the bound noun 〈ttaemun〉 has gained independency, 〈ttaemune〉 is used without modifiers before it. However, it is difficult to accept degrammaticalization discussions positively in the following respects: this phenomenon is not so common as to be recognized as a particular grammatical phenomenon, and if this is due to the independence of 〈ttaemun〉, this should also occur in other cases where 〈ttaemun〉 is combined, but this is not the case. So, I think it is right to treat them as objects that need to be corrected rather than treated within language norms.
이 연구는 다른 성분과의 결합 규칙, 다양한 의미, 화용적 활용이 복잡한 의존명사 ‘바’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여 한국어 교수 방안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의존명사 ‘바’의 결합형 문법 항목은 형태적, 의미적 제시의 통일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고정화된 패턴 표현에 대한 제시도 규칙성 없이 혼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의미와 용법 분석에서는 의존명사 ‘바’의 제약에 대한 명시적 이 학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먼저 관형사의 피수식어가 될 수 없고, 언제나 관형절의 수식을 받을 수 있음을 전달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동격절의 피수식어 기능을 할 때는 상위문과 내포문에 동일한 주어가 와야 한다는 제약의 존재와 후행하는 서술어에 제약이 있음을 전달할 필요가 있다. 서술어는 인지동사(알다, 모르다, 생각하다, 상상 하다 등), 전언동사(말하다, 논하다, 전달하다, 보도되다 등), 지각동사 (보다, 듣다, 깨닫다 등), 추상동사(배우다, 속다, 얻다 등) 즉 비동작성 동사와 공존관계를 이루므로 이를 학습자들에게 체계적으로 전달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바 있다/없다’, ‘-바이다’, ‘-바가 아니다’등의 패턴화된 형태를 통일성 있게 제시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전문적이고 학술적인 학업을 수행하는 학문 목적의 학습자를 위해 ‘-는 바에 대해(서), -는 바에 의하면, -는 바에 따르면, -는 바와 같이’등과 같은 공식적인 발표나 말하기 등에 활용되는 표현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The usage of ‘지’ has two cases, being used in the end of a word and in Bound Noun. Except when the end of a word ‘지’ is connected to the stem of declinable words in ‘-ㄹ지’ form, they ostensibly have same forms with ‘-ㄴ지’. But ‘지’ constructions have many cases of inflections in from the grammatical forms to the expressed meanings. So we may have many difficulties in translating ‘지’ constructions into a foreign language.
This article describes how to translate ‘지’ structures into Chinese and which Chinese constructions to be translated into ‘지’ structures by analyzing and comparing different samples of ‘지’ constructions on diverse primary materials -- from news articles to fictions or dictionaries. I expect that this research may contribute to Korean to Chinese or Chinese to Korean trans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