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적 자극은 식물체의 형태적 변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 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계적 자극을 적용한 토마토의 육 묘기 동안의 생육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브러싱 처리가 기계적 자극으로 이용되었으며, 아크릴이 부착된 이 송장치를 이용하여 2시간 간격으로 파종 후 10일 이후부터 처 리를 진행하였다. 브러싱 처리 동안 생육 변화를 확인하기 위 해 3일 간격으로 생육을 조사하였다. 초장과 엽면적은 브러싱 처리에서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지상부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대조구와 유사한 값을 보였다. 총 근장과 지하부 표면적은 브러싱 처리에서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지하부 부피는 대조구와 브러싱 처리가 유사한 값을 보였 다. 결론적으로 토마토 공정묘에 브러싱 처리는 지상부의 생 육 감소를 유도하였으며 지하부의 형태적 발달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토마토 공정묘 생산 시 생장 억제를 위한 적정 brushing 소재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토마토 종자를 상업적 공정육묘용 상토가 충진된 40구 플러그 트레이에 파종하였으며, 파종 후 18일째부터 brushing 자극을 처리하였다. Brushing 소재는 연질 아크릴, 폴리프로필렌, 직조필름 소재를 이용하여 brushing 처리를 하였으며, 대조구로 무처리구와 diniconazole을 엽면살포 처리하였다. 연질 아크릴 처리에서 초장이 유의적으로 가장 짧았고, 경경은 가장 두꺼웠다. 잎의 크기는 diniconazole 처리에서 가장 낮았으나, SPAD값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질 아크릴 처리에서 T/R율이 가장 낮고, 왜화율과 충실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brushing 자극 처리를 위해 연질 아크릴 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diniconazole 처리 보다 왜화율이 높아 도장 억제에 유리하며 묘 소질이 우수한 묘를 생산하는데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빠른 경제 발전과 산업의 발달은 소득을 향상시키고 소비문화를 다양하게 변화하게 만든다. 인간은 이런 물질적 풍요에서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반려동물을 가족과 같은 의미로 우리와 같이 생활한다. 이런 반려견은 피부에 문제를 많이 일으켜 병원을 찾는 사례가 많다. 평소 반려견의 관리만 잘하여도 피부병을 예방할 수 있다고 한다. 이에 그루밍 중에 빗질이 반려견의 피부표면에 각질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에 대하여 푸들을 대상으로 같은 환경, 동일한 사료를 먹는 반려견 5마리에게 1주일에 한번 샴푸 후 빗질만 시행하고 다른 한쪽은 2일에 한 번씩 빗질을 해주어 반려견의 피부를 현미경적으로 촬영한 사진의 각질을 수치화하여 본 결과 1주일에 샴푸 후 1회만 빗질을 한 곳은 각질의 양이 변화가 거의 없었으며, 2일에 한 번씩 빗질을 한 부위는 각질양이 현저하게 줄어들어다. 반려견 중 푸들은 2∼3일 한 번씩 빗질을 해주는 것이 각질 상태나 피모에 좋은 결과를 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환경 친화적 방법인 브러싱을 이용한 기계적 자극의 영향을 받는 오이와 토마토 플러그 묘의 생육 억제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오이(Cucumis sativus L. ‘Joeunbaekdadagi’)와 토마토(Solanum lycopersicum L. ‘Mini Chal’)를 2017년 10월 9일 상업용 혼합 상토가 충진된 40구 플러그 트레이(54×27.5×5cm)에 파종하였다. 벤로형 유리온실의 재배환경은 15-25oC의 재배 온도 범위와 50±10%의 상대습도를 유지하였다. 파종 15일후에, 오이와 토마토 묘에 무처리(대조구), 7.5mg·L-1의 diniconazole을 처리하였다. 또한, 오이와 토마토의 brushing 처리는 2, 4, 또는 6시간 간격으로 각각 15일과 20일간 적용되었다. 1회씩 brushing 처리를 하였다. 오이와 토마토의 초장, 하배축, 절간장은 대조구에 비해 diniconazole 처리에서 억제되었다. 잎의 크기는 오이와 토마토 모두 감소하였지만, 반면에 엽록소 값은 diniconazole 처리에서 증가하였다. 그러나 오이의 경경은 2시간 brushing 간격 처리에서 가장 두꺼웠다.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은 diniconazole 처리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Brushing의 적용은 토마토 묘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건물중, 충실도를 촉진시킴으로써 묘소질을 향상 시켰다. 토마토 묘의 엽록소 형광은 2시간 처리에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이는 brushing 처리에 의한 기계적 스트레스를 나타낸다. 토마토 묘의 상대 생장률은 diniconazole 처리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지만, 오이 묘는 모든 처리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오이와 토마토 묘의 생육 억제는 생장조절제의 화학 물질에 의한 diniconazole 처리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환경 친화적인 관점에서, 2시간의 brushing 간격 처리는 오이와 토마토 묘의 생장에서 화학적 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응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 논문은 아일랜드 시인들이 역사가 낳은 희생자들을 기술하는 방식을 탐구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예술작품에서 영감을 얻어 시로 표현한 엑프래시스 장르 를 통해 이들은 민족의 공식적인 역사 이면에 잊혀진 이들을 되살리는 시도를 한다. 예이츠는 레이디 그레고리와 싱의 초상화로부터 영감을 받아 영국계-아일랜드인들이 아일랜드 사회를 지배하던 과거 전통을 이어받아 상상의 공동체를 건설한다. 예이츠가 희생자들을 통해 전통에 대한 자부심을 드러낸 것과는 달리, 히니는 공동체를 위해 희 생당한 이들을 기억하면서 자신의 죄책감을 표현하는데, 이는 당대 북아일랜드 사태를 떠올리게 했기 때문이다. 또한 예이츠는 지배계급 이데올로기를 반영하여 고정된 민족 정체성을 추구한 반면, 히니는 늪지에 관한 시에서 특정한 관점에 고정되지 않는 민족 정체성을 구상하고 있다. 현대시인 멀둔과 더컨은 희생자들의 이미지를 통해 국가권력 기관의 폭력성을 폭로한다. 멀둔은 정신병원에서 철저히 감시되는 한 개인을 그리고, 더컨은 한 개인의 사적 영역인 신체마저도 통제하는 국가사법 시스템을 비판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arry out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rushing force following various brushing techniques bytoothbrush mounted pressure sensing unit. The study group consisted of 10 dental hygienist participants. The brushing forces (on buccal area of each first molar) were monitored on 8 different kinds of brushing techniques; Fones, Bass, Rolling, Scrub, Charters, stillman, Modified bass and Modified stillman. In Bass, Charters, Fones and Scrub method, force distributions showed a small gap of maximum and minimum value (Max/Min) while a big difference was noted in Modified bass, Modified stillman, Rolling and Stillman methods. Especially, the biggest difference of Max/Min value was observed in the area of lower left first molar. In conclusion, highly delicate manual skill is needed in showing big error range of force distribution. It means that careful force needs to be focused during toothbrushing instruction when a delicate manual skill was carried out.
본 연구는 망실 하우스 내에서 봄감자 재배 시. brushing 처리가 감자의 도장 방지와 생육과 수량 및 체내 전분함량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지상부의 생육은 생육 후반기로 갈수록, brushing 처리시간이 길수록 감소하였다. 측지 수도 처리시간이 길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경장과 경경은 5월 6일에는 처리간에 비슷하였으나 생육 후반기로 갈수록 모든 처리에서 증가하였는데 평균적으로 30∼36mg/100 cm2였다. 지상부ㆍ지하부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처리시간이 긴 것이 무거웠고, 전분 함량은 무처리에 비해 brushing 처리한 것이, 그리고 처리시간이 긴 것이 높았다.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brushing treatment during cultivation on the postharvest quality of the baby leaf vegetable, specifically tah tasai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var. narinosa). The effect of mechanical brushing during cultivation on the postharvest quality was determined in terms of the quality changes in weight loss, gas partial pressure, leaf color, and appearance during storage using a 30-㎛-thick polypropylene film at 16℃. The brushing treatment included brushing with A4 paper back and forth 50 times a day. The study revealed that the growths on the brushing-treated plant group were less than those on the control group. The structure of the leaf tissue of the brushing-treated plant also tended to be less compact than that of the non-treated plant. The brushing treatment resulted in less growth and denser plant tissues as well as in differences in the gas O2 consumption and CO2 accumulation after packaging. For the gas partial pressure, the O2 consumption and CO2 accumulation of the brushing-treated plant tended to be less than those of the non-treated plant. There were no differences, however, between the brushing-treated plant and control groups in the SPAD value and appearance. The study results also suggested that after packaging, the effects of the brushing treatment during cultivation on the quality of the tah tasai Chinese cabbage baby leaf vegetable was not significant. As such, it is recommended that effective post-harvest methods of improving the product quality of the baby leaf vegetable be further investig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