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남자고등학교 교실에서 발생하는 냄새(발냄새, 머리냄새, 쉰냄새, 땀냄새)와 대표악취물질(부티르산, 암모니아)에 대한 뇌파반응을 분석하였다. 냄새자극 시험은 30~50대의 여성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교실냄새와 대표악취물질의 자극에 대한 뇌파 지표들의 변화 경향은 측두엽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들 악취물질의 측두엽에서 반응은 바탕뇌파대비 상대알파파를 0.04~0.13 감소시켰고, 상대베타파 0.02~0.06, 상대감마파를 0.03~0.09 증가시켰다. 교실냄새들과 두 악취물질들은 이완상태를 나타내는 알파파를 감소시켰고, 각성과 긴장 및 스트레스를 나타내는 고베타파(18~30Hz)와 불안과 흥분상태를 나타내는 감마파(30~50Hz)를 활성화시켰다. 냄새물질들의 뇌 각성 및 자극정도는 머리냄새 > 부트르산 > 발냄새, 쉰냄새 > 암모니아> 땀냄새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실냄새가 과도한 각성이나 긴장을 유발하므로 수업 집중력이나 학습능력을 저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4,000원
        2.
        2012.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hen discussing about CSL literary activities, most researchers focus on paper materials and theories of second or foreign language teaching are rarely applied. In order to go beyond the limitations,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explore the literary teaching activities when combining the digital materials and task-basking teaching method in the CSL classroom. One CSL teacher and 6 German students a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fter the practice of CSL curriculum with digital materials and task-based teaching method, two results are found. First, in terms of task-based teaching method the CSL teacher spent more time on explaining than on doing and evaluating the language tasks. Second, with regard to difficulty, the CSL teacher would choose to lecture the class and skip the literary and discussion activities if the contents of digital materials were difficult.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CSL digital materials can provide students more literary opportunities; however, the CSL teacher may not change his/her teaching method and literary activities because of the use of digital materials.
        3.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university English conversation program which had employed on-line homework and outside-class interviews with native English instructors. After over 1,200 sophomores took the conversation course for a semester,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measure the students' satisfaction for the program and their perceived usefulness and effectiveness of the in- and outside-class activities. The results showed: first, students perceived the in-class lessons and outside-class interviews with the native English instructors as useful, but not the on-line conversation practice; secondly, the students' perceived usefulness, affective effects, and content evaluation of each activity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perceived effectiveness of the outside-class activities. Last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by the different groups of proficiency level in their perceptions of the usefulness, affective effects, and content evaluation of the outside-class activities. However, different proficient groups showed different amount of study efforts and preference for activities.
        6,700원
        4.
        2022.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다 중지능이론에 기반한 한국문화 교육 활동을 설계하는 것이다. 연구는 다중지능의 핵심 요소와 Armstrong (1994)에서 제시된 교수법을 토대 로 다양한 다중지능 영역의 문화 활동 리스트를 설계하였고, 특정 교 재를 중심으로 문화 활동의 적용 사례를 제시하였다. 설계된 활동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한국문화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중 국 대학 한국어학과 2학년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16주간 실험 수업을 진행했다. 실험과정에 주로 다중지능 검사, 데이터 통계, 설문 조사 등 연구 방법을 채택하여 테스트와 설문 조사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다중지능이론에 기반한 교육 활동을 한국문화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타당성이 있다. 둘째, 다중지능 활동을 적극적 으로 활용하는 교수법은 학생들의 학습성취도와 정의적인 측면에 모 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