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화 이후에도 하도급생산시스템은 시장주의자의 예상과 반대로 여러 산업에 걸쳐 여전히 편재 (遍在)하고 있는데 이는 이 準기업형태를 통해 형성된 사회관계로 축적된 경험과 기억이 구성원들 사이의 섬세한 의사소통체계를 만들며 이를 토대로 구축된 여러 루틴이 기업의 실행능력을 높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하도급기업의 인사이론 개발을 위해 이들 기업 간 협력과 성과에 대하여 협력적 거래정책이 반영 된 전략적 파트너십 지향 인사관리모델 관점에서 예측하고 WPS2017, 2019, 2021을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협력적 하도급거래정책 초기치와 혁신활동 초기치 간 정(+)의 회귀관계가 있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시간에 따른 협력적 하도급거래정책 변화와 혁신활동 변화 간 정(+)의 회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간에 따른 혁신활동 변화와 영업이익률 변화 간 정(+)의 회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셋째 시간흐름에 따른 협력적 하도급거래정책 변화와 혁신활동 변화 및 영업이익률 변화 사이의 완전매개모델은 통계적 유의성이 검출되었다. 이는 협력적 생산네트워크가 시장논리로 자율적 적응이 적 용된 경우와 달리 인간동기를 개인적 이윤동기에서 사회적 차원으로 수정하면서 관련 메커니즘을 작동시 킨다는 점을 시사한다. 향후연구는 기업 간 협력과 성과를 설명하는 여러 경합이론을 균형있게 고려한 통합적 시각을 통해 하도급생산네트워크를 면밀히 관찰하고 이들을 둘러싼 다양한 상황들에 대한 실증분 석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CEO'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performa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in entrepreneurs’cooperative. In order to verify and achieve the purposes mentioned above, questionnaire data were gathered and analysed from 379 employees of entrepreneurs’cooperative in Kangwon-do province. Empirical survey'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harisma and individual consideration appeared to be positively related with risk-taking and proactiveness. Also, intellectual stimulation appeared to be positively related with proactiveness only. Second, charisma and individual consideration appeared to be positively related with sales volume and employment increase, but intellectual stimulation appeared to be positively related with employment increase only. Third, corporate entrepreneurship(risk-taking, proactiveness) appeared to be positively related with sales volume and employment increase. Fourth, corporate entrepreneurship(risk-taking, proactiveness) had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EO'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performance. But, intellectual stimulation had not mediating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