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임파워먼트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 속에 많은 기업의 관리자들이 구조적 임파워먼 트의 긍정적인 측면만을 바라보고 실제 자신들의 기업에 적용하고 있다. 이는 구조적 관점에서 의사결정 의 권한을 하위 부서로 이양하는 것이 불확실한 상황 속에서 혁신적인 결과물을 탐색하는 데 매우 효과적 일 것이라는 가정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조직이 처한 환경 속에서 이러한 구조적 임파워먼트가 실제로 효과적일까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몇몇 연구에서조차 조직이 처한 다양한 상황적 요인들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NK 모델을 통해 조직의 과업 상호의존 성과 부서의 업무역량에 따라 구조적 임파워먼트가 조직의 창의적 성과 탐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부서 간 과업의 상호의존 성이 매우 높은 상황에서는 부서의 업무역량에 관계없이 구조적 임파워먼트가 창의적 조직 성과 탐색에 부정적으로 작용하였으며, 조직 차원의 의사결정에 대한 개입이 있을 시 성과가 개선되었다. 또한, 부서의 업무역량이 높을수록 일정 수준 이상의 조직의 개입(조직 수준의 의사결정)이 발생했을 때, 다시 창의적 조직 성과 탐색이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둘째, 과업의 상호의존성이 낮은 상황에서는 부서의 업무역량이 높을수록 구조적 임파워먼트의 창의적 조직 성과 탐색에 대한 효과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조 적 임파워먼트가 낮아질수록 부서의 업무역량에 관계없이 창의적 조직 성과 탐색도 같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구조적 임파워먼트가 반드시 창의적 조직 성과 탐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 는 것이 아니라 조직이 처한 상황적 요인을 확인하여 실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며, 구조적 임파워먼트 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조직 차원의 의사결정 개입이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5,200원
        2.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행복플로리시와 동료교사의 정서적 지지가 창의적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충청남도 및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70명의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중 몰입과 성취가 높을수록 보육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미요인에서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긍정적 정서, 관계, 전반적 행복플로리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료교사의 정서적 지지가 높을수록 보육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21세기 핵심역량인 영유아의 창의성 계발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을 높이기 위한 교육과 다양한 접근에 있어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4,900원
        3.
        202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창작 뮤지컬 공연 제작과정에서 음악감독이 관여하는 음악작업에 대하여 연구하 였다. 연구의 목적은 뮤지컬 음악감독이 담당하는 뮤지컬 넘버의 공연화에 대하여 뮤지컬 제 작 현장의 직접적인 사례를 통하여 음악감독의 작업을 파악하는데 있다. 기존의 음악감독에 관한 연구들은 음악감독 사례 인터뷰의 간접적인 리뷰가 중심이었다면, 본 연구는 음악감독의 업무 중에서도 뮤지컬 넘버의 공연화인 루티닝(Routining) 과정에 대하여 음악감독의 관점에 서 직접적으로 서술한 연구이다. 본 연구자는 선행연구를 통해 음악 변화과정인 루티닝 대한 이론적 근거를 분석하고, 음악감독이 수행하는 작업 영역을 창작 뮤지컬 <해방>의 제작과정 사례에 적용하여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음악감독은 뮤지컬 넘버의 구성과 배치를 파악하여 드라마의 흐름과 무대전환을 위한 연결 및 가사 표현과 발음의 전달 등을 고려하여 음악을 조 정하는 작업을 하고, 배우들의 넘버습득을 위한 보컬지도와 넘버의 Key 조정 및 화음 추가 등 보컬 편곡을 담당한다. 본 연구를 통해 창작 뮤지컬 제작에서 무형의 악보가 유형의 공연으로 변화되는 과정을 이해하고, 그 과정의 중심에 있는 음악감독 역할에 대한 연구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4,900원
        4.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ntribute in establishing the objectives of government policies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s surrounding the self-employed creative enterprises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s where the specific empirical studies on the self-employed creative enterprises haven't been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verification, the social capitals such as reliability, reciprocity and network are necessary due to the characteristics possessed by the self-employed creative enterprises while the reliability between cooperative enterprises is created and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continues when the enterprises are faithful to their intrinsic activities such as the improvement of productivity rather than the entrepreneur spirit. Such win-win cooperation was eventually shown as having a posi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enterprise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