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과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국내 학술 지에 게재된 위기개입·상담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등재(후보) 학술지에 게재된 137편의 논문을 분석하였 다. 논문 분석을 위하여 넷마이너(NetMiner) 4.0 프로그램을 활용한 키 워드 네트워크 분석과 토픽모델링을 수행하였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을 통해 키워드 빈도분석, 키워드 동시출현빈도분석과 함께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 등의 중심성 분석을 실시하였고, 토픽모델링분석 을 통해 논문에 잠재된 토픽과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키워드 빈도분석에서는 자살, 상담자, 전문가, 학교, 청소년 등이 주요 키워드로 나타났고, 토픽모델링 분석에서는 토픽-1(외상 스트 레스 위기상담), 토픽-2(취약계층 위기개입), 토픽-3(위기청소년 가족통합 서비스), 토픽-4(위기가정 개입), 토픽-5(자살집단 위기대응) 등 총 5개의 토픽이 등장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위기개입·상담에 관한 연구는 다 양한 위기집단을 대상으로 위기 후 외상 스트레스에 대한 개입과 대응에 관한 연구들이 주로 이루어진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위기개입·상담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위기개입·상담에 필요 한 방안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는 노년초기의 여성이 자기가 경험한 위기극복을 위하여 Self Coaching 기법을 적용한 실용적인 연구 결과이다. 연구의 영역을 사회적 기능, 정서적 기능, 육체적 기능을 고정적 관념적 관념에서 Self Coaching의 변환과정을 통하여 새로운 탄력적 기능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설계했다. Self Coaching 전에는 위기를 위기요인으로만 해석하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지 못했으나 Self Coaching의 삶의 (Rebound Coaching)을 통해서 적극적이고 효능감 있는 탄력적 삶을 경험한 실증적이며 자기분석적인 임상 사례 논문이다. Self Coaching 전에는 삶의 의미 해석을 소극적이고 자기중심적인 패쇄적 삶으로 Self Coaching의 새로운 시도는 적극적이며, 탄력적인 새로운 삶을 경험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노년 초기에 새로운 삶의 탄력성은 이론에서 강조 하듯이 안전과 지지 → 연합 → 이타주의적인 삶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고 실천하는 삶을 지향하는 방향을 모색한 점이 연구의 의미와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