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작물 생육 모델은 작물의 생육을 이해하고 통합하기 위해 유용한 도구이다. 완전제어형 식물공장에서 엽채류로 활용하기 위한 퀴노아(Chenopodium quinoa Willd.)의 초장, 광합성률, 생장 모델을 예측하기 위한 모 델을 1차식, 2차식 및 비선형 및 선형지수 등식을 사용하여 개발하였다. 식물 생육과 수량은 정식 후 5일간격으로 측정하였다. 광합성과 생장 곡선 모델을 계산하였다. 초장과 정식 후 일수(DAT)간의 선형 및 곡선 관계를 얻었으나, 초장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한 모델은 선형 등식이었다. 광합성률 모델을 비선형 등식을 선택하였다. 광보상점, 광포화점, 및 호흡률은 각각 29, 813 and 3.4 μmol·m-2·s-1였다.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선형관계를 보였다. 지상부 건물중의 회귀계수는 0.75 (R2=0.921***)였다. 선형지수 수식을 사용하여 시간 함수에 따른 퀴노아의 지상부 건물중 증가를 비선형 회귀식으로 수행하였다. 작물생장률과 상대생장률은 각각 22.9 g·m-2·d-1 and 0.28 g·g-1·d-1였다. 이러한 모델들은 정확하게 퀴노아의 초장, 광합성률,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을 예측할 수 있다.
        4,000원
        2.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새로 조성된 간척지에서 사료맥류 종자의 안정생산을 위한 적정 파종량을 구명코자 2011년부터 2013년까지수행하였다. 청보리와 트리티케일은 ha당 200, 300 및 400 kg호밀과 귀리는 ha당 100, 200 및 300 kg을 파종하고 토양화학성과 작물별 수량성을 조사 하였다. 사료맥류의 출현율과 입모율은 호밀, 트리티케일, 청보리, 귀리 순으로 높았다. 사료맥류 종실의 질소 함량은 트리티케일, 호밀, 보리, 귀리 순으로높았고 트리티케일과 호밀은 파종량 증가에 따라 질소함량이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사료맥류의 종실수량은 트리티케일, 귀리, 호밀, 청보리 순으로 많았다. 파종량에 따른 종실수량은 청보리와 트리티케일은 ha당 300 kg에서, 호밀과 귀리는200 kg에서 많았다. 수량구성요소 중 m2당 이삭수가 종실수량에 큰 영향을 미쳤고 수당립수와 천립중은 파종량 감소에 따라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연구 결과 새로 조성된 간척지에서동계 사료맥류 종자의 안정생산을 위한 적정 파종량은 ha당 청보리는 320 kg, 트리티케일은 290 kg, 호밀은 220 kg, 귀리는210 kg으로 나타났다.
        4,000원
        5.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hading degrees (0:full sunlight, 25, 50 and 75%) on the crop growth rate (CGR), net assimilation rate (NAR) and photosynthetic activity of grasses for obtaining th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
        4,000원
        6.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find out the responses of soybean genotypes in terms of different levels of irrigation with the aim of evaluating the growth, yield, and its optimum levels of irrigation, an experiment was conducted at the Field of Crop Botany Department, Bangladesh Agricultural University, Mymensingh during the period from November 2000 to February 2001. Five levels of irrigation viz. ~textrmI0 : no irrigation, ~textrmI1 : one time irrigation at 20 days after sowing (DAS), ~textrmI2 :two times irrigation at 20 and 40 DAS, ~textrmI3 : three times irrigation at 20, 40, and 60 DAS, and ~textrmI4 : four times irrigation at 20, 40, 60, and 80 DAS and three genotypes of soybean viz. BS-3, BS-16, and BS-60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The crop was grown in a split plot design having three replications. The plant height, leaf area index, crop growth rate, shoot dry weight, branches ~textrmplantI-1 , filled pods ~textrmplantI-1 , seeds ~textrmplantI-1 , seed yield, and harvest index were influenced significantly by irrigation and these were found to be highest at three times irrigation except branches ~textrmplantI-1 . The chlorophyll content increased but empty pods ~textrmplantI-1 decreased with increase in irrigation levels. Genotypes of soybean varied significantly in terms of growth attributes at various growth stages except shoot dry weight at 90 DAS. The genotype BS-3 performed better compared to other genotypes and gave maximum seed yield.
        7.
        200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lant growth and the two components of respiration, growth and maintenance, were compared between low and high nitrogen applications in hydroponic culture on a high-yielding rice cultivar 'Takanari' (Oryza sativa L.). Grain yield decreased by high nitrogen application, and thus this cultivar has low adaptability to nitrogen. Growth efficiency (GE) and net assimilation rate (NAR) were lower in the high-nitrogen plot. The maintenance coefficient (m) and growth coefficient (g) of dark respiration were 0.0111 d-1 and 0.196 in the low-nitrogen plot and 0.0166 d-1 and 0.237 in the high-nitrogen plot, respectively. Thus, high nitrogen application increased both g and m. Calculated Rm (maintenance respiration rate) was 70 and 90% of total respiration rate at heading, respectively. The significance of nitrogen adaptability and g was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