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

        1.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제주도 화산회토양에서 식용 Canna의 구경크기에 따른(10, 15, 20, 25cm) 생육특성 및 수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3년 5월 20일부터 11월 24일까지 시험하였다. 초장은 구경크기 l0cm 파종에서 78.8cm 이었던 것이, 구경크기가 커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커져서 구경 25cm 크기에서는 129.1cm 커졌다(). 구경크기에 따른 엽장, 엽폭, 엽수, 분지수, 경직경 및 구경수는 초장반응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생초수량, 구경
        4,000원
        2.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제주지역에서 지렁이(100%) 시비량 차이(0, 100, 200, 300, 400, 500 및 600kg/10a)에 따른 신나리 열무의 생육반응 및 수량을 검토하고, 지렁이분 적정시비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2년 11월 7일부터 2003년 3월 8일까지 시험하였다. 초장은 무비구에서 500kg/10a 시비구까지 30.3cm에서 37.77cm로 커졌고, 그 이상의 시비구에서는 작아졌으나 200kg/10a에서 600kg/10a 시비구까지는 유의
        3,000원
        5.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서 양마의 주당 본수 1(16,000주/10a), 2(34,000주/10a), 3(48,000주y10a), 4(64,000주/10a), 및 5본(80,000주/10a)에 따른 생육특성, 사료수량성 및 사료가치를 검토하고, 가축 조사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2001년 4월 13일부터 10월 8일까지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초장은 주당 1본에서 176cm였으나 주당 2본에서 185cm로 길어졌으나 그 이상 주당 본수
        4,000원
        6.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지역에서 예취높이에 따른 (2, 4, 6, 8 및 l0cm)에 따른 양마의 생육특성, 수량성 및 사료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1년 4월 13일부터 10월 8일까지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장은 2cm 예취에서 157.7cm였던 것이 예취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커져서 10cm 예취에서는 180.2cm로 커졌다. 엽수, 분지수, 경직경 및 주당 무게는 초장반응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생초, 건물, 단백질 및 TDN 수량은 2cm 예취에서
        4,000원
        7.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제주지역에서 양마의 적정질소시비 횟수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1년 4월 13일부터 10월 8일까지 질소시비량을 240kg/ha 고정하고 30일 간격으로 1~5회 분시하여 양마의 생육특성, 사료수량성 및 조성분 함량 등을 조사하였다. 초장은 분시 횟수가 많을수록 증가하여 4회 분시구에서 최고인 201cm를 보이다가 5회에서 줄어들었다. 분지수, 엽수, 경직경 및 개체당 무게도 초장과 같은 경향으로 4회 분시에서 가장 우세하였다. 생초, 건물,
        4,000원
        8.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2년 6월 26일, 8월 3일 및 9월 4일에 당년 발생한 덩굴에서 정부 중부 기부의 2마디씩 채취하여 삽목하였고, 2002년 7월 10일에 삽수의 마디수를 1~4개로 달리하여 삽목하여 겨울딸기의 발근 및 신초생육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근율은 8월 2일 삽목구에서 69.6%로 가장 높았고 근장은 6월 26일 삽목구에서 23.1 cm로 가장 길었다. 9월 4일 삽목구의 발근율 및 신초 생육이 현저히 떨어졌다. 삽수 채취 부위별 발근율은 덩굴 중간부위에서 55.4%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정단부위에서 45.6%이었고 기부에서 25.4%로 가장 낮았다. 다른 형질들은 삽수 채취부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발근율과 신초발생률은 삽수마디수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삽수당 근수 및 뿌리 건물중, 신초 생육은 삽수마디수가 많을수록 증가되었다.
        9.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주지방에서 야콘의 적정 정식시기를 구명하고자 50일 프러그묘를 3월 24일부터 6월 7일까지 15일 간격으로 6회 정식하여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장, 경장, 주경직경, 주당 절수 등은 5월 23일 이후 정식부터 크게 감소되었다. 2. 주당 상품성 있는 괴근수는 3월 23일∼4월 23일 정식시기 간에는 6.0개 내외로 차이가 없었으나 5월 8일 이후 정식할 경우 크게 감소되어 6월 7일 정식구에서는 1.9개에 불과하였다. 3. 상품수량은 3월 24일과 4월 8일 정식구에서는 27 MT/ha 내외로 비슷하였고 4월 23일 정식구에서 32.4 MT/ha로 증가되었다가 그 이후 정식구에서는 크게 감소되어 6월 7일 정식구에서는 5.4 MT/ha에 지나지 않았다. 4. 괴근의 건물율과 가용성 고형물함량은 정식시기에 따른 차이 없이 각각 14%, 15% 내외였다. 평균 괴근중은 3월 24일∼4월 23일 정식에서는 153∼183.9g으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5월 7일 이후 정식할 경우 크게 감소되었다. 5. 수량과 품질, 만상해 우려, 육묘비용 등을 고려할 때 제주지방에서의 야콘의 적정 정식시기는 4월 중∼하순으로 조사되었다.
        10.
        200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um warm casting rate(0, 100, 200, 300, 400, 500㎏/10a) for the yield of food canna in jeju island. The plant height was ranged from 109.4 to 134.7㎝ as organic fertilizer of worm casting increased from 0 to 500㎏/10a, but it was no significance between 400 to 500㎏/10a. Leaf length, leaf width, number of leaves, number of tillers and bulb per plant were shown higher as the amount of worm casting was increased. Stem diameter were the same trend with plant height response. Fresh yield of food canna increased significantly 13.4 to 22.6MT/㏊ as fertilizer rate increased from 0 to 500㎏/10a. Fresh weight of above-ground part and bulb were shown the same trend with fresh yield of food canna.
        11.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주도에서 쇠무릎을 생약(뿌리) 또는 ecdysteroid(뿌리+포과)를 생산하기 위하여 재배할 경우 적정 인산시비량을 구명하고자 질소시비량 2수준(90, 180kg/ha)과 인산시비량 5수준 (0, 100, 200, 300, 400kg/ha)에서 시험하였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장, 엽장, 엽폭, 경직경, 화서당 포과수, 주근장, 주근경은 인산시비량에 유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는데, 주당 분지수와 화서수는 무인산구에 비하여 인산 100kg/ha 시비에 의하여 각각 18, 38%증가되었으나 인산 200kg 이상 시비구에서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주당 뿌리수는 인산 200kg에서 18.9개로 가장 많았다. 포과건물수량은 인산 100kg 시비구에서 2.92t/ha로 가장 많았고 200kg 이상 시비구에서 감소되었다. 건근수량은 무인산구에서 2.36t/ha이었던 것이 인산 100, 200kg 시비구에서 각각 3.55, 3.80t/ha 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가 300, 400kg 시비구에서는 3.14, 2.86 kg로 감수되었다. 지상부의 인산회수율은 인산 100kg 시비구에서 34.0%이었던 것이 400kg 시비구에서는 7.1%로 감소되었다.
        19.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주지역에서 잎들깨 품종의 채종을 위한 적정파종기를 구명하고자 잎들깨 1호와 만백들깨를 5월 15일부터 7월 15일까지 15일 간격으로 5회 파종하여 생육 및 종실수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품종과 파종기간 상호작용은 생육일수에서만 유의하였다. 개화일수만이 품종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잎들깨 1호가 만백들깨보다 약 2일 일찍 개화되었으나 성숙기는 약 1일 늦었다. 2. 파종이 5월 15일에서 7월 15일로 늦어짐에 따라 두 품종의 평균 개화일수는 137일에서 77일로, 생육일수는 179일에서 121일로 짧아졌다. 3. 파종이 5월 15일에서 7월 15일로 늦어짐에 따라 경장은 150cm에서 81cm, 분지수는 17.0개에서 7.3개, 주경절수는 16.9개에서 10.3개로 감소되었다. 4. 주당 화방군수는 5월 15일 파종에서 65.6개이었던 것이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점차 줄어들어 7월 15일 파종에서 50.7 개이었다. 화방당 삭수는 32.1~33.4개로 파종기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1,000 입중은 5월 15일 파종에서 3.2 g이었던 것이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점차 무거워져서 7월 15일 파종에서 3.9 g이었다. 5. ㏊당 종실수량은 5월 15일 파종에서 1,820 kg이었던 것이 만파할수록 감소하여 7월 15일 파종에서 1,338 kg이었는데, 5월 15일과 30일 파종간에는 유의한 수량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제주지방에서 잎들깨 품종의 채종을 위한 파종적기는 5월 상순-하순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