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value of dialogue journal use for literacy development has been empirically substantiated from both first and second language studies. This experimental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dialogue journal writing on the writing quality and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of EFL college students in Korea. Subjects were 207 freshmen in four reading sections of a freshman English course. For a 10-week period, subjects in two experimental groups wrote dialogue journals, and their progress was compared with the progress of subjects in two control groups who answered comprehension questions in a pretest/posttest format. Writing quality was assessed holistically in two essays. Reading achievement was evaluated with two reading comprehension subtests of TOEFL. Results indicated that the journal-writing groups progressed better in the two areas, although not always to a degree tha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ome limitation was also noted. It was concluded that the use of dialogue journals could be an effective technique in EFL instruction, as in L1 and ESL instruction, with general and particularly with reading courses.
대화일지 쓰기는 학습자와 교사 간에 자연스럽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장이다. 대화일지를 통해 학습자는 부담감 없고 자유롭게 자기 생각을 표현하고 교사는 학습자의 글을 피드백해 줄 수 있다. 본고에서는 대화일지 쓰기를 통해 교사의 피드백 유형이 학습자의 쓰기 능력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 대화일지가 학습자의 쓰기 학습에 대한 자신감, 불안감, 부담감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실험을 통해 밝혀 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8주 동안 중급과정에서 한국어를 배운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대화일지 쓰기를 통한 교사의 피드백이 학습자의 쓰기 능력과 불안감 감소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중 쓰기 능력에서는 대화일지를 통한 형태 중심․의미 중심의 피드백이 기존의 직접적인 피드백보다 담화 구성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