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ssessed dried vegetables derived from sweet potato petioles to promote the use of typically discarded aerial parts. The length (18.25 to 35.00 cm) and thickness (4.59 to 6.66 mm) of the petioles varied by variety, with ‘Hophungmi’ and ‘Tongchaeru’ showing promise for dried vegetable processing due to their longer and thicker petioles. In terms of color, ‘Hophungmi’ and ‘Shinmi’ exhibited high lightness, ‘Tongchaeru’ and ‘Hayangmi’ displayed strong redness, and ‘Pungwonmi’ had high yellowness. Rehydration rates and hardness increased over the harvest period, with ‘Pungwonmi’ and ‘Tongchaeru’ demonstrating excellent rehydration capacity. Additionally, ‘Hayangmi,’ ‘Shinmi,’ ‘Tongchaeru,’ and ‘Hophungmi’ maintained lower hardness levels, appealing to consumers who prefer a softer texture. Notably, the substantial polyphenol content (10.70 to 16.20 mg GAE/g) and flavonoid content (4.79 to 8.11 mg CE/g), along with antioxidant activity (DPPH: 1.11 to 2.14 mg, ABTS: 5.51 to 7.78 mg TE/g), indicate their potential as antioxidant-rich functional foods. This research supports the development of dried vegetable products tailored to consumer preferences.
ESR spectroscopy에 의한 방사선 조사 건조향신료의 조사여부의 정확한 판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방사선 조사 유래의 cellulose radical에 대한 parameter를 분석하였다. 건조향신료 분말 4종(고추, 마늘, 양파, 후추)에 대하여 0, 1, 5, 10 kGy의 감마선을 조사한 후 ESR signal을 분석하였다. 방사선 조사된 4종의 건조향신료는 모두 방사선 조사 유래의 triplet signal인 cellulo
각종 가공식품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건조 채소류 중 표고버섯, 시금치, 무청, 미나리, 무, 호박 등 6종에 대하여 1, 4, 7 kGy의 선량으로 감마선을 조사하고,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kGy와 thermoluminescence (TL) 등 물리적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감마선 조사 여부를 확인하였다. PSL 측정에서 비조사 표고버섯, 시금치, 무청, 미나리, 무 및 호박에서는 각각 및 수준의 photon co
건조 채소류 중 건조 양파 및 마늘에 대하여 감마선 조사(1,4,7kGy)에 따른 검지특성을 photostimulated luminescence(PSL), thermoluminescence(TL) 및 electron spin resonance (ESR)분석에 의해 확인하였다. PSL분석 결과, 건조 양파 시료는 설정된 negative 및 Positive 기준에 맞게 비조사군과 조사군의 차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건조 마늘의 경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