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1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of emotional responses between two types of e-magazines published—one with cinemagraph images and another with general still images. To conduct this study, a total of nine pages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contents according to each theme and samples of e-magazine with a total of nineteen sections of images were exposed to a total of thirty persons of subjects. Fifteen person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viewing the cinemagraph images, and other fifteen person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viewing the general still image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emotional respons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wenty-eight items of positive emotional responses out of forty-two items of the emotional responses were more foun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fourteen items of negative emotional responses affected the control group m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where the differences in the mean value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negative emotional responses were not examined but fourteen positive emotional response items such as Loveliness, Merriness, Freshness, Activeness, Attractiveness, Powerfulness, Heartwarming, Joyfulness, Interesting, Confidence, Excitement, Cheerfulness, Humorousness, and Amazement were found; in the control group, positive emotional responses were not found but three items of negative emotional responses such as Ambiguousness, Stuffiness, and Boredom were found.
        4,200원
        2.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motional images and preference of knitwear by tone on tone combination. The subjects were 357 university students in Daejeon and Chungnam province, and the measuring instruments were 6 stimuli manipulated by color and tone combination type of background and pattern in the tone and tone combination, and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s consisted of emotional images items, preference items, and subjects' demographics attributions. The data were analyzed by Cronbach's α, factor analysis, t-test, M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ur factors (attractiveness, conspicuity, mildness, and activity) are emerged on emotional images of knitwear. Second, color had main effects on emotional images and preference. Gray color was perceived as most attractive image and more preferred than others. Third, tone combination type had some effects on emotional images. Vivid tone background/light tone pattern was perceived more attractive image but less conspicuous and mild than light tone background/vivid tone pattern. Forth, subjects' gender had an effects on conspicuous image. Male was perceived more conspicuous image on knitwear stimuli than female. Fifth, color and subjects' gender had interaction effects on attractiveness image and preference. Male perceived that blue is more attractive and preferred than female.
        4,300원
        3.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인의 전형적인 3가지 유형의 눈 모양 (표준 눈, 작고 외겹 눈, 올라간 눈)에 대해 명암을 변화시킨 5가지 스모키 메이크업 일러스트레이션의 이미지를 시각적 감성언어를 사용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눈의 형태와 스모키 메이크업의 돈 변화(아이 쉐도우의 명암 조절)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들을 표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 스모키 메이크업 일러스트레이션들의 이미지에 대한 메이크업 전공학생과 전문가 집단의 인식은 대부분 일치하였으나, 메이크업에 대한 테크닉 구사 능력과 식견의 차이뿐만 아니라 세대 차이 등으로 인해 몇몇 일러스트레이션들에 대해서는 뚜렷한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스모키 메이크업 일러스트레이션 자극물을 통하여 느껴지는 다양한 감성언어를 눈 형태와 스모키 메이크업의 톤 변화에 따라 느끼는 감성반응을 정리한 메이크업 이미지 포지셔닝 맵을 제시하였다. 무 메이 크업, 소프트 스모키, 면적 스모키에 대한 두 집단의 연상이미지는 각각 부드럽고 따뜻한, 부드럽고 정적 도시적, 차갑고 심플한 것으로 동일하게 평가 되었다. 반면에 면적 스모키에 대한 연상이미지는 인공적인 것(전문가 집단)과 선명하고 돋보이는 것(전공학생 집단)으로 다르게 평가되었다. 어두운 톤(dark)의 면적 스모키는 두 집단 모두 대체적으로 역동적이라는 감성평가가 나왔다. 눈 모양에 따른 메이크업 포지셔닝 맵은 스모키 메이크업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다양한 이미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추후 다양한 눈 모양에 따른 이미지 포지셔닝 맵을 통하여 이미지 감성을 정량화 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4,000원
        4.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GI(Computer-generated Image) 기술은 이미지 생성을 자동화한다는 측면에서 디자이너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CGI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두 가지 중요한 활동은 이미지의 제작과 관리이다. 다양성을 추구하는 디자이너에게 추상이미지의 자동 생성과 같은 기법은 자유로운 형태의 이미지 획득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중요한 이슈는 방대한 분량의 이미지를 적절한 메커니즘을 통해 관리하는 것이다. 추상이미지는 특성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검색어 설정이 어려우며, 분류 역시 까다로운 문제로 남아있다. 본 논문은 디자이너에게 친숙한 조형 요소와 감성 요소를 분류와 표현의 정보로 이용함으로써 자동 생산된 추상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분류하고 표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추상이미지에 대한 적절한 분류와 표현은 이미지 데이타베이스 구축 및 검색에 있어 간결하고 효과적인 기술로 활용할 수 있으며 대규모 컨텐츠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4,000원
        5.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GI (Computer Generated Images) 기술은 컴퓨터에 의한 자동 이미지를 생성하고 활용하는 기술로, 컴퓨터 게임 및 맞춤형 그래픽스 응용에 활용이 기대되는 기술이다. 본 논문은 CGI 중 추상 이미지에 대해 감성 정보를 정의할 수 있는 체계를 제안하고, 이를 활용하는 저작 시스템을 설계한다. 감성정보를 표현하기 위해 본 논문은 XML 확장을 정의하여 CGI의 형태, 색채, 감성 정보를 표현하며, 검색 인터페이스를 설계하여 적절한 수준의 감성이미지 검색하여 새로운 이미지 저작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감성이미지는 사용자 감성에 반응하는 맞춤형 컴퓨터 게임, 감성형 스크린세이버 등 다양한 감성 그래픽 응용에 활용될 수 있다.
        4,000원
        6.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sales attempting of emotion between the flower shop and cafe is increasing by their strategic partnership. The combination of them, however, is at an early stage. So it’s unsystematic and also related research is not entirely satisfactory. Thus, the research tried to contribute to flower cafe’s vitalization by analysing the image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factor of the flower cafe. The subjects of analysis are 6 flower cafe located in Gangnam-gu, Seoul. The research method is as in the following. General public group and professional group, each of them is 100 people, are the research object. They did a survey which is about their sense of the flower cafe, visual preference about display elements,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the cafe and a difference of awareness between the groups. Collected material was analyzed by SPSS statistics 18 program.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that they preferred color of all display elements and didn’t prefer POP(Point of Purchase Advertising). Additionally, an average of ‘Modernistic-Traditional’, which is an adjective item of cafe image characteristic, is the highest while the average of ‘Graceful-Unpretentiously’ is the lowest. In the research,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visual preference about display elements is display goods, and the most influence elements in image characteristic of cafe is scale feeling. Moreover, there are the difference between a gender about preference and image characteristics. Especially, the general public group has higher perception than the professional group under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flower cafe makes user easily access to flower and plants, and there is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visual preference and image of display and preference of ca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