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예비노인세대를 대상으로 가족관계와 고용차별의 관계에서 연령주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A시에 거주하는 예 비노인(54세~64세)에게 면접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509부를 분석에 사 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각 변 인 간 영향력 검증을 위한 중다회귀분석, 연령주의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비노인세대 의 연령주의는 가족관계와 고용차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는 가족관계와 고용차별에서 연령주의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노인세대의 가족관계를 강화함 으로써 이들의 삶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인 일과 관련된 주요변수인 고용차 별을 완화할 수 있고, 가족관계 수준이 낮더라도 연령주의를 다양한 경로로 활용한다면 예비노인이 경험하는 노동이라는 특정영역에서의 고용차별을 완 화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이러한 통합적 경로확인을 바탕으로 예 비노인세대가 역할 축적과 가정-일을 풍요롭게 영위할 수 있도록 매우 고령 까지 경험할 가능성이 있는 고용차별을 낮추거나 예방할 수 있는 다양한 방 법을 모색하였다.
        6,000원
        2.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2016년 4월 16일 북한이 유엔여성차별철폐위원회에 제출한 북한의 여성차별철폐협약 2·3·4차 통합 이행보고서의 고용복 지 조항을 분석·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대상은 북한이 유엔여성차별철폐위원회에 제출한 ① 북한의 여성차별철폐협약 2·3·4차 통합 국가이행보고서, ② 유엔여성차별철폐위원회가 추가로 요청한 쟁점목록, ③ 이 쟁점목록에 대한 북한의 답변서, ④ 유엔여성차별철폐위 원회의 최종 견해에 나타난 고용복지 부문 내용들이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상기 문헌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결 과, 첫째, 법령과 고용지원의 경우 북한은 유엔여성차별철폐위원회의 가장 많은 지적과 다수의 권고를 받았다. 둘째, 고용(율)의 경우 북한은 유엔여성차별철폐위원회로부터 여성근로자의 관리직 진출을 보장할 것 을 귄고받았다. 셋째, 임금과 수당의 경우 북한은 유엔여성차별철폐위 원회로부터 남녀 동일노동과 동일임금 통계 부재, 관련 법률과 정책 검 토, 동일노동, 동일임금 정보와 통계를 정기적으로 공개할 것을 권고받 았다. 넷째, 노동보호의 경우 북한은 유엔여성차별철폐위원회의 추가 답변에서 북한 여성의 강제노역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였다. 하지만 유 엔여성차별철폐위원회의 최종 견해에서 여성 근로자의 노동보호에 대한 직접적인 권고가 부재했다. 다섯째, 사회보장의 경우 유엔여성차별 철폐위원회는 북한에게 남녀 동일한 정년 보장, 남녀 동일한 복지급여 지급기간을 보장할 것을 권고하였다. 이는 정년보장의 경우 이미 기 완료된 사안으로, 유엔여성차별철폐위원회가 최종적으로 이를 권고할 사 항이 아니라 판단된다. 여섯째, 양육과 부양의 경우 유엔여성차별철폐 위원회의 직접적인 최종 견해에서는 부재하고 다른 부문인 고정관념 부문에서 이를 지적하였다. 이는 유엔여성차별철폐위원회가 상술한 여 성차별철폐에 대한 법령과 고용지원의 경우와 마찬가지 문제로 북한의 의식과 제도 부문에 상호 교차되는 사안이다.
        10,200원
        3.
        2016.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ashion industry is one of the most labor intensive industries, and employs over 25 million workers in over 100 countries (Reinhard, Schmidt, Rützel, & Zentgraf, 2013). There have been many concerns regarding the poor working conditions of garment workers, including their long working hours, forced overtime, and hazardous working environments,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In Korea, competition has intensified within the industry with the emergence of global fashion companies, which has caused many fashion companies to move their production bases overseas in search of cheaper labor (Son, 2007). Thus, the labor problems that have arisen in the fashion industry are mostly about low wages and the poor working conditions of production workers. However, what about the labor problems of fashion industry workers other than those in production factories? Lee, Kim, Shin, Yoon, Lee, Chang, Chung, and Choi (2009) noted in their study that white-collar workers in fashion companies in Korea work longer hours, receive fewer benefits, and have a higher turnover rate than workers in other industries. In 2015, the poor working environment and low or absent wages of fashion industry interns came under public scrutiny (Kim, 2015; Kwon, 2016). In addition, there were cases in which body size was specified when hiring fashion designers, which raised the question of discrimination based on physical appearance (Kim, 2015). These employment conditions are important factors that influence fashion design majors entering the job market. Hence, regarding this and the physical body size discrimination of fashion designers in the Korean fashion industry, the aims of this paper are twofold: 1) to examine the present situation of physical discrimination by analyzing fashion companies’ job advertisements and 2) to explore fashion major undergraduates’ opinions about job criteria that indicate potential physical discrimination. Two approaches were used in this exploratory study to examine potential hiring discrimination tied to job applicants’ body size; 1) investigation of job advertisements by fashion companies and 2) focus group interviews with fashion majors seniors or graduates looking for a work as fashion designers. First, job advertisements for fashion designers placed on major fashion recruiting sites (e.g., www.saramin.co.kr, www.fashionscout.co.kr, and http://cafe.naver.com/fashionworking) in 2015 were reviewed to deter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which physical conditions or specific body measurements are set as job requirements or preferred qualifications when hiring fashion designers (n=201). Next, five focus group interviews with seven university seniors each(n=35) were conducted. No fashion companies that were looking for experienced fashion designers only (n=65) included a physical body-size requirement in the job advertisement. Thus 136 fashion designer interns or entry-level fashion designer advertisements were used in further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job requirements”, among those 136 advertisements, 51.5% required education and only 16.2% required a related major along with education, 10.3% required fitting capable size (e.g. female fitting size 55) and 13.2% even presented detailed body measurements (e.g. height 175–178 cm). Among the “preferred” qualifications mentioned in the advertisements, fitting capable size accounted for 6.6%, detailed body measurements accounted for 2%.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physical conditions capable of fitting were presented more frequently than major as requirements or preferred qualifications, indicating that physical conditions capable of fitting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hiring fashion designers. Based on the five focus group interviews, participants’ opinion toward body size requirements in job advertisements were summarized into five themes: 1) Discontent over the unreasonable standard— “Why do I have to have a model figure to become a fashion designer?”; 2) Adapting to given circumstances— “I will lose weight to become a fashion designer”; 3) Frustration over reality that can’t be changed with effort— “I can lose weight, but I can’t get any taller”; and 4) Setting practical alternatives—“I can be a children’s clothing designer instead of women’s”. Most respondents shared a sense of discontent over such hiring requirements and unreasonable discrimination on the grounds of appearance, but they also showed reluctant acceptance of the unreasonable discrimination practiced by employers in the fierce job market. The physical restrictions set as requirements by fashion companies fundamentally deny opportunities to some applicants. Importantly, the outright specification of a physical condition that cannot be overcome through personal effort or improved by the cultivation of skills as a hiring requirement is an infringement upon personal rights. The fashion industry should make efforts to improve its awareness of fashion designers as specialists equipped with design competencies instead of treating them as fitting models simply to save costs.
        3,000원
        5.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우리 나라 해운 기업에 있어서 여성인력활용의 저해요인과 개인능력, 성차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여성인력의 중요성과 특수성을 검토하고 해운산업 내 여성인력 활용실태와 성차별을 진단하기 위한 것이다. 즉, 해운산업에 있어서의 여성인력의 활용과 그 저해요인, 개인능력 및 성차별에 대한 인식차이를 분석함으로써, 해운기업들의 여성 인적자원관리상의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우리 나라 해운기업들의 인식에 있어서, 실증조사결과, 우리 나라 해운기업들의 인식에 있어서, 여성인력활용의 고용저해요인과 개인능력 및 성차별정도에 대해 남녀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여성인력의 성차별은 직무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실증분석 되었다. 즉 해운 산업특유의 여성인력활용에 대한 배타적 인식의 수정이 시급히 요구되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