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focuses on evaluating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xtruded cassava starch added with corn flour. The raw materials were mixed at different ratios (corn flour/cassava starch 0:100, 25:75, 50:50, 75:25, 100:0 [w/w]), then extruded at different barrel temperatures (120 and 140°C) and moisture contents (20 and 25%), with the physicochemical and pasting properties of extrudates finally analyzed. The obtained results showed that the addition of corn flour to the mix resulted in an increase in specific length, lightness, yellowness, water absorption index, water solubility index, final viscosity, and setback viscosity of extrudates, while there was a decrease in redness and piece density. Other properties including the expansion ratio, reducing sugars, cold viscosity, peak viscosity, hold viscosity, and breakdown viscosity were more likely to be subjected to barrel temperature and moisture content. Mixing corn flour with cassava starch ameliorated the expansion properties, color, and some pasting properties of mixed extrudate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use of corn flour and extrusion process with different barrel temperatures and moisture contents provided valuable data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extruded cassava starch.
        4,000원
        2.
        201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압출성형을 통한 저DE덱스트린 제조공정을 확립하기 위해서 수분함량 25, 35% 배럴온도 100, 120oC, 스크루 회전속도 150, 250 rpm에서 압출성형한 전분을 알파아밀라아제로 당화시켰을 때 당화특성을 연구하였다. 수분용해지수는 원료전분 수분함량이 25%로 감소할 경우 증가되었으며, 수분흡착지수도 수분의 감소와 함께 전체적으로 증가하였다. 환원당함량의 경우 수분함량이 낮고 배럴온도 높을수록 증가되었다. 120 분간 당화 후 DE 63.8로 높게 나타났다. 비기계적 에너지 투입량(SME)의 증가와 함께 수분용해도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또한 수분함량의 감소와 함께 비기계적 에너지 투입량과 수분용해도는 증가하였다. 페이스트점도는 원료전분의 수분이 낮고, 스크루 회전 속도가 증가할수록 전분사슬의 절단에 따라 저온최고점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초기반응속도는 수분함량이 25%로 낮고 배럴온도 120oC, 스크루 회전수 250 rpm에서 2.26 × 10−3mmol/mL·min로 가장 높았다. 시중 호화전분 1.83 × 10−3mmol/mL·min에 비해서도 높은 결과를 보였다. 당화속도상수는 히구치모델을 응용하였으며, 수분함량이 낮고 배럴온도가 120oC일 때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 초기반응속도, 당화속도상수, 당화수율 등을 고려할 때, 최적조건은 수분함량 25%, 배럴온도 120oC, 스크루 회전속도 250 rpm이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