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eathery branched green alga Bryopsis plumosa (Hudson) C. Agardh bloomed at Songji Beach, Haenam, Korea, in November 2022. A terrible stench was present on the beach, and the bottom was covered in a thick green mat of green algae. The alga was identified as B. plumosa, which is an opportunistic species currently distributed worldwide.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N) and 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 (DIP) were analyzed in the bloomed area and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vicinities. The DIN and DIP concentrations were 1.067 and 0.461 mg L-1, respectively, which were 6 to 19 times higher than the average concentrations on southwest coasts, including Haenam. The B. plumosa bloom at Songji Beach in November 2022 appears to have depended on DIN and DIP concentrations in seawater. In this study, we report on the mass occurrence of B. plumosa, which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is occurrence was foun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s in seawat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s on land flowing into coastal waters to control green algal blooms such as Bryopsis.
        4,000원
        2.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oduction of macroalgae-derived adsorbent is of great importance to realize the idea of treating pollutants with invaluable renewable materials. Herein, a novel meso-micro porous nano-activated carbon was prepared from green alga Ulava lactuca in a facile way via chemical activation with zinc chloride. The resultant activated carbon possesses a significant specific surface area 1486.3 m2/ g. The resulting activated carbon was characterized and investigated for the adsorption of Direct Red 23 (DR23) dye from an aqueous environment. Batch method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s of different adsorption processes on the DR23 dye adsorption from water. Isotherms and kinetics models were investigated for the adsorption process of DR23 dye. It was found that the adsorption data were well fitted by Langmuir model showing a monolayer adsorption capacity 149.26 mg/g. Kinetic experiments revealed that the adsorptions of DR23 dye can be described with pseudo-secondorder model showing a good correlation (R2 > 0.997). The prepared activated carbon from Ulava lactuca was exposed to a total of six regeneration experiments. The regeneration result proved that the fabricated activated carbon only loses 19% of its adsorption capacity after six cycles. These results clearly demonstrated the high ability of the obtained active carbon to absorb anionic dyes from the aqueous environment.
        4,900원
        3.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marine ulvalean species (Chlorophyta) was collected from the eastern coast of Korea. This species is morphologically characterized by a distromatic, dark to medium green and mostly irregularly orbicular or irregularly expanded thallus with entire or undulate margin without serrations. Vegetative cells are irregularly polygonal with distinctly rounded corners in shape, and have chloroplast completely covering the outer cell wall and one to two pyrenoids per cell. In a phylogenetic tree based on IT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s, this Korean alga nests in the same clade with Ulva sublittoralis, as a sister clade of U. californica, U. flexuosa and U. tanneri, which share the irregularly orbicular or expanded thallus normally without teeth cells. The genetic divergence between them is intraspecific within Ulva. Accordingly, it is identified as U. sublittoralis based on th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This is the first record of Ulva sublittoralis in the Korean marine algal flora.
        4,000원
        5.
        2018.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진두발 야외 개체군의 시·공간적 생장과 성숙 및 숙주 진두발과 내생조류의 온도, 조도, 광주기 등에 대한 생리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7년에 계절별로 서해안의 2개 정점(만리포와 학암포)과 남해안 1개 정점(정도 리)에서 조간대 조위별(상, 중, 하부)로 방형구(0.25 × 0.25 ㎝)를 놓고 방형구내에 서식하는 진두발을 전량 채집하여 생식상태(과포자체, 사분포자체, 영양체)별 생장을 확인하였다. 또한, 숙주 진두발에 서식하는 내생녹조류인 Ulvella ramosa의 환경 조건별 생장 연구를 실시하였다. 홍조류 진두발 야외개체군의 생식상태별로 계절별 및 정 점별, 조위별 길이를 비교하면, 정도리의 경우 과포자체는 봄철 조간대 중부에서 8.17±0.61 ㎝로 최대였고, 봄철 조간대 하부에 2.15±2.15 ㎝로 최소였다. 사분포자체는 봄철 중부에 서 9.69±0.45 ㎝로 최대였고, 봄철 상부에서 4.06±2.03 ㎝로 최소였다. 영양체는 봄철 중부에서 6.42±0.56 ㎝로 최대였고, 가을 중부에서 1.74±1.74 ㎝로 최소였다. 만리포의 과포자체 는 여름철 중부에서 5.90±0.09 ㎝로 최대였고, 가을 상부에서 2.81±1.78 ㎝로 최소였다. 사분포자체는 여름철 하부에서 7.12±0.08 ㎝로 최대였고, 봄 상부에서 5.19±0.46 ㎝로 최소 였다. 영양체는 여름철 하부에서 6.86±0.33 ㎝로 최대였고, 겨울 하부에서 3.63±0.33 ㎝로 최소였다. 학암포의 경우 과포 자체는 여름철 하부에서 6.82±0.18 ㎝로 최대였고, 봄 상부에 서 2.21±.0.05 ㎝로 최소였다. 사분포자체는 가을철 중부에서 6.72±0.14 ㎝로 최대였고, 봄철에는 모든 조위에서 관찰되 지 않았다. 영양체는 가을 중부에서 6.11±1.78 ㎝ 최대였고, 겨울철 상부에서 1.81±0.08 ㎝로 최소였다. 조위별 진두발의 생장은 상부의 경우 3.32-5.53 ㎝로 정도리에서 최대였고, 학암포에서 최소였다. 중부에서는 4.10-6.03 ㎝로 정도리에 서 최대, 학암포에서 최소였다. 하부는 4.22-5.41 ㎝로 만리포 에서 최대, 학암포에서 최소를 보였다. 홍조류 진두발 야외개체군의 계절별, 정점별로 엽체의 길 이는 1.22-6.37 cm로 여름철에 정도리 해안에서 최대를 나 타냈고, 봄철에 학암포에서 엽체 길이가 최소였다. 진두발 엽체의 무게는 습중량으로 0.05-1.18 g wet weight였으며, 가을철에 정도리에서 최대였고, 봄철에 학암포에서 최소였 다. 진두발의 생물량은 81.44-609.13 g/m2 범위로 가을 학 암포에서 최대였고 봄철에 만리포에서 최소값을 보였다. 내생조류 Ulvella ramosa의 유주자 방출은 저온 (10 ℃) 과 고온 (25 ℃)의 모든 광도에서 억제되었으며, 15 ℃에서 는 100 μmol photons m-2 s-1의 높은 광도에서 유주자 방출 이 6-7일 후에 최대였으나, 20 ℃에서는 20 μmol photons m-2 s-1의 낮은 광도에서 6일 후에 최대로 나타남으로써 온 도와 광도의 상호작용이 있음이 나타났으며, 20 ℃, 20 μ mol photons m-2 s-1에서 많은 유주자를 방출하였으며, 2일 간격의 주기적 방출을 보였다. 내생조류 Ulvella ramosa는 다양한 온도와 광도에서 생장하였으며, 최대 생장은 20 ℃, 60 μmol photons m-2 s-1에서 일어났으며, 염분별 차이는 없었으며, 12: 12h L:D 광주기에서 빠른 생장을 보였다.
        9,900원
        6.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형녹조류인 Ulva pertusa는 전 세계 연안에 서식하는 저서성 종으로 대발생 또는 인공구조물에 착생되어 경제적, 사회적인 측면에서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착생생물을 제어하기 위해 신방오제인 ziram, diruon, zinc pyrithione (ZnPT), copper pyrithione(CuPT), DBNPA, triclosan 등이 방오도료로 사용 중이나, 대형 및 미세조류를 이용한 신방오 제들의 방오능 검증과 기초적인 연구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기 우점착생종인 구멍갈파래의 포자를 이용하여 방오제의 효능을 검증하고 생체막 형성의 우점종인 미세조류 Nitzschia pungens를 이용한 방오능을 검증하였다. 구멍갈파래포자의 운동성 검증에서 ziram과 ZnPT는 diuron, CuPT, DBNPA, triclosan보다 50% 높은 운동성 억제를 나타내었고 착생 검증에서는 ziram이 가장 낮은 착생률 1%로 나타났으며 CuPT는 100 ㎍/L의 농도에서 다른 대조군에 비해 80%의 성장율 억제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신방오제의 방오능을 검증하여 향후 방오능 검증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7.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조류의 최적생장 조건과 내성범위는 그 발달단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초기 정착단계에서의 생장은 성체로의 성공여부를 결정하는데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녹조 구멍갈파래 (Ulva pertusa)의 생식세포와 발아체를 이용하여 무기영양염류와 중금속이 발아와 발아체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들의 내성범위 및 최적조건을 구하고자 하였다. 먼저 광량에 따른 발아율은 동해와 서해해수 조건 모두에서 광량이 증가
        4,200원
        8.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동해와 서해에서 채수된 자연해수에서 녹조 구멍갈파래를 배양하여 생장을 비교하고 아울러 환경오염인자라고 할 수 있는 무기영양염류(질산염과 인산염)와 중금속(구리와 납)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먼저, 광량별 생장율은 서해해수조건보다 동해해수조건에서 뚜렷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이때 최적생장광량은 두 조건에서 공히 100μ molm-2 s-1인 것으로 나타났다. 엽록소 함량의 경우 60 μmolm­2S­1이하의
        4,300원
        9.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갈파래의 포자가 부착한 Agar와 Agarose코팅필름은 agar, agarose 또는 메탄놀의 농도에 따라 다양한 표면의 성질을 나타냈다. Sigma agarose 코팅필름에서 가장 많은 수의 포자 부착이 일어났다. Bacto agar과 그외 agarose으로 코팅한 필름에 부착한 포자는 Sigma agarose으로 코팅한 필름보다 12∼36배나 적었다. 2.5%와 5% 의 SeaKem agarose와 Bacto agar 코팅필름의 비교에서 두 개의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