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이나 건축공사와는 달리 조경분야의 프로젝트는 공정상의 특수성으로 인해 BIM 도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인접 분야인 건축, 토목 공사에서 BIM은 보편화 되고 있으며, 이를 고려할 때 향후 조경분야에서도 BIM 환경구축 및 도입은 필수적일 것이다. 특히 조경 BIM의 공종 도출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향후 조경분야 BIM 도입을 위해서는 조경 BIM 세부 공종 도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조경 BIM 도입 가능성의 검토와 세부 공종 도출을 통해 조경 BIM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경분야의 BIM 활용 방안 및 향후 발전 방향에 관한 내용이 도출되었다. 또한 대지분석 BIM, 공간계획 BIM, 조경요소계획 BIM의 3개 분야로 나뉜 조경 BIM 공종을 도출하였으며, 각 공종 분야는 다시 총 7개 부분의 31개 요소로 세분화되어 조경 BIM 세부 공종 내용이 도출되었다. 향후 본 자료를 바탕으로 국내 조경 프로젝트에 BIM을 도입하여 효율적인 조경 프로젝트 수행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일본 하코네지구의 경관특성을 파악하고, 지역 내에 건축물이 건설될 경우 조망경관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사와 토지이용상태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GIS와 MESH 분석을 통하여 11개의 경관타입으로 구분하였다. 한편, 건축물이 경관에 미치는 여향의 정도는 Y=0.47X+32.652(Y는 자연성의 평가치, X는 시거리, R2는 0.877)의 회귀식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조사지역에서 건축물의 신축이 지역경관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예측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체계적인 경관관리를 위한 자료와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lndoor landscape plays important roles in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s of inner building and play leading roles in offering green space to urban communities. as proffessionally part of technically construction, constucting indoor landscape, we have to frame the standard of materials and the standard of materials and the construction expanses because the demand of indoor landscape have risen increasingly.
Especially, indoor landscape have kept in being paltry and unproffesionalty under the present condition of no standards about the estimation of proper construction expenses, Also, when Unit Cost chart is made, there are no indicators or specific standards that evaluate unit price. So this study carried out to suggest the evaluating standards of plantings pen some areas. It can be the basis work of the making out the proper constructional expenes The progresses and details of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s
-first, the list of indoor plants and the standard of planter were suggested, through case study of indoor landscape and blue-drawings.
-second, the quantity of planting materials according to each standardized planter was suggested through the theoretical and numeric methods, the existed unit cost charts and survey of several indoor landscapes
-third, the quantity of typical planting materials according to each standized planter was also suggested.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s.
-the quantities per unit area of indoor ground cover flowing plants were 176/ m' in case of 3 chi planter of the type of upper growing, 127 I m' in case of 3 chi planter of the type of side growing. They were 94/ m2, 51/ m2, 38/ m2, 28/ m2 in order 4 chi, 5 chi, 7 chi, 7 chi planter of type of upper growing.
Also they were found out 67/m2, 32/ m2, 24/ m2, 18/ m2 in order 4, 5, 6, and ?chi planter of the type of side growing. This study have several limits suggesting only the quantity of plants per unit area, to make out unit cost. llereafter this study will be developed to suggest the unit standard and unit cost of the other materials besides planting materials in indoor landscape. And the labor cost per unit materials will be developed through the next studies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