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헬스케어 식물 생산단지에 대한 일반 시민들의 인식 및 이용행태를 분석하고, 이용 경험자와 미이용자에 대한 중요도, 만족도 분석을 통해 향후 활성화 방안 및 개선 방향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 및 전문가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헬스케어 식물 생산단지의 주요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조사 결과를 토대로 헬스케어 식물 생산단지의 주요 요소에 대한 만족도와 중요도 기준IPA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헬스케어 식물 생산단지에 대한 인지수준 및 방문률이 높지는 않으나, 환경 인식 측면에서 생활수준의 향상 속에 환경개선이나 건강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헬스케어 식물 개념에 대한 공감대가 비교적 높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본적인 시장 수요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용 경험자와 미이용자 모두 헬스케어 식물 생산단지의 중요도 및 긍정적인 역할에 대해 공감하고 있으며, 이용 경험자 인식 조사 결과 향후 헬스케어 식물 생산단지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화훼나 묘목 관리를 우선으로 하며 다양한 친환경 프로그램 및 시설 개발, 이용자 편의 측면에서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이용자 인식 조사 결과 시설 이용 시 편의성에 대한 일부 우려가 있으나 향후 의용의향이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람이나 친환경 체험 등에 대한 기대감이 크기 때문에 전시시설이나 체험 프로그램 개발 및 홍보가 요구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헬스케어 식물 생산단지 및 기존 화훼 농가의 발전 방향 제시 등의 기초 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에는 헬스케어 식물 생산단지의 주요 요소별 시설 도출 및 설계 방안 등의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4,000원
        2.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무분별한 산업화로 인한 스카이라인의 무질서, 자연경관 오염 등은 경관의 훼손을 가속화시킨다. 이에 국토의 경관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 조성 및 복원하기 위하여 현재 환경부에서는 시행되어지 고 있는 개발사업 등을 대상으로 자연 경관 심의지침을 도입하였다. 제도에 입각하여 사업유형을 분류한 후, 정성적 평가를 시행하는 국내 지침 특성 상, 평가자에 의해 결과가 달라져 주관적이며 이는 곧 신뢰성의 문제로 이어진다. 반면 개발 대상지 각각의 평가 인자들을 도출한 후, 정성적, 정량 적 평가를 병행하는 영국의 경관영향평가는 지침의 유연성으로 인해 경관의 특이점을 반영하며 주 관적 관점 또한 최소화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및 영국의 경관영향평가에 대한 고찰과 영국 노썸버랜드 경관영향평가 사례 분석을 통하여 국내의 경관영향평가의 한계점과 보완 가능성을 제시 하였다. 이는 국내외 경관영향평가에 대한 기초적 연구로, 향후 이어질 경관영향평가의 세부적인 가이드라인 개발 또는 정책 수립에 합리적인 발전 방안 제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4,200원
        3.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훼손된 하천 수생태계의 훼손원인을 식별하고 그 전이 과정을 규명하기 위해 수생태계 훼손원인 진단체계를 구축하고 정책적 활용 가능성을 보고자 하였다. 수생태계 현황 조사 및 건강성 평가결과는 하천의 훼손에 대한 전반적인 상황을 알 수 있어 하천 복원 및 관리의 판단 근거로 사용된다. 그러나 하천이 훼손된 원인이나 훼손이 발생하게 된 전이 과정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진단체계를 제안하여 훼손원인과 그 전이 과정을 규명하였다. 미국, 호주, 유럽의 사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에 맞는 진단체계를 제안하였다. 총 8단계로 구성되며, 기초자료 조사, 하천 수생태계 훼손 판단, 훼손 구간 설정, 훼손 유형화 및 잠재적 훼손원인 도출, 본 조사, 주 훼손원인 진단 및 최적 훼손 모델 도출, 종합분석 및 하천 복원방안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진단체계는 하천 생태계의 복잡하고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여 훼손원인을 파악할 수 있으며 하천 복원 및 관리 방안을 제시하여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4,000원
        4.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present a semi-analytical method to calculate the global evolution of the ionized state of the inter- galactic medium, on the basis of physically motivated star formation histories in the early universe. This method incorporates not only the conventional scenarios in which the star formation rate is proportional to the growth rate of the halo collapse fraction, but also the more sophisticated scenarios in which the star formation is self-regulated. We show that this variance in the star-formation model strongly impacts the resulting reionization history, which bears a prospect for observational discrimination of these models. We discuss how observations of the anisotropic polarization of the cosmic microwave background and the global 21cm signal from the high-redshift universe, most notably by Planck and EDGES, may probe the history of reionization.
        4,500원
        5.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토목이나 건축공사와는 달리 조경분야의 프로젝트는 공정상의 특수성으로 인해 BIM 도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인접 분야인 건축, 토목 공사에서 BIM은 보편화 되고 있으며, 이를 고려할 때 향후 조경분야에서도 BIM 환경구축 및 도입은 필수적일 것이다. 특히 조경 BIM의 공종 도출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향후 조경분야 BIM 도입을 위해서는 조경 BIM 세부 공종 도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조경 BIM 도입 가능성의 검토와 세부 공종 도출을 통해 조경 BIM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경분야의 BIM 활용 방안 및 향후 발전 방향에 관한 내용이 도출되었다. 또한 대지분석 BIM, 공간계획 BIM, 조경요소계획 BIM의 3개 분야로 나뉜 조경 BIM 공종을 도출하였으며, 각 공종 분야는 다시 총 7개 부분의 31개 요소로 세분화되어 조경 BIM 세부 공종 내용이 도출되었다. 향후 본 자료를 바탕으로 국내 조경 프로젝트에 BIM을 도입하여 효율적인 조경 프로젝트 수행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3.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hile the significance and need of landscape assessment for rural area has been recognised, an appropriate method has not been established due to the lack of statutory ground and policy status in Korea. For that reason, current studies have been limited to dominantly amenity field survey in specific rural areas and stayed in academic. In particular, the majority of research on rural landscape amenity or character assessment methodologies so far has been attempted with quantitative processes. Such quantitative methods produced sometimes, heavily overlapped, conflicted, and not much meaningful characterisation and classification. Moreover, such results could not only have been reflected to policy implementation but provide vision for rural areas. Therefore, this study offers new facets for landscape character assessment methods through the lens of practitioners’ qualitative survey methods and moreover, seek a policy implementation of newly developed methodologies. In order to carry out such analysis, the study employed a case study of England’s Landscape Character Assessment and survey location was Gateshead Council, Northeast of England. The study suggests meaningful qualitative landscape character assessment method and review of its policy implementation.
        14.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planning of Biando fishing village where can be well-known fishing villages in Korea. In order to have highlighted a tourist attractions, the identities of Biando fishing village were investigated natural resources, amenity resources, ecological resources and so on. Based on these resources, the planning of Biando fishing village considers to between community facilities and community spaces. To create the attractive fishing village, the study was underwent 5 process. The 5 process is followed as; 1) Choose the planning site 2) Literature review 3) Fields survey 4) Site Analysis 5) Spatial Planning. Through those results, Biando fishing village were classified 4 spaces. Each 4 spaces have got their own theme. The main focus of 4 spaces was associated with communicating between space and space, connecting between space and space. The first space theme was "Meeting the geese" and the main focus of planning was entry space creating. The second space theme was "Walking in the heaven" and the main focus of planning was ecological resource exploring space and relaxing space. The third space theme was "Secret of shingle beach" and the main focus of planning was leisure and experience space. Last space theme was "Falling into the sea" and the main focus of planning was trekking and leisure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