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참가자 간 상관(Intersubject correlation: ISC)기법을 통해 정서 유발 자극에 대한 한 참가자의 반응과 그 참가자를 제외한 나머지 참가자들의 반응 간 일치성이 각 정서표상 범주(지배가, 각성가, 정서가)와 다양한 감각 양상(청각, 시각, 촉각)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참가자 간 상관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된 데이터 는 참가자들의 청각, 시각, 촉각 자극에 대한 생리 측정치와 정서 평정치로 구성되었으며, 한 참가자의 데이터 세트 와 나머지 참가자들의 데이터 세트의 평균으로 구분한 뒤 가능한 모든 자극 쌍에 대해 상관을 구하는 방식으로 참가 자 간 상관을 계산하였다. 연구 결과, 지배가를 기준으로 재정렬한 데이터 세트에 대한 참가자들의 반응 일치성은 청각 감각양상 조건보다 시각 감각양상 조건에서 높은 ISC 값을 얻었다. 다음으로 각성가로 재정렬한 데이터 세트의 경우 시각 감각양상과 청각 감각양상에서 차이가 있음은 같았지만, 지배가 기준으로 재정렬한 데이터 세트와 결과가 상반되었다. 마지막으로, 정서가를 기준으로 재정렬된 데이터 세트는 모든 감각양상에서 부정적인 데이터 세트들이 긍정적인 데이터 세트보다 참가자들의 반응 일치성이 더 높았다. 모든 데이터 세트에서 정서표상 범주의 높고 낮음 과 상관없이 촉각 감각양상에서 높은 ISC 값을 얻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참가자 간 상관의 다양한 감각양상과 정서 표상에 대한 반응의 일치성이 의미하는 바에 대한 해석을 제시하며, ISC 분석 방법이 참가자 반응의 차이에 대한 패턴을 측정하는 유용한 도구가 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Pancreatic cysts are a heterogenous group of lesions that can be differentiated into mucinous and non-mucinous cysts based on their malignant potential. Crosssectional imaging alone is inadequate to reliably distinguish between the two groups. Endoscopic ultrasound (EUS) and fine needle aspiration has been used for analysis of the cyst morphology and cyst fluid. Traditional markers such as fluid carcinoembryonic antigen and cytology have been useful particularly for the assessment of indeterminate cysts or those with high-risk features, but the overall diagnostic accuracy is still sub-par. As a result, new techniques have been described to improve the ability of EUS to risk stratify a pancreatic cyst. In this review, we describe some of the novel EUS‑based techniques in the evaluation of pancreatic cysts, namely needle-based confocal laser endomicroscopy, through the needle cystoscopy, and through the needle biopsy techniques.
This study explores effects of e-book and audio-book on EFL comprehension. It was conducted at a university in Korea with 75 college students. The whole experiment lasted for five weeks in 2020. To determine effectiveness of multiple modalities,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three different experimental groups: e-book, audio-book, and e-audio-book (a combination of e-book and audio-book) groups. While the e-book group was provided with passages in a text format, the audio group received the same passages in an audio format. The e-audio-book group was given both text and audio formats.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treatment, pretest and posttest were administered. As expected, the e-audio-book group benefited more than the other two groups in listening comprehension. However, they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reading comprehension than the audio-book group only. Additionally, the e-book group performed better in reading comprehension compared to the audio-book group. Based on these findings,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made.
췌장암은 비약적인 현대 의학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5년 생 존율이 여전히 5% 미만인 인류 최악의 악성 종양이다. 특히 효과적인 조기 진단검사와 백신을 이용한 일차 예방을 통해 위암, 대장암 및 간암의 생존율이 눈부시게 향상되고 있음에 비해 췌장암은 여전히 조기 진단을 위한 생물학적 표지자나 영상학적 검사가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임상적 한계는 췌장 암의 80% 이상이 근치적 절제수술이 어려운 진행성 상태로 진단되어 그 예후를 더욱 불량하게 만들고 있다. 또한 췌장암 은 발생 초기부터 전신 질환으로의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간 주되고 있다. 이는 근치적 수술이 가능한 췌장암의 경우 수술 후 간을 포함한 전이가 매우 빈번하다는 점과 췌장암 발생 초 기에 이미 전신 전이가 진행된다는 실험적 연구 결과들을 통 해 추정 가능하다. 즉, 대부분의 췌장암 환자는 전신 항암 치료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1990년대부터 표준적 전신 항암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gemcitabine이 여전히 표준 치료제 라는 사실은 췌장암의 치료가 얼마나 어려운지를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하겠다. 최근 FOLFIRINOX 및 albumin bounded paclitaxel/gemcitabine 병용요법이 전신상태가 상대적으로 양호한 진행성 췌장암 환자에서 괄목할 만한 효과를 보이고 있어, 진행성 췌장암의 치료에 새로운 희망을 불러오고 있다. 이와 더불어 immune check point inhibitor, CAR-T cell 등을 기반으로 하는 면역 치료, 암세포 특이 표적을 이용한 새로운 표적 치료제 및 췌장암 조직의 특징을 이용한 새로운 치료법 들이 시도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최근 진행성 췌장암의 항암 치료의 연구 동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All games support the meaningful play, and each mechanism producing meaning is various. In mobile role-playing game, automation of in-game action standardizes movements of avatars and diversify combat challenges. Thereby players reinforce their avatars and make various repertoires so as to cope with different contents. Players predict the result of their own actions based on short-term, juicy feedbacks. In conclusion, mobile role-playing game has 'strategy' as its action mode while the unit time required for meaningful play is highly reduced. This analysis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was the first step toward integrated change of game play experience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he sequence of increasing task complexity in different modalities on the learning of the English past tense of Korean secondary learners. Robinson’s (2007) Cognition Hypothesis argued that learners pay more attention to grammatical forms in complex tasks than in less complex tasks. He suggested that tasks should be sequenced in such a way that resource-dispersing dimensions are first increased in complexity followed by an increase in the complexity of resource-directing dimensions. However, little empirical research has been done on how tasks are sequenced according to their cognitive complexity and how task modality affects second language development in the sequence. Fifty-four learners were divided into an integrated (writing with oral interaction) task group (EG 1), an oral-only task group (EG 2) and a comparison group (CG). After the sequence of six tasks was completed, one-way ANOVA revealed the EGs outperformed the CG significantly on the posttest. The mean score of EG 1 was the highest, while the improvement rate of EG 2 was the highest among the three groups. It is hoped that this result will contribute to building a solid basis on which practitioners can make decisions about sequencing tasks and implementing task mod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