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신카이 마코토 감독 특유의 보이스 오버 내레이션의 형식과 특 징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작품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와 어떻게 연결되는 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신카이 마코토 감독 작품 속 내레이션의 형식적 특징은 다중진술과 복수 시점에 있다. 내레이션 주체가 복수의 형식을 취함으로써 유일한 권위적 진술 자를 상정하지 않고 다각적인 시점을 관객에게 제공한다. 시점의 다각화는 분 열이나 충돌로 나아가지 않고 화합하거나 합해짐으로써 메시지의 하나인 ‘이 어짐’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내레이션 구문의 특징을 이루는 것은 공 감각과 의인화 표현을 비롯한 문학적 묘사 기법에 있다. 객관적이고 사실주의 적인 진술이 아니라 내레이션의 주체가 느끼는 감정에 집중하는 묘사를 선택 함으로써, 관객의 경험이나 기억을 소환할 수 있는 감성적 접근을 하고 있다. 이것은 또 다른 메시지인 감성을 두드러지게 하는 효과를 가지며, 일상과 현 재를 재인식하는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6,600원
        2.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협의’는 제도적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대체로 동란의 시대에 자생적으로 형성 된 것이라 본질상 ‘탈중심적’이고 ‘반사회적’인 성향을 지닌다. 본고는 협의 서사가 ‘탈중심’적이고 ‘반사회’적 성질을 보유하고 있는 사기의 「자객열전」과 「유협열전」 의 협의 서사를 궁구한다. 상기한 협의 고사에서 인물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행동의 연쇄를 살피면, 혹은 ‘(조건 걸기)–주고–받고–답례하기’라는 조건부 증여가 서사를 끌어가고 혹은 ‘주고-받기’라는 순수 증여가 반복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답례’의 발생 여부에 주의하여 ‘주고–받기’의 과정에 천착해서 조건부 증여와 순수 증여가 어떻게 서술되어 의미를 형성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5,800원
        3.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engqing’s novel is unique in that she depicts and meditates on the latent state of human existence, if compared with other contemporary female novelists. To be more exact, she penetrates into the mental world of human beings with her outstanding depiction of the present existential reality. She dramatizes their dreams and desires yet meanwhile exposes the absurd and fantastic nature of them. She, on the one hand, grants her characters the right to dream to their heart’s content, and smashes their dreams silently but resolutely on the other. Furthermore, her various writing techniques, including the clever and diverse narrative perspectives, the echoing of characters, and the reverse but open endings, not only strengthen and highlight the themes, but also reinforce the charm of the novels.
        4,000원
        4.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現在까지 發表된 處容說話 및 處容歌에 對한 論文을 수합하여 이를 몇 개 項目으로 分類하여 整理하고 사이사이에 필자의의견을 보탠 것이다. 筆者의 能力의 限界로 말미암아 모든 자료를 수집할 수 없었으나, 약 330 여편의 논문을 검토하고 분야별 주요한 업적을 망라한 것이다. 그 분야는 국어학 민속학 문학 설화 역사 등이다. 원래 文學作品의 解釋이란 다양하기 때문에 筆者들의 완곡한 主張과 견해들을 집어 내는 일도 그리 쉬운 作業은 아니었다.어쨌든, 우리 民族傳統文化의 가장 요체라할 수 있는 新羅의 處容歌는 處容自體가 승려이든, 무당이든, 地方 豪族이든, 도래인이든 화랑이든 간에 우리의 精神史的 맥락 속에서 길이 記憶되고 우리 先人의 情緖를 오늘에까지 이어 오는데 커다란 役割을 하고 있다. 그리고 우리의 古代社會라 할 수 있는 新羅의 社會ㆍ歷史ㆍ言語들이 더욱 硏究되고 學問間의 상호보완이 이루어질 때 이 處容歌의 原來의 모습은 더욱 우리 가까이 다가 올 것으로 생각된다.
        9,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