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8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노지 나방류 해충인 담배거세미나방 방제를 위한 유충기생성 천적 2종인 긴등기생파리와 예쁜가는배고치벌 의 방사조건을 확립하고자 콩 재배포장에서 방사거리 및 방사밀도별 기생율을 조사하였다. 긴등기생파리는 방사 후 24시간 이내 방사지점으로부터 10m까지 이동하여 나방류 유충을 기생하였으며, 예쁜가는배고치벌도 방사지점으로부터 15m에서도 기주유충에 산란하여 고치가 형성된 것이 확인되었다. 긴등기생파리는 면적당 방사밀도가 높아질수록 기생율이 증가했으며, ㎡당 0.15마리(천적:해충=1:5) 방사했을 때 평균기생율 63.1%로 나타났다. 예쁜가는배고치벌은 긴등기생파리와 같은 방사밀도에서 평균기생율 47.8%로 확인되었으나, 방사 밀도에 따른 기생율 차이는 없었다.
        2.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box tree moth, Cydalima perspectalis (Walker, 1859) (Lepidoptera: Crambidae), is a native species in East Asia specialized in box trees (Buxus sp.) but has recently invaded most European countries. Due to the absence of its natural enemies in Europe, the economic impact is serious in most countries. In order to find parasitoids as biological control agents in Korea, C. perspectalis larvae were collected from ornamental and native box trees from various regions of the country from 2022 to 2023. While rearing them in the insectary, several parasitoids emerged from the larvae. We found at least six larval parasitoids, including five wasp species and one fly species. Molecular diagnosis using the nucleotide sequences of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oxidase subunit I (COI) showed that most samples were 90–97% identical to the data in the NCBI database.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determine biological and parasitic characteristics, such as developmental rate, fecundity, host specificity, and parasitic rate, to clarify the suitability of parasitoids as biological control agents.
        8.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pedestris Fabricius)는 지역에 따라 사과에 심각한 경제적 피해를 야기하고 있지만, 사과에서 톱다리개미 허리노린재 친환경 방제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 성분 중 (E)-2-hexenyl (Z)-3hexenoate (E2HZ3H)이 노린재검정알벌(Gryon japonicum Ashmead)과 노린재깡충좀벌(Ooencyrtus nezarae Ishii)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사과 과수원에서 E2HZ3H는 전체 과수원에 발생하는 2종의 포식기생자의 밀도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았고 이들 포식기생자의 공간분포도 변화시키지 않았다. 그러나, E2HZ3H 루어가 설치된 지역 주변에서는 2종의 포식기생자 모두 제한적으로 유인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E2HZ3H 루어는 사과 과수원 내에서 정밀방제를 목적으로 친환경 방제에 고려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9.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감귤의 해충인 귤굴나방(Phyllocnistis citrella Stainton) 의 포식 기생자 천적의 종류와 기생률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2013~2014 제주 감귤원에서 발견된 귤굴나방 포식 기생자 천적은 좀벌상과에 속한 총 7종을 발견되었다. 그 중 좀벌과에 속한 Sympiesis striatipes가 73%, Quadrastichus sp.가 22%로 우점하였다. 나머지 종은 Neochrysocharis sp., Ageniaspis sp., Pnigalio sp., Holcopelte sp., Trichomalopsis sp. (Pteromalidae) 등이었다. 천적의 평균 기생률은 관행방제 과원에서 10.7%, 무농약 과원에서는 32.2% 이었다.
        4,000원
        12.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arasitic wasps are a good source of natural enemies for pest control. Due to the presence of unique biodiversity in Ulleungdo and Dokdo Islands, we surveyed aphid parasitoids in these two islands. We collected aphids and their mummies then identified emerged wasps in both morphological and molecular ways. We found 6 species of aphid parasitoids belongs to Aphelinidae and Braconidae. Two species of the genus Aphelinus belongs to Aphelinidae were emerged from Aphis nasturtii and Macrosiphoniella formosatemisiae. Three species of the genus Aphidius belongs to Braconidae were emerged from Ahpis rumicis, M. formosatemisiae and Capitophorus elaeagni. One species of the genus Lysiphlebia belongs to Braconidae was emerged from Aphis gossypii, Molecular analysis provided genetic informations for species diagnosis of parasitoids. We also analyzed genetic and ecological informations of identified parasitoids to evaluate potential source of natural enemies.
        13.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주요 발생지인 구례 지역의 산수유, 때죽나무를 중심으로 2018년 8월에서 9월 사이에 갈색날개매미충 월동 난괴를 채집하여 날개매미충알벌(phanuromyia spp.)의 온도별(15℃, 20℃, 25℃, 30℃) 발육기간, 수명 및 우화 후 15일간의 총 산란수를 조사하였다. 날개매미충알벌의 발육기간은 25℃에서 알 2.6일, 유충 5.4일, 번데기 15.0일, 30℃에서 알 1.9일, 유충 7.6일, 번데기 13.7일이 소요되었다. 날개매미충알벌 성충의 온도별 수명은 15℃에서 암컷 77.4일, 수컷 66.6일, 20℃에서 암컷 49.0일, 수컷 44.0일, 25℃에서 암컷 27.6일 수컷 28.4일, 30℃에서 암컷 18.0일, 수컷 14.0일로 암수 모두 사육온도가 높아질수록 수명이 짧아졌으며 15℃와 30℃에서만 암수 수명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온도별 총 산란 수는 15℃를 제외한 나머지 세 가지 사육온도에서 산란 수 차이는 없었으나 25℃에서 평균 23.2개로 가장 높았다.
        1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2017년 4월부터 12월까지 갈색날개매미충 알기생봉의 주요발생지인 구례, 순천을 포함한 총 5개의 지역에서 월동난괴를 채집하여 산란특성 및 월동률을 조사하였다. 야외에서 2차례(12월,4월) 채집해온 월동난괴를 실내조건(25 ± 1℃, 40~60% RH, 16L:8D)에 두고 월동률 및 치사율을 조사한 결과 순천과 구례가 각각 월동률 19.69%, 18.17%, 치사율 5.89%, 4.88%로 높은 수치를 보였다. 평균수명인 약 20일 동안의 산란 분포는 주로 우화 후 1~5일 사이에 전체산란 수 중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우화 1일 후에 평균 산란 수 9.2개로 가장 높은 산란력을 나타냈다. 실내에서 하루 중(2시간 단위) 알기생봉의 산란은 주로 20:00-24:00에 분포하였으며 소등(24:00) 후 2:00부터 다시 산란하기 시작하였다.
        15.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전국 29개의 지역에서 갈색날개매미충(Ricania spp.) 난괴를 채집하여 갈색날개매미충 알기생봉(Telenomus spp.)의 발생 분포 및 생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강원도를 제외한 내륙의 19 지역에서 갈색날개매미충의 난괴로부터 알기생봉이 출현하였다. 알기생봉에 기생된 구례지역 채집 난괴를 실내조건 (25 ± 1℃, 40~60% RH, 16L:8D)에서 관찰한 결과, 알기생봉의 평균발육기간(day)이 알 2.6, 유충 5.4, 번데기 15.0 였으며 알부터 성충 우화 전까지 20.0였다. 6월부터 8월까지 일주일 단위로 채집된 구례지역의 갈색날개매미충 미부화 월동 난괴에서 알기생봉은 7월부터 난발육을 시작하여 8월중순에 우화하였다. 우화한 알기생봉은 갈색날개매 미충 신성충의 알에 기생하여 20일 후 재발생 하였고 다시 산란하여 알 상태로 월동하였다. 실내조건에서 알기생봉은 점등 후 우화하기 시작하여 2-4시간 후에 가장 높은 우화율을 보였고 점차 감소하여 소등 이후에는 전혀 우화하지 않았다.
        16.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감귤의 해충인 귤굴나방의 기생성 천적의 종류와 기생률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2013~2014 제주 감귤원에서 발견된 귤굴나방 기생봉 천적은 좀벌상과에 속한 총 7종이 발견되었다. 그 중 좀벌과에 속한 Sympiesis striatipes가 73%, Quadrastichus sp.가 22%로 대부분을 점유하였다. 나머지 종은 Neochrysocharis sp., Ageniaspis sp., Pnigalio sp., Holcopelte sp., Trichomalopsis sp.(Pteromalidae) 등이었다. 천적의 평균 기생률은 관행재배에서 10.7%, 무농약 과원에서는 32.2%를 나타냈다.
        17.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eetles of the genus Monochamus Dejean (Coleoptera: Cerambycidae) are the most important vectors of the pine woodnematode (PWN), Bursaphelenchus xylophilus (Steiner & Buhrer) (Nematoda: Aphelenchoididae). The most efficient wayto control pine wilt disease is to decrease the population levels of the vector Monochamus beetles. Specific and efficientnatural enemies would be an interesting and environmental-friendly option. From 2016 to 2017, we investigated on thelarval parasitoids associated with M. alternatus Hope and M. saltuarius Gebler using the sentinel logs (Pinus koraiensis)in South Korea. As results of this work, we report two larval ectoparasitoids, Spathius verustus Chao and Cyanopterusflavator (Fabricius) (Hymenoptera: Braconidae) from six survey sites. Each parasitoid was parasitized up to 58.2% and26.3% on 1st and 2nd instar larvae of Monochamus beetles, respectively. These parasitoids are likely to be highly efficientas bio-control agents. Morphological characters with illustration and some biological information of them are provided.
        18.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n entomopathogenic fungus, Beauveria bassiana ARP14, was isolated from field collected Riptortus pedestris (F.). Lethal concentration of ARP14 was compared with commercialized GHA strain against R. pedestris and its egg parasitoids Ooencyrtus nezarae Ishii and Gryon japonicum (Ashmead). Mortality and infection rate were evaluated in five concentrations, i.e., 1×10 9 , 1×10 8 , 1×10 7 , 1×10 6 , and 1×10 5 conidia/mL using glass scintillation vial. The LC50 of 2nd, 4th instar, and adult stage of R. pedestris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strains. The infection rate of ARP14 was higher than that of GHA in 4th instar and adult stage in 1×10 8 conidia/mL. The infection rate was low in ARP14 than GHA in both egg parasitoids.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ARP14 strain can be used against R. pedestris with less negative effect on egg parasitoids than GHA strain.
        19.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iptortus pedestris (Fabricius) is one of major soybean pests in Korea. Its feeding during pod formation period significantly reduces the yield of soybean. Management tactics commonly used include insecticide such as etofenprox and aggregation pheromone trap, but they have been often found ineffective. As an alternative methods, parasitoids such as Gryon japonicum (Ashmead) and Ooencyrtus nezarae Ishii could be conserved by directly releasing non-viable host eggs in the field, by incorporating the non-viable host eggs into aggregation pheromone trap, by planting a trap crop of natural enemies, or by combining selective insecticides with a trap crop of natural enemies. I present study results of these tactics with discussion here.
        20.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insects, the sense of smell is a complex and highly sensitive modality, governing essential decisions such as choice of food and oviposition sites. Plants emit substantial amount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nd the characteristic scent represents a dynamic communication channel. Understanding this odor-mediated system is critically important in the habitat management and in the largest view of the conservation biological control. Here we suggest that the fitness of the egg parasitoid ,an important biological control agent of the green vegetable bug may be improved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chemical communication in the biological control system. Initially, the attractiveness of four flowering plant species, chosen from apanelofplants based on the longevity of the eggparasitoid on these plants, to T. basalis was assessed, which indicated significant behavioral attraction of T. basalis to the buckwheat flowers. Subsequently, and GC-MS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identify the olfactory-active VOC semanated from buck wheat, demonstrating that the antennalol factory receptor neurons of T. basalis were responsive to some aliphatic acids as well as a few common plant volatiles. In behavioral bioassays using synthetic formulation based on the chemical and electrophysiological analysis, T. basalis exhibited significant behavioral attraction to the synthetic blend at optimum dose. The findings, in a wider perspective, form the basis for further improvement of the use of the companion plants that may increase the insects’ communities’ ability to persist in an environment.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