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3.
        2016.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site-to-site variability of ISO 10844 pass by the noise test sit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ite-to-site variance of test surfaces, European commercial tires are tested at seven different test sites. Three Korea test sites and four Europe test sites are selected. The pass by noise test is done according to a 2001/43/EC regulation. Although the ISO surface has a very specific track composition, it does not reduce the variation of pass by noise measurements over the surface of test sites. This paper shows that the test results of pass by noise level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est sites. The correlation obtained in this work is able to predict the pass by noise level for certain test site using the data measured from another test site. The prediction value is range with an error within 1dB(A).
        4,000원
        4.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deformation of tire structure cause characteristic change of tire as stiffness, ground surface shape, vibration and noise. As a result it will affect "riding quality" factors such as noise and vibration. In this study, figured it out the difference of tire pass by-noise according to ground pressure and stiffness change,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ire characteristic for tire pass-by-noise. Therefore, The tire ground stiffness and tire pass-by-noise was measured according to pass-by-noise test method(ECE R117). Conclusively, “The tire pass by noise” was confirmed that between vibration and tread shoulder are a close relationship. As the tire shoulder vibration is low, “The acceleration pass-by-noise” can be seen that displayed lower value. In order to distribute contact pressure low for reduce the acceleration pass-by-noise,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shoulder stiffness should be greater.
        4,000원
        5.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각막굴절교정 수술안에서 이중경로방식(double-pass technique)으로 측정한 객관적인 시력을 정 시안과 비교하였다. 방 법: 근시각막굴절교정 수술을 받은 68명(135안, 평균: 23.49±2.5세)과 정시안 20명(40안, 평균: 22.50±1.7세)을 대상으로 ETDRS 시력표를 이용하여 대비도가 100%인 고대비시력(high contrast visual acuity: HCVA)과 10%인 저대비시력(low contrast visual acuity: LCVA)을 밝은 조명과 어두운 조명 상태에서 측정하였고, OQAS(Optical Quality Analysis System) 장비를 이용하여 광학적 질과 관련 있는 객관적 시력변수인 OVs(OQAS values)와 VA(visual acuity)을 100%, 20% 및 9%의 대비도에 따라 각각 측정하였다. 결 과: 수술안군과 정시안군 사이에서 ETDRS로 측정한 주관적 시력은 밝은 조명 상태에서는 유의한 차 이가 없었지만, 어두운 조명 상태에서는 고대비시력과 저대비시력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27, p=0.002). OQAS로 측정한 OVs는 두 그룹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12, p=0.003, p=0.001). 수술안군의 객관적 시력은 대비도가 낮을수록 더 감소하였고, 주관적 시력과 상관성이 있었으며 (p<0.05), 어두운 조명 상태의 저대비시력과 VA9%의 상관성이 가장 높았다(R=-0.403). 결 론: 수술안군에서 OQAS로 측정한 객관적 시력은 정시안군과 비교하여 낮았고, 특히, 낮은 대비도에 서 시력은 정시안군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6.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 methods of measuring the sound from the noise source are Pass-by method and NCPX (Noble Close Proximity) method. These measuring methods were used to determine the linkage of TAPL (Total Acoustic Pressure Level) and SPL (Sound Pressure Level) in terms of frequencies. METHODS : The frequency analysis methods are DFT (Discrete Fourier Transform) and FFT (Fast Fourier Transform), CPB (Constant Percentage Bandwidth). The CPB analysis was us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1/3 octave band option configured for the frequency analysis. Furthermore, th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t the condition related to the sound attenuation effect. The MPE (Mean Percentage Error) and RMSE (Root Mean Squared Error) were utilized for calculating the error. RESULTS: From the results of the CPB frequency analysis, the predicted SPL along the frequency has 99.1% maximum precision with the measured SPL, resulting in roughly 1 dB(A) error. The TAPL results have precision by 99.37% with the measured TAPL. The predicted TAPL results at this study by using the SPL prediction model along the frequency have the maximum precision of 98.37% with the vehicle velocity. CONCLUSIONS: The Predicted SPL model along the frequency and the TAPL result by using the predicted SPL model have a high level of accuracy through this study. But the vehicle velocity-TAPL prediction model from the previous study by using the log regression analysis cannot be consistent with the TAPL result by using the predicted SPL model.
        4,500원
        7.
        2013.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site-to-site variability of ISO 10844 pass by the noise test sit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ite-to-site variance of test surfaces, European commercial tires are tested at seven different test sites. Three Korea test sites and four Europe test sites are selected. The pass by noise test is done according to a 2001/43/EC regulation. Although the ISO surface has a very specific track composition, it does not reduce the variation of pass by noise measurements over the surface of test sites. This paper shows that the test results of pass by noise level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est sites. The correlation obtained in this work is able to predict the pass by noise level for certain test site using the data measured from another test site. The prediction value is range with an error within 1 dB(A).
        3,000원
        8.
        2013.07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two-pass differential speed rolling(DSR) was applied to a deoxidized low-phosphorous copper alloy sheet in order to form a homogeneous microstructure. Copper alloy with a thickness of 3 mm was rolled to 75 % reduction by two-pass rolling at 150˚C without lubrication at a differential speed ratio of 2.0:1. In order to introduce uniform shear strain into the copper alloy sheet, the second rolling was performed after turning the sample by 180˚ on the transverse direction axis. Conventional rolling(CR), in which the rotating speeds of the upper roll and lower roll are identical to each other, was also performed by two-pass rolling under a total rolling reduction of 75 %, for comparison. The shear strain introduced by the conventional rolling showed positive values at positions of the upper roll side and negative values at positions of the lower roll side. However, samples processed by the DSR showed zero or positive values at all positions. 100//ND texture was primarily developed near the surface and center of thickness for the CR, while 110//ND texture was primarily developed for the DSR. The difference in misorientation distribution of grain boundary between the upper roll side surface and center regions was very small in the CR, while it was large in the DSR. The grain size was smallest in the upper roll side region for both the CR and the DSR. The hardness showed homogeneous distribu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both CR and DSR. The average hardness was larger in CR than in DSR.
        4,000원
        9.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Pool By-Pass Pipe is a structure which connects the 2 In-Pool Pipes instead of In-Pile Test Section(IPS). It is designed to accommodate the 17.5 MPa and 80 ℃ under the consideration of the FTL pre-operation conditions but the need for high temperature, over 200 ℃, during FTL pre-operation make the additional assessment to be performed. For this study 2 models are used. One is an In-Pool By-Pass Pipe model which affected by HANARO water's elevation, another is an In-Pool By-Pass Pipe Nozzle which has 2 boundary conditions; water and air. After the heat transfer analysis linear stress analysis was performed to achieve Tresca stress. In the region of high stress model's detailed behavior is observed by ASME SectionⅢ NB code. Consequentially it concluded that the model of In-Pool By-Pass Pipe Structure is in reasonable agreement with those code.
        4,000원
        10.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호밀 건초를 급여하는 조건하에 알코올 발효사료에 대한 면실, 아마 및 대두종실의 첨가가 in vitro 반추위 발효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시험구 처리는 전지종실을 첨가하지 않고 발효한 알코올 발효사료구(대조구: T1), 면실종실을 첨가하여 발효한 면실 알코올 발효사료구(T2), 아마종실을 첨가하여 발효한 알코올 발효사료구(T3) 및 대두종실을 첨가하여 발효한 알코올 발효사료구(T4)의 4처리로 하였다. 배양시간에 따른 p
        4,000원
        11.
        2005.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gle-pass flow-through (SPFW) 방법에 의한 유리고화체의 용해율 측정에서 정밀도를 구하기 위하여 연구소간 실험프로그램의 하나로서 붕규산유리고화체의 정용해율을 구하였는데, 이 SPFT 방법은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ASTM)에서 표준화를 위하여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100/200 mesh 크기의 모의 저방사능 유리고화체 분말시료를 , 알곤 분위기에서 SPFT 방법으로 리튬 완충용액 (pH=10)을 이용하여 용해실험을 시도하였다. 얻어진 용출액 중 규소와 붕소의 농도에 따라 용해율의 변화를 구한 결과, 유리의 정용해율이 부근으로 나타났다.
        4,000원
        12.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DSA 장치에 의하여 획득된 영상을 고역 통과 필터링 알고리즘을 구성하여 구성된 알고리즘으로 실험을 하여 혈관조영상의 화질을 개선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고역 통과 필터(High Pass Filter)는 고주파 성분은 통과시키고 저주파 성분은 차단하는 필터이다. 의료영상에서 고주파 성분은 장기(organ)의 윤곽이나 경계선 부분이 고주파 성분에 해당된다. 따라서 고역 통과 필터는 경계선 검출에도 쓰이지만 고역 강조를 위해서도 이용된다. 제시한 알고리즘으로 분석을 하여 혈관조영상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었다. 목적부위의 표현이 확연하게 두드러짐을 알 수 있었다. 제안된 방안을 이용한다면 DSA 시스템의 화질을 개선하는 소프트웨어에 적용하여 오진을 줄여주고 시술의 정확도를 더욱 높여 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13.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본류의 강정고령보에 설치된 인공하도식 어도의 효율성을 2차원 물리서식처 모형인 River2D를 이용하여 평가해 보았다. 강정고령보 상하류단의 실측 수위를 이용하여 모형을 보정 및 검정하였다. 모의조건은 2012년 풍수량, 평수량, 저수량을 기준으로 어도 입구 및 어도 내부의 흐름장을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의 목표종인 피라미가 산란기인 봄철에 주로 이동을 하므로, 저수기를 기준으로 어도가 기능을 잘 유지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풍수 및 평수기에는 본류 수위가 높아 어도로의 피라미 유입 효율성이 떨어져 보였다. 반면 저수기에는 본류의 낮은 수위로 인해 어도 입구에 상대적으로 적절한 유속이 발생하여 유입효율과 이동효율이 높아질 것으로 평가되었다. 어도 내 흐름은 어류가 소상하기에 무리가 없는 유속장이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14.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집중호우 등으로 인하여 유역에 생산된 토사가 하도에 유입되면서 하상 및 지형변동을 일으키고 있으며, 보 및 댐 상류에서 유사의 퇴적으로 인하여 홍수위 변화와 저수지 기능감소 등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로 인해 수리구조물의 지속적인 유지 및 관리를 위하여 댐 및 보의 유사관리 방안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에 건설된 소규모 댐인 상주보를 대상으로 CCHE2D모형을 이용하여 댐의 상류에 퇴적된 토사의 토출(排出, SPT) 메카니즘을 분석하였다. 토사 토출 효과를 예측하기 위하여 2차원 하상변동 수치모형인 CCHE2D를 이용한 하상변동 과정을 모의한 결과, 보 상류에서는 수문을 통과하여 흐르는 유속으로 인하여 하상이 저하 되었으며, 보 하류에서는 상류에서 유입되는 유사량과 지형적인 영향을 받아 세굴과 퇴적이 반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상류에서 2년빈도 유량인 3,857 ㎥/s와 풍수량인 207.4 ㎥/s로 48시간 동안 상주보로 유입될 때, 수문이 완전히 열린 상태로 있을 경우에, 상주보에서 배사효과를 예측하기 위하여 유사 전달(Sediment delivery)을 분석하였다. 2년빈도 유량인 3,857 ㎥/s의 경우 보에서 하류로 전달되는 유사량은 약 4,400 tons 정도로 산정되었다. 유량이 1,500 ㎥/s일 때, 약 2,700 tons이 하류로 전달되지만, 최대 유사전달이 발생되는 지점은 보 하류에서 발생하였다. 풍수량 인 207.4 ㎥/s 일 때, 1,357 tons이 하류로 전달되며, 최대 유사전달이 발생되는 지점은 보에서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류에서 2빈도의 홍수량이 유입될 때, 토사 토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