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글로벌화와 대규모 이주민의 유입 등으로 인해 이전과는 다 른 사회, 문화적 상황에 처해 있는 지금의 아일랜드를 포스트-켈틱 아일랜드로 규정하 고, 동시대 아일랜드 연극을 이해하기 위해서 문화상호주의적 접근방식이 필요함을 확 인해보려는 시도의 글이다. 문화상호주의적 연극에 대한 개념적 이해, 아일랜드에 새 롭게 유입된 이주민 공동체 극단의 공연에 대한 분석 그리고 다큐멘터리 드라마투르 기와 같은 극작법의 변화 양상 등의 주제를 중심으로 포스트-켈틱 시대 아일랜드의 새로운 정체성 모색의 다양한 갈래들을 점검해 보고 있다
        5,800원
        2.
        202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T. S. 엘리엇의 초기 시를 쥬디스 버틀러의 젠더 수행성과 젠더 우울증 개념을 기반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버틀러의 젠더 트러블에서 제시된 젠더 수행성에 따르면 젠더는 한 개인의 내 적이고 본질적인 중심을 표현한 것이 아니라 제스처, 옷 입는 방법 등 과 같은 행위에 의해 구성된다. 젠더는 반복되고 축적되며 그렇게 해서 응축되어서 자연적인 것처럼 보이게 된다. 버틀러는 젠더 우울증을 젠 더화된 정체성의 “절대로-절대로 구조” 혹은 동성애 부인에 대한 “절대 로-절대로 구조”라고 불렀다. 「프루프록의 연가」, 「여인의 초상」같은 엘 리엇의 초기 시를 젠더 수행성 개념을 통해 살펴볼 때 시의 화자들이 기대되는 젠더 역할들을 수행하려고 하지만 실패하고 여성과의 관계 형 성도 실패한다. 일부 비평가들은 엘리엇의 작품을 동성애 관점에서 살 펴보았고, 라모스는 엘리엇 작품에서 발견되는 애가적 특징에 동성애적 인 의미가 엮여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런 애가적 특징은 엘리엇의 초기 작품, 특히 황무지 4부 「수사」에서 나타나고 있다.
        3.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first of all, re-reads the memory of the 1937 deportation endured by the Koryŏin in Kazakhstan from the aspect of it being a traumatic memory. The aim is to see how the memory of deportation constructs into traumatic memory that is repeatedly summoned to the present rather than just remain in the past. In this paper, the deportation is seen as an incident that drove the Koryŏin out to the world of dehumanization where human vulnerabilities become revealed and forced them to live in constant innate fear afterwards. However, after the disintegration of the Soviet Union in the late 1980’s, Koryŏin, rather than forget their past history of deportation, forged their own collective memory and is performing the act of remaining in mourning. I argue that, through such process, the remembering can act as a call for universal human rights to be guaranteed for all ethnic groups in Kazakhstan, against the backdrop of Kazakh-centralism becoming more entrenc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