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22년 캠벨얼리 재배면적은 4,397ha(32.7%)으로 샤인머스켓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재배하는 품종이다. 포도 과원에서 보고된 장님노린재에는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와 초록장님노린재가 있으며, 포도 신초를 가해해 잎 이 자라면서 구멍이 나고, 포도알을 흡즙해 포도알 표피를 코르크화해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애무늬고리장님노 린재는 약충은 3~4mm, 성충은 4~5mm 정도이며, 몸 색깔은 엷은 녹색을 띄고, 다리(설상부) 끝이 검어 초록장님노 린재와 구분된다. 조사지점에서는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만 채집되었으며, 나무당 0~4.8마리가 발견되었다. 4월 하순 상대습도 40% 이상이고, 일평균기온이 13℃ 이상 10일 정도 경과하였을 때 알에서 부화해 신초를 가해 하기 시작했다. 5월 하순부터 성충이 되며, 포도원 살충제 살포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였다가 7월 초경에 초목성 식물에서 포도원으로 들어와 새로 나오는 포도 부초를 가해하였다. 방제시기에 따라 상품과일 무게가 차이가 났는데 잎전개기, 꽃송이분리기, 착과기 3회 방제시 수량감소율이 1%인데 비해 잎전개기에만 방제시 3.5%, 꽃송 이분리기에만 방제시 7.9%, 무처리구에서는 15.6%로 방제 시기에 따라 상품과일 감소량이 차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bean bug, Riptortus pedestris, is one of major hemipteran pests against the soybean, Glycine max in Korea. In previou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water-taking in the first instar nymphal stage of R. pedestris is certainly necessary for successful ecdysis and their survival. To investigate water-taking behavior of the first instar nymphs of R. pedestris on plant, electrical penetration graphic patterns were analysed while R. pedestris fed on the napa cabbage leaf,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by using EPG system. In the result, a X-waveform was dominantly observed for average 42.0 min out of total recording time (120 min).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 = 0.457, P = 0.000452, n = 55) between body weight increase and cumulative durations of X-waveform. In addition, histological observation of cross-sections indicated that stylet tip in the plant tissue during X-waveform period is located nearby xylem cells, suggesting that X-waveform is closely related to xylem sap feeding behavior of R. pedestris in plant.
        5.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lant bug family Miridae is the largest group in Heteroptera, an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sect groups economically in agriculture and in forestry, because it contains insect pests and predators. Among the subfamilies, Deraeocorinae represents the predatory group including some members which can be used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This group comprises a total of six tribes in whole regions with their own unique morphology. However, the monophylies and relationships of tribes and genera within this subfamily are not still explored phylogenetically. In this talk, the first phylogenetic analyses of Deraeocorinae are presented based on total evidence data. Major questions including monophylies and relationships of each taxa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6.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ubfamily Mirinae is the most diverse group in Heteroptera, composed of at least 4,100 described species worldwide. This subfamily is also one of the most important groups in agriculture and in forestry, containing many well-known pests and predators which can be used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However, the monophyly and generic relationships of each group within this subfamily have been unclear due to the lack of phylogenetic analysis. In this talk, the first comprehensive phylogenetic analyses of this subfamily are presented based on total evidence data. Major question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including the monophyly and relationships among the tribes and main genera, and the evolution of important characters in each group.
        7.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ubfamily Mirinae, commonly called plant bug, represents the largest group in Heteroptera, and is also one of the most important groups economically, containing many insect pests as well as predators that can be used as biological control agent in agriculture. However, the monophyletic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each group within Mirinae are not understood to date, due to a lack of phylogenetic analysis. In this talk, the first comprehensive phylogenetic analyses of the subfamily Mirinae are presented, based on total-evidence data. Major questions raised based on result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i) Is each tribe in Mirinae a monophyletic?; (ii) Which tribes or genera are related or not related? (iii) Are these complexes monophyletic?; and (vi) Which characters are nonhomoplacious or homoplacious, and Which are supported in each group?
        8.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Genus Phytocoris Fallén, 1814 is the largest genus among Heteroptera, around 700 species are described worldwide. In this presentation, the genus Phytocoris from Korean Peninsula is reviewed for the first time with eight species, includes one new record, P. minakatai and one new species, P. goryeonus sp. nov. For further comprehension of this genus, figures of dorsal habitus, genitalia and diagnosis of each Phytocoris species are provided.
        9.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polygus spinolae (Meyer-Dür) (Heteroptera: Miridae) is an important pest of fruit and tea trees in Korea and Japan. Analyses of extracts of metathoracic scent glands revealed that those of female bugs contained hexyl butyrate, (E)-2-hexenyl butyrate, and (E)-4-oxo-2-hexenal in a ratio of 20:100:7. The glands of males contained the same three compounds, but the ratio of the components was quite different, with hexyl butyrate being the most abundant. Field trapping tests with various blends of the synthetic compounds dispensed from high-density polyethylene tubes showed that (E)-2-hexenyl butyrate and (E)-4-oxo-2-hexenal were essential for attraction of male A. spinolae, and catches with a wide range of ratios of these two compound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However, adding hexyl butyrate at 50% or more of the (E)-2-hexenyl butyrate to the binary blend strongly inhibited attraction of males. Trap catches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a 10:1 blend of (E)-2-hexenyl butyrate and (E)-4-oxo-2-hexenal from 0.011 to 11 mg loaded into the tube. Catches of males in traps baited with lures containing 1.1 mg of the binary blen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atches in traps baited with live virgin females.
        10.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pedestris (Fabricius) (Hemiptera: Alydidae)]는 콩에서 중요한 난방제 해충이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와 두 종의 알기생벌의 계절적 발생 패턴을 기주 식물과 연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천적 상호간의 상대적 발생 패턴의 차이와 이유를 분석하고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기주 식물에 대한 적합도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관리 전략을 제시하였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 저항성품종의 사용, 과수의 경우 주변 작물에서 콩을 배제하는 것, 기주알 공급을 통한 보존적 생물적 방제, 살충제 사용 시기의 조절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11.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Psallus Fieber, 1858 (Phylini) is the largest group, with twenty six described species in Korea (Duwal et al., 2012). Due to recent collection in 2013, three new species are recognized from Korea. All these species are described, with images of dorsal habitus and genital structures. A checklist of the East Asian species and geographic distribution of Psallus is revised.
        12.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our species in two genera of the tribe Pilophorini, the ant mimetic Plant bugs are revised from Nepal. One new species of genus Pilophorus Hann, P. sp. nov is proposed. Pilophorus typicus (Distant, 1909) and Sthenaridea piceonigra (Motschulsky, 1863) are new record to Nepal. Pilophours josifovianus Duwal and Yasunaga, 2008 previously described species from Nepal and all other three species are here with illustrations of male and female genitalia and their biological information.
        13.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광대노련재의 계대사육법을 확립하기 위해 , 605% R.H., 16L.8D광주기조건 의 실내 사육환경하에서 대체먹이인 생땅콩을 급여하여 사육하면서 발육 특성과 기주 및 산란선 호성을 조사하였다. 광대노련재의 1세대 소요일수는 평균 48일이었다. 알은 유백색의 구형이고 1 난괴당 산란수는 14개가 대부분이었다. 알.약충의 발육기간을 조사한 결과 알기간은 8.20.4일 이었고 각 령별 약충기간은 1령 5.40.2일,2령 8.40.5일, 3령 6.40.4일,4령 7.40.3일,5령 12.60.8일이였다. 성충의 생존일수는 수컷이 평균 30.8일, 암컷은 35.4일 정도였다. 성충화율은 5 57.1%였는데 암수비융은 47: 53으로 수컷의 비율이 약간 높았다. 산란전기간은 평균 22.5일이었 고 펑균산란회수는 4.4회였다. 산란선호성은 기주식물이 있을 경우에는 기주에 산란하지만 기주식 물을 제외시킨 경우에는 아크릴 사육상자, 철망보다는 인조잎에 더 많이 산란하였다. 광대노린재 성충의 기주선호성을 조사한 결과 대상식물 18종 중 황벽나무, 산초나무, 산수유, 충층나무 등의 줄기 및 과실을 가장 잘 흡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4.
        201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잡곡유기종자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 병해충 관리의 기본이 되는 잡곡의 중요 병해충발생 소장 및 발생시기와 밀도를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1. 2008년 조, 기장, 수수의 유기잡곡종자 생산 포장에서 조사기간 동안 조명나방의 발생 밀도는 수수자원의 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조자원에서 가장 낮은 발생 밀도를 보였으며, 2009년도 조명나방의 발생 밀도는 수수재배 포장의 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조재배 포장에서 가장 낮은 발생 밀도를 보였다. 2. 2008년 조명나방에 의한 잡곡의 피해주율을 조사하였더니,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0월 16일에는 조 (60%), 수수 (47.5%), 기장 (43.8%) 순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2009년에는 6월 8일부터 9월 4일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9월 4일에는 조 (51.3%), 수수 (42.5%), 기장(32.5%)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기장자원은 6월 8일부터 6월 26일 사이에 그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3. 멸강나방 성충의 발생 시기나 밀도를 조사하였으나, 2008년, 2009년 모두 전혀 유인되지 않았으나 멸강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는 지속적으로 관찰되었으며, 각자원별로 피해주율을 살펴보면, 조, 수수, 기장 순으로나타났다. 4. 2008년, 2009년 모두 멸강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주율은 조, 수수, 기장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2008년 조자원에 대한 피해주율은 11.25~35.0%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수수와 기장의 피해주율은 각각 3.8~26.3%, 7.5~22.5%의 변이를 보였다. 2009년 각 자원별로 평균 피해주율은 조 자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는 2.5~36.3%, 수수는 0~25.0%, 기장은 0~21.3% 순으로 나타났다 5. 잡곡포장에서의 노린재 발생은2008년 풀색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썩덩나무노린재, 3종류가 발생하였으며, 조와 기장 자원에서 풀색노린재의 발생 밀도가 가장 높았고, 2009년은 4종 (풀색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썩덩나무노린재, 톱다리노린재)의 노린재가 발생하였고 조와 기장 자원은 풀색노린재와 톱다리노린재가 우점종 이었으며 알락수염노린재의 발생밀도는 낮게 나타났다. 수수 자원은 썩덩나무노린재와 톱다리노린재가 우점종 이었으며 알락수염노린재와 풀색 노린재는 낮은 밀도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