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술적 상황은 그것이 가져오는 이해가능성에 그 힘을 의존하며, 그런 이해가능성은 그 자체가 변형의 도구인 ‘정확하고’ 구체적인 양식을 통해 설명된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는 마힘바타(7세기 인도 이론가)와 아누마나와 관련된 그의 이론화 (추론)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에 따르면, 첫째, 자연 속에서 계속되는 모순되지 않 는 보편적 관계(vyapti)에 의해 객체와 주체가 함께 결합될 때, 이 둘은 변모한다. 둘 째, 마힘바타는 연역법칙에 의해 필요에 따라 일상적인 것에서 의미 있는 것으로 발전 한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만 예술성이 보편화된다고 주장한다. 일상적인 것에서 의미 있는 것으로의 예술적 경험의 이 두 가지 탁월하게 빛나는 전제를 바탕으로 예술성의 동시성과 전시를 낳는 것이 가능해진다. 마힘바타의 추론 이론에서 발전된 개념적 구 조를 바탕으로 W. B. 예이츠와 T. S. 엘리엇의 시를 읽을 때 새로운 관점을 제공한 다. 예이츠의 시에서 육체와 영혼은 각각 작은 것과 큰 것이라는 의미를 내포하는 두 용어로 나타나며, 둘 다 퇴폐와 해방에 의해 결합되어 궁극적으로 보편적인 병존 (vyapti)을 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엘리엇의 시에서 고통, 불임, 죽음은 육체와 관련되 는 용어이고 진리와 지식라는 용어는 영혼과 관련된다. 낮은 수준에 몸이 있고 높은 수준에 영혼의 내재가 있다. 하지만 그 사이에는 병존(모순되지 않은 보편적 경험)이 있는 반면 몸은 영혼으로 발전한다. 모든 사실은 필연적으로 마힘바타의 아누마나 (Anumana)에서 확립된 추론에 귀속된다.
        7,700원
        2.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근대시 형성과정에 대한 두 가지의 의문으로 시작 했다. 첫째, 근대시의 형성과정은 개화가사→ 창가→ 신체시→ 자유시로 단계적인 이행을 거쳤을까? 둘째, 19세기말 찬송가의 유입은 창가처럼 노래를 전제한 시가(詩歌) 뿐만 아니라, 신체시와 자유시의 형성에도 상당하게 영향을 주었을까? 하는 것이었다. 사실 창가와 신체시는 서양의 선교사들이 중심이 되어 찬송가가 활발하게 번역되면서 개화기의 시가(詩歌)에 영향을 주게 되고, 이후 자유시의 태동에도 일정부분 영향을 끼친 것으로 생각된다. 이 글의 논점은 찬송가는 서양악곡을 기반으로 한 종교음악이었지만 번역과정을 통해 시적(詩的)인 형식과 새로운 문물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가져와서 근대시의 형성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 았다. 최남선의 신체시는 그 가운데에 등장하게 된 것이며, 본고는 이를 갈등과 변화 속에서 탄생한 ‘메타모포시스 시학’으로 불러보고자 했다.
        5,100원
        3.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평론 「무드」에서 예이츠는 무드를 초자연적인 존재의 노동자이며 전언 자로서 정의를 내리면서 과학적 지식으로 고정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 비가시적인 삶 의 관념을 전달한다고 설명한다. 시인에 따르면 우리가 신성한 힘과 마주할 수 있는 영역인 영원을 인식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로 무드이다. 무드에 대한 예이츠의 시학 은 상징주의에 대한 믿음으로 점차 바뀐다. 상징을 통해 그는 무드 속에서 감각을 넘어서 운동하는 관념과 속성을 환기하거나 암시한다. 그렇지 않다면 알려지지 않을 초 자연적인 존재가 상징을 통해 무드 속에서 환기될 수 있다.
        6,000원
        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J. M. 싱의 시학 읽어내기: 「아란 섬」과 「바다를 타는 사람들」에 나타난 자연과 시 우리말 요약: J. M. 싱은 아마 지금까지 아일랜드에서 태어난 가장 위대한 극작가들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그는 자주 많은 이들에 의해 폄하(조이스 포함하여)되고 있지 만 예이츠는 당대에 모든 극작가들 중 최고로 여기는 것 같다. 본 논문은 싱이 아란 을 방문하기 전에 이미 잘 준비된 위대한 극을 쓸 수 있었다고 주장하며, 「아란 섬」을 증거로 제시하는데, 그가 나중에 희곡을 쓸 때 사용하는 관찰, 느낌, 생각으로 가 득 찬 아주 시적인 위대한 저술임을 증명한다
        5,100원
        5.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앎”과 “믿음”은 다르다. “믿음”이 수동적이라면, “앎”은 능동적인 속성 을 내포하고 있다. 영지주의는 후자의 특징을 보이며, 이것은 인간으로 하여금 주체가 되어 능동적으로 궁극적인 진리를 추구하는 길을 열어준다. 「어린 학생들 사이에」 (“Among School Children”)서의 춤과 춤꾼의 합일은, 그 과정이 능동적인 추구의 절 정인 것을 보여준다. 성서와 영지주의는 차이점을 보인다. 기독교의 성서 속에는 수많 은 예술 창작을 위한 영감을 제공하지만, 문자주의, 사실주의 교리주의라는 제한성이 동시에 존재한다. Yeats는 이런 점을 간파하여, 영지주의자들의 작품 속에서 상징주의, 알레고리, 은유, 신화, 창조적인 다의성을 자양분으로 삼는다. 영지주의의 궁극적인 진 리에 이르는 핵심적 추구의 수단이 되는 앎(knowing)의 지성(intellect)에 대한 관점은, 「비잔티움 항해」(“Sailing to Byzantium”)을 포함하여, Yeats의 시, 곳곳에 중요한 요 소로 등장한다. 그러나, 영지주의와 Yeats의 이원론은 차이점이 발생한다. 영지주의에 서 정신과 물질로 나누는 이원론은 대립적 관계로 배타적이며 정신이 물질적 차원을 벗어나는 것에 역점을 둔다면, Yeats의 이원론은 대립적 갈등과 투쟁적인 요소 속에는 보완과 조화의 관계성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Yeats의 이원론과 영지주의 이원론은 이 런 점에서 차이점이 발생한다.
        5,700원
        6.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liot seems to have been much impressed by Yeats's poetics and poetic techniques, in particular the union of emotion and reason. Not only is Yeats a supreme Romantic - he is a poet of mysticism. To Eliot, Yeats is not just a great poet, but a great craftsman; Yeats's reputation as such a poet has remained strong, from the beginning up until now, as Eliot has foreseen. In Yeats's works, there are both aesthetic and mysterious elements, and just as we could call him a romantic-mystic poet. Eliot thinks highly of Yeats's pure poetry, with poetics based on the principle of art for art's sake. He praises Yeats as a great poet-craftsman, as we have seen in his works above. Yeats has been under the influence of French symbolists's poetic techniques, such as those of Baudelaire, Mallareme,. Neval, Verlaine. In Yeats's works, there is their influence.
        4,9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