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피가 큰 테트라페닐보레이트를 대응 음이온으로 갖는 이온성 공액구조 고분자 전해질을 소듐 테트라페닐 보레이트를 이용한 폴리(2-에티닐-N-퍼플루오로헥실피리디늄 아이오다이드)의 이온교환반응을 통해 합성하였다. 여 러 가지 분석장비를 사용하여 고분자 구조를 분석한 결과, 합성한 고분자는 N-퍼플루오로헥실피리디늄 테트라페닐 보레이트 치환기를 갖는 폴리아세틸렌 주쇄 구조임을 알 수 있었다. 폴리(2-에티닐-N-플로로헥실피리디늄 테트라페 닐보레이트)의 전기-광학적 및 전기화학적 특성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고분자의 흡수 스펙트럼에서 최대 흡수 피 크는 330nm와 466nm에서 관찰되었다. 전기화학적 특성 시험의 50 주기의 연속 스캔 실험을 통하여 본 고분자의 산화 및 환원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이 고분자는 도핑과 탈도핑 피크 사이에서 비가역적인 전기화학 거동을 보였 으며 동역학적 확산 거동을 보였다.
초임계 이산화탄소 조건에서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MWCNT)에 공유결합으로 조합된 폴리(2-에티닐피리디 늄 염)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초기 반응 단계에서 MWCNT 표면에서 형성된 4차염화 2-에티닐피리디늄 염의 활성 화된 아세틸렌 삼중 결합이 MWCNT 표면에서 연속적으로 중합되어 폴리(2-에티닐피리디늄 염)이 공유결합으로 조 합된 MWCNT가 용이하게 제조되었다. MWCNT/폴리(2-에티닐피리디늄 염)의 전기 광학 및 전기화학적 특성을 측 정하고 분석하였다. 해당 복합체의 광발광 피크는 2.04 eV의 광자 에너지에 해당하는 610 nm에서 관찰되었다. SnO2:F/TiO2/N719 염료/고체 전해질/Pt 장치가 있는 준고체 DSSC를 MWCNT/P2EP로 제조하였는데, 이의 최대 에 너지 변환효율은 5.33%였다.
In the present study, a novel pH-sensitive hydrogel composite of pectin-grafted-poly (acrylic acid-co-itaconic acid)/MWCNTs- COOH was prepared by using graft copolymerization of acrylic acid and itaconic acid on pectin backbone with incorporation of MWCNTS- COOH. The prepared hydrogel composite has been employed for the adsorption and controlled release of the diclofenac sodium (DS) drug. The hydrogel composite was characterized by the analysis methods: FTIR, XRD, SEM, and TGA to analyze structural characteristics before and after DS drug adsorption. The swelling ratio of the hydrogel composite was investigated at different pH values from pH 1.2 to 10.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welling ratio of the hydrogel composite was found 4195% at pH 7.4. Adsorption process parameters such as pH, contact time, adsorbent dose, and temperature were investigated and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DS drug adsorption. The maximum DS drug loading through adsorption of 91% was obtained at pH 3, adsorbent dose of 0.05 g, contact time of 150 min, and temperature of 15 °C. The adsorption isotherm and kinetic results were well-fitted to Freundlich and second-order models. Thermodynamic parameters including changes in Gibb’s free energy, enthalpy, and entropy suggested that the adsorption of DS drug onto hydrogel composite was a spontaneous and exothermic process. The in vitro drug release experiment showed that the cumulative release of DS drug from hydrogel composite after 35 h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imulated intestinal fluid at pH 7.4 than in simulated gastric fluid at pH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