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wadays, Korean culture affects fashion cultural industry. Furthermore, art and fashion collaborate considerably more now than in the past. Korean fashion experts and fashion cultural industry have mainly focused on global tourists. Fashion cultural products that promote the image of Korea synthesize both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traits of the Korean culture (Cho, 2007), which reflects cultural and economic values. Hallyu, which means ‘Korean Wave’, has been a popular trend of Korean cultural contents on the global market. The target market of the contemporary Korean fashion clothing has mostly targeted global tourists. However, traditional products dominate over a few contemporary products on the Korean cultural product market.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temporary Korean fashion clothing that are designed and reinterpreted in our times. When these designs become available on the market, they can excite more interest both in the fashion industry and among the consumers. This will help highlight the importance and potential of the present-day Korean cultural product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gure out effects of contemporary Korean fashion clothing attributes on consumer response and consumer behavior. Contemporary Korean fashion clothing attributes are divided to Korean culture, fashion/practicality, creativity/uniqueness and design/aesthetic traits. Consumer response is to see the affective and cognitive response. Also, consumer behavior is to see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In the study, the data was used to conduc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ith SPSS, 21.0 and Amos 18.0 was used to conduc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testing the hypotheses. The results revealed fashion/practicality, creativity/unique attributes had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response and creativity/unique, design/aesthetic attributes had positive effect on the cognitive response. In addition, affective and cognitive response had positive effect on preference but only affective response had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Lastly, preference had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ould stimulate the expansion and further development of the Korean contemporary design market. However, as a limitation of research, limited category of product was used so more various kinds of fashion category can be used for the future research.
The potato leafminer fly, Liriomyza huidobrensis (Blanchard) (Diptera: Agromyzidae) is a polyphagous pest attacking many vegetables and ornamental plants. We found L. huidobrensis were infesting potato crop in Miryang and Goreyong in 2011. Five potato (Solanum tuberosum) varieties (Ghowun, Daeri, Sumi, Chubeak, and Seohong) were tested for the preference of L. huidobrensis. In the olfactormeter bioassay, leafminers chose the Ghowun variety most (55%) followed by Sumi (18%). Remaining 3 varieties were chosen less than 10%. When leafminers choose and move toward the preferred variety, movement speed was faster. In the plant choice test in the laboratory, as expected, Ghowon was the most chosen but the choice of the other 4 varieties was not different. The same pattern as found in the plant choice test conducted in the greenhouse. Feeding frequency was the highest in Ghowun variety followed by Sumi > Daeri = Seohong > Chubaek in the laboratory test but Ghowun > Sumi > Chubaek > Daeri = Seohong in greenhouse test. When measured in 2 weeks after release, plant damage rates and number of mines were in congruence to the preference results. Further study is needed to clarity the factor responsible for the choice of the plants and also the ways to manage this new pest.
본 연구에서는 로봇디자인에 대한 선호 반응의 결과를 바탕으로 로봇 얼굴을 구성하는 조형요소의 조합 관계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 기본적인 목적이다. 아울러 분석 결과로부터 선호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디자인가이드의 제시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7가지의 로봇 얼굴 사진을 실험자극으로 선정하고, 선호 반응 및 연상 반응에 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로봇 얼굴의 형태 보다는 눈의 형태가 선호 반응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등 다양한 특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로봇 얼굴에 대한 선호반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각 조형요소의 특성 도출 및 기본적 디자인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먼저, 눈의 형태는 세로의 길이가 가로 길이 보다는 긴(167%) 타원형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눈 사이의 거리는 얼굴 폭의 35% 정도를 유지해야 한다. 또한 눈의 위치는 얼굴의 중심축으로부터 상향에 배치하여 시각적으로 안정감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 머리 전체의 형태는 원형을 이용한 구 타입이 바람직하다. 머리의 형태와 눈과의 조화는 로봇으로서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귀엽고 깜찍한 이미지를 구현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의 선호도 평가를 위한 정보 탐색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인지반응의 특성 파악을 기본 목적으로 하였다. 그리고 그 특성과 제품 선호도의 상관관계를 제품 사용 경험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휴대폰과 제안형 제품사진을 실험 자극으로 선정하여 두 단계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제시된 각 제품사진을 관찰한 후에 선호하는 순서를 정하여 배열하도록 하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앞에서 선정한 선호도 1순위와 10순위의 제품사진에 대하여 선호도 평가 시 최우선적으로 주목한 부분을 표시하고, 그 부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로부터 두 가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 번째, 제품의 사용 경험에 의한 경험적 기억 정보는 인지 대상의 선호도 평정(評定)에 있어, 그 인지 대상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구성 요소에 대한 해석적 반응을 활성화한다. 두 번째, 제품의 비사용 경험은 선호도와 관계없이 인지 대상에 포함되어 있는 심미적 요소를 지각적으로 수용하는 반응을 유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