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남부간척지에서 벼 재배시 질소시비량 절감을 위한 물관리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세사양토(문포통, 염농도 0.3% 내외)에서 청호벼를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토양염농도 변화는 이앙후 3일과 6일 간격 환수에서 활착기에 각각 0.10~0.24%, 0.24~0.32%로 경과되었으나, 9일 간격 환수에서는 0.36~0.52%로 경과되었고 그 이후 영화분화기 까지도 활착기와 같은 염분농도로 경과하였다. 생육 및 수량구성요소는 환수간격 3일과 6일에서는 환수간격과 질소시비량별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환수간격 9일에서는 질소시비량에 관계없이 생육이 저조하였으며 또한 백미품위 및 미질 특성변화는 환수간격보다는 질소시비량간 차이가 컸다. 쌀 수량은 환수간격 3일과 6일에서 각각 평균 497, 492 kg/10a로 질소시비량별 환수간격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나 환수간격 9일에서는 질소시비량에 관계없이 수량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따라서 환수간격과 질소시비량에 따른 쌀 수량, 미질과 염해 등을 고려해 볼때 이앙 후 6일 간격 환수와 질소시비량 17 kg/10a로 시용해도 생육 및 수량에 큰 차이를 보여주지 않아 생산비 절감 및 물 절약 측면에서 적당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ptimum application time of basal fertilization in direct-seeded rice on flooded paddy surface at medium saline soil in southwestern reclaimed saline area which is Munpo series and have 0.3 or more soil salinity. The nitrogen fertilizer level were 14, 17, 20kg per 10a, and the basal fertilization were applied before sowing, 10, 20, 30 days after sowing along with topdressing at tillering stage, respectively. The summarized experimental results are as follows.
Seedling stand was proper when basal fertilization was applied before sowing, but lower than appropriate seedling stand when basal fertilization were applied 10, 20, 30 days after sowing along with topdressing at tillering stage. The rice yield were 509-541kg/10a when 14-20kg/10a basal fertilization was applied before sowing, and 368-481kg/10a when basal fertilization were applied 10, 20, 30 days after sowing along with topdressing at tillering stage.
Considering the yield and salt injury at medium saline soil in southwestern reclaimed saline area, the application of basal fertilization before sowing was superior for improving seedling stand, and 14-20kg/10a fertilization rate was allowabl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oper interval of water exchange according to nitrogen fertilizer level at medium saline soil which are 0.3 or more soil salinity in southwestern reclaimed saline land. The nitrogen fertilizer level were 14, 17, 20kg per 10a, and the interval of water exchange were every 3, 6, 9 days after transplanting. The summarized experimental results are as follows.
The salinity were maintained as low when the interval of water exchange were every 3 or 6 days after transplanting, but salinity was highest at rooting stage, and decreased from that, so salinity were about 0.3 at panicle initiation stage or ripening stage when the interval of water exchange was every 9 days after transplanting.
The rice yield were 537-552kg/10a when the interval of water exchange was every 3 days with 17-20kg/10a nitrogen fertilizer level, and 519-533kg/10a when the interval of water exchange was every 6 days with 17-20kg/10a nitrogen fertilizer level, but decreased outstandingly in the other treatments.
Considering the yield and salt injury at medium saline soil at southwestern reclaimed saline land, proper nitrogen fertilizer level was 17-20kg/10a when the interval of water exchange were every 3 or 6 days after transplanting.
서남부 간척지에서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생태형별 적정 질소시비량을 구명하고자 2003년과 2004년에 호남농업연구소 계화도출장소 시험포장 문포통(세사양토, 토양 염농도 0.1~% )에서 삼천벼, 화성벼, 남평벼를 공시하여 질소시비량에 따른 벼 생육, 수량구성요소, 수량 및 품질 관련형질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위면적당 수수와 영화수는 질소시비량이 증가할수록 많았으나 등숙비율이 낮았으며 현미천립중도 가벼웠다. 2. 백미의 완전립비율은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낮아졌고, 단백질 함량은 질소시비량이 증가됨에 따라 다소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아밀로스함량은 질소시비량간에 별 차이가 없었다. 3. 완전미 수량은 삼천벼가 질소 12/10a수준까지, 화성벼와 남평벼는 11/10a 수준까지는 증수되었으나 그 이상의 질소시비량에서는 수량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4. 따라서 서남부간척지에서 벼 기계이앙재배시 완전미 수량, 등숙비율 및 미질 등을 고려한 10a당 적정 질소시비량은 11~~12 으로 판단된다.
서남부 간척지에서의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생태형별 적정이앙시기를 구명하고자 2002년부터 2004년까지 호남농업연구소 계화도출장소 시험포장 문포통(세사양토, 토양 염농도 0.1~% )에서 삼천벼, 화성벼, 남평벼를 공시하여 이앙시기별 벼생육, 수량구성요소, 수량 및 품질 관련형질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위면적당 영화수는 생태형에 관계없이 이앙시기가 빠를수록 많은 경향이었다. 2. 삼천벼의 등숙비율은 조기이앙에서, 화성벼는 6월 9일 이후 이앙에서 높았다. 3. 완전미 수량은 삼천벼와 화성벼는 이앙시기가 빠를수록 많았고 남평벼는 5월 30일 이앙에서 많았다. 4. 따라서 완전미 수량, 등숙비율, 미질 등을 고려한 이앙적기는 조생종은 5월 20일~~ 5월 30일, 중생종과 중만생종은 5월 30일~~ 6월 9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