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바이오소재 자원으로 주목받고 있는 멀꿀(Stauntonia hexaphylla)의 안정적 재배 기반 마련을 위한 종자 프라이밍(Priming) 처리 효과를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경상남도 진주시에서 채집한 멀꿀 종자를 대상으로 GA3, NH4NO3, KNO3, KH2PO4, PEG 등 다양한 프라이밍 용액과 농도 조건을 설정하여 발아율, 발아속도, 발아균일성 및 유묘 생육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KH2PO4 100 mM 용액에 24시간 침지 처리한 종자에서 발아율(86.4%)과 발아속도, 발아균일성 지수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초장, 지상부 생중량 및 유묘 활력지수에서도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특히 단위면적당 지상부 수확량이 대조구 대비 약 2.14배 이상 증가하여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KH2PO4 프라이밍 처리가 멀꿀 종자의 발아 촉진 및 유묘 생육 증진에 효과적인 전처리 방법임을 시사하며, 향후 멀꿀의 대량 재배 및 바이오소재 산업화에 활용될 수 있는 실용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 생산지에 따라 벼 종자의 수발아립률 차이가 컸던 호 품벼의 출아율과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 수발아율 8% 인 시료는 수발아율이 1%인 시료에 비해 발아율과 출 아율, 종자활력이 30% 낮았다. 2. 수발아율이 높은 시료는 수발아립의 변색 정도가 심 하고 미발아율과 부패율이 높았다. 수발아립은 배가 돌출하고, 변색된 배유와 곰팡이 감염이 관찰되었으며 배유의 1/2이상이 변색된 종자는 발아율이 매우 낮았다. 3. 종자의 발아 진행정도에 따라 현미의 변색이 심해졌 는데, 싹이 3 mm이상일 경우 배유의 1/2정도가 변색 되었다. 4. 발아 종자는 싹이 3 mm이상일 때부터 재발아율이 크 게 떨어졌으며 퇴화촉진처리 후 발아율의 감소가 더 컸다. 특히 퇴화촉진처리한 발아 종자는 싹이 2 mm부 터 종자활력이 크게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수발아 발생이 심할수록 파종기 발아율과 출 아율의 감소가 크고, 수발아가 3 mm이상 발생하면 발아율 이 크게 저하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수발아는 동일 품종 과 동일 지역에서도 포장 간 차이가 크게 발생할 수 있으므 로 재배관리에 주의해야 한다.
The amount of salt to make seed sorting solution of the specific gravity of 1.13 was reconsidered and determined as 3.8 kg salt in 18 L water, which is lower amount than currently used. Five rice cultivars were examined. Percent germination and seedling emergence were not similar. Seedling emergence rate of Japonica varieties, Nampyungbyeo and Daerypbyeo-1 were 87% and 95% under specific gravity of 1.13, respectively. Seedling emergence rate of Tongil type variety, Dasanbyeo was as high as 67% in specific gravity of 1.06. Seedling emergence rate of waxy rice, Hwasunchalbyeo and Aranghangchalbyeo were examined. Seedling emergence rate was 94% in both cultivars in specific gravity of 1.04. Seedling emergence rate was same in specific gravity of 1.08 which is generally used for selecting seed currently. Early growth (plant height, leaf number, and dry weigh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specific gravity within species. In all cultivars except waxy rice, highest seedling emergence rate was observed in specific gravity of 1.13 which is currently used for selection and decreased as specific gravity is lowed. However, considering total amount of seeds in each group of specific gravity, amount of seed in lower specific gravity group is relatively small and total seedling emergence rate within variety dose not show big difference. However, if seeds with low speicific gravity are produced due to the bad grain filling condition and consequently total seed content of low specific gravity increases, results will be differnt. Reduction in total growth and yield could occur. It will be important to comply with the seed sorting criterion of 1.13 for Japonica, 1.06 for Tongil, and 1.04 for waxy rice variety to ensure the maximum rice growth and y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