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new lighting support structure composing of two-way wires and pulley, a pulley-type wireway system, was developed to improve the seismic performance of a ceiling type lighting equipment. This study verifies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pulley-type wireway system using a numerical approach. A theoretical model fitted to the physical features of the newly-developed system was proposed, and it was utilized to compute a frictional coefficient between the wire and pulley sections under tension forces. The frictional coefficient was implemented to a finite element model representing the pulley-type wireway system. Using the numerical model, the seismic responses of the pulley-type wireway system were compared to those of the existing lighting support structure, a one-way wire system. The addition of the pulley component resulted in the increasement of energy absorption capacity as well as friction effect and showed in significant reduction in maximum displacement and oscillation after the peak responses. Thus, the newly-developed wireway system can minimize earthquake-induced vibration and damage on electric equipment.
        4,000원
        2.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각내에서 지진파의 감쇠기구는 매질 고유의 흡수와 에너지의 산란에 의하여 조정된다. 한반도 남부에서 전체 감쇠로부터 산란과 고유의 에너지 손실량을 분리하여 추정했다. 전체감쇠를 고유 Q와 산란 Q로 분리하기 위하여, 단일 후방산란된 coda Q와 다중산란 이론의 관계로부터 유도되는 공식이 사용되었다. Q는 주파수 대역 1.5-20Hz 범위내에서 고유 Q가 산란 Q보다 훨씬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한반도 지각내에서 고유 흡수에 의한 에너지 손실이 산란효과에 의한 손실보다 더욱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1.5-3Hz범위의 고유 Q를 제외하고는 고유 Q와 산란 Q가 지진학적으로 활동적인 다른 지역에 비하여 큰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중채널 탄성파 자료를 이용하여 낙동강 하구 삼각주 지역 연약지반의 지반 특성을 구하기 위하여 S파 속도와 Qs-1 구조를 구하고 이를 시추조사 결과와 비교하였다. 다중채널 신호의 분산곡선을 역산하여 S파 속도구조를 구하고 감쇠지수(attenuation coefficient)를 구하였다. 다중채널 신호 중 음원에서 가장 가까운 신호를 기준 신호로 정하고 10 Hz에서 45 Hz 사이의 주파수에 대하여 거리에 따라 기준 신호에 대한 진폭의 비가 감소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기울기를 구하여 감쇠지수를 결정하였다. 이 감쇠지수를 역산하여 지반 최상부 8 m 층의 S파 속도와 함께 Qs-1를 구하였다. 이 지역의 시추조사에 의하면 이 지역의 지층은 크게 상부 4 m 실트질 모래층과 하부 4 m 실트질 점토층으로 나누어진다. 표면파 역산에 의해 구해진 S파 속도와Qs-1를 시추조사 결과와 비교해보면, 상부 실트질 모래층에서 S파 속도의 공간적 해상도는 약 80m/sec로 하부 실트질 점토층의 속도 40m/sec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인다. 각 층에서 S파 속도의 공간적 해상도는 뚜렷하다. Qs-1의 공간구조는 상부 실트질 모래층에서 약 0.02를 보이고 하부 실트질 점토층에서 0.03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Qs-1의 공간적 해상도는 상부 약 5 m 구간에서는 양호하나 그 보다 깊은 곳에서는 공간적 해상도가 아주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조사지역에서는 실트질 모래층에서 실트질 점토층보다 높은 S파 속도가 나타나고 낮은 Qs-1 값을 보인다. 그러나, 지반의 S파 속도와 Qs-1를 결정하는 다른 많은 요인들이 있으므로 이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연약지반의 S파 속도와Qs-1에 관한 자료와 연구가 집적되어야 할 것이다.
        4,000원
        4.
        199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attenuation profile of young uppermost oceanic crust was obtained using ocean bottom seismometers and explosive sources detonated near the ocean bottom. The quality factor (Q) increased from 6 at the sea floor to 50 at a depth of 500 m. The mechanisms of high attenuation obtained in this experiments was inferred by examining several attenuation mechanisms such as frictional dissipation, viscous shear flow, liquid squirt mechanism and scattering by small pores and large cracks. Comparison of the attenuation value in this experiment and those from other experiments was also used to clarify the mechanism of the high attenuation. Of those mechanisms mentioned above, frictional dissipation, viscous shear flow and scattering do not seem to be the cause of the high attenuation in the uppermost oceanic crust where many small pores and large scale cracks are developed. The most viable mechanism in the young uppermost oceanic crust seems to be liquid squirt mechanism.
        4,000원
        5.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Kappa represents decay parameter about 3~4km under seismic stations. This study estimated domestic kappa characteristics. The korean peninsula kappa showed high value in gyeongsang basin be known as sedimentary rock local as a result of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