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2.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project has been launched and aims to introduce Amblyseius swirskii for the control of Tetranychuns urticae in rose cultivating greenhouse. This study was intended to use selective acaricide, sensibly, to reduce risk for the natural enemy agent of A. swirskii in controlling T. urticae. T. urticae was susceptible strain UD from Entomology laboratory of SNU and A. swirskii was purchased from commercially available source. When LC50s were compared with A. swirskii and T. urticae of abamectin 1.8EC and 7 other acaricides, chlorfenapyr+cyenopyrafen (4+20)SC, abamectin 1.8EC, and chlorfenapyr 10SC for A. swirskii showed 148, 74, and 14 times, respectively, higher dose than T. urticae, as selective acaricides. However, fenpropathrin 5EC and fenpyroximate 5SC for T. urticae showed 22, and 25 times, respectively, higher dose than A. swirskii. For T. urticae bifenazate 23.5SC and cyflumetofen 20SC showed more than 97% mortality at less than the recommended dose, but the acricides did not kill A. swirskii 16 and 4 times as much dose as the recommended dose. The results suggested that several acaricides have inherent lower toxicity to A. swirskii. For practical application, it might be recommended to use acaricides in a way to strengthen inherent selectivity.
        3.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장미의 병해충 방제에 등록되어 있는 34종, 등록되어 있지 않은 5종, 그리고 보조제 3종, 충 42종의 농약에 대한 칠레이리응애(알, 약충, 성충)와 점박이응애(알, 성충)의 선택독성과 칠레이리 응애에 의한 점박이응애 밀도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살비제 중 acequinocyl, bifenazate, fenbutatin oxide, spirodiclofen은 칠레이리응애에 대해서 독성이 낮았으나, 점박이응애에 대해서는 독성이 높았다. 살충제는 acetamiprid, imidacloprid, spinosad, thiamethoxam, acetamiprid+etofenprox가 칠레이리응애와 점박이응애에 대해서 독성이 없거나 적었다. 살균제 중에는 azoxystrobin, kresoximmethyl, myclobutanil, nuarimol, triadimefon, triflumizole, oxadixyl+mancozeb이 칠레이리응애와 점박이응애에 대해서 영향이 없었다. 농약보조제인 cover와 siloxane은 칠레이리응애에 대해서 독성이 컸으나, spreader는 영향이 없었고, 점박이응애에 대해서는 독성이 없거나 낮았다. 장미시설하우스에 서 칠레이리응애에 의한 점박이응애 밀도억제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점박이응애의 밀도가 잎당 65.3마리였을 때, 칠레이리응애를 주당 30마리 방사하였다. 방사 후 11일에 점박이응애 밀도가 잎당 3.8마리로 크게 감소하였고, 방사 후 20일에는 잎당 0마리로 밀도억제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조사기간 동안 흰가루병 방제로 살균제 4회(kresoxim-methyl, myclobutanil, nuarimol, triflumizole)와 총채벌레 방제약제를 1회(spinosad)처리하였으나, 칠레이리응애 밀도에는 영향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장미 병해충의 종합관리체계에서 칠레이리응애에 독성이 적은 약제와 칠레이리응애를 함께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controllability. Based upon these results, it is recommended that the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s to change causal attribution and self-efficacy is necessary. A number of theoretical relationships and empirical finding are confirmed by this data, and future proposals in research is suggested. 따라서 교사들의 관심유형과 실행수준에 따라 수행평가에 대한 지원을 달리함으로써 교사들의 관심도와 실행수준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며 보다 효과적인 수행평가가 실시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갈색 정도의 차이 문제이지 갈색란을 좋아함을 알 수 있었고, 교육에 의해 조금씩은 고정 관념을 바꿀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ique impact at 0.70 km/s and 0.91 km/s were compared with experimental results and Eulerian hydrocode CTH simulation results. The Lagrangian code NET3D is superior to Eulerian code CTH in the computational accuracy.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ly obtained final deformed cross-sections of the projectile is excellent. (3)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ballistic limit data, particularly at the high-obliquity impacts, is reasonably good. (4) The simulation result
        4,000원
        4.
        198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 해충과 거미에 대한 반치사약량및 상대독성 조사 (1) BPMC와 MIPC는 벼멸구와 황산적거미에 대한 상대독성치가 각각 으로 비교적 높은 선택독성을 보였다. (2) 이화명충과 황산적거미에서는 thiocyclam, chlorpyrifos-methyl이 각각 727, 14의 상대독성치를 보였으며 벼밤나방에서는 thiocyclam이 189.3으로 선택독성이 높았다. (3) 끝동매미충과 황산적거미에 대해서도 BPMC의 상대독성치가 8.2로 양호하였다. 나. 약제형성 및 처리회구가 해충 및 천적밀도에 미치는 영향(폿트시험) (1) 이화명충 방제약제중 cartap이 이화명충 방제효과도 높고, 거미밀도도 높았으며, 제형간에서는 유제가 분제보다 거미에 미치는 영향이 적었다. (2) MIPC 처리구에서 끝동매미충 방제효과가 높고 거미 밀도에 미치는 영향도 적었다. (3) pyridaphenthion 1회 처리구가 2회 처리구에 비하여 거미밀도에 미치는 영향이 적었으나 혹명나방 방제효과는 비슷하였다.
        4,000원
        5.
        197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수종의 수도용 살충제들에 대하여 벼멸구와 이의 주요천적인 황산적거미에 대한 상대독성을 실내에서 미량국소 처리방법으로 반치사약량을 조사 비교한 결과 PAP(0.4), MPP (0.7), MEP(1.8), Diazinon(2.8) , Carbofuran(7.5), NAC(11.3), BPMC(17.5), Pyridaphenthion(35.9), MIPC(65.7)의 순이었으며 특히 MIPC, Pyridaphenthion은 벼멸구와 황산적거미에 대해 선택성을 나타내었다.
        3,000원
        6.
        197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애멸구, 흰등멸구, 벼멸구 및 끝동매미충을 공시하여 몇 가지 수도해충 방제용 살충제의 선택독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유기인계 살충제로서 Diazinon 을 공시하였고 Carbamate계 살충제로서 MPMC, BPMC , Carbofuran (Curator. 입제)을 공시하였다. 유제와 수화제는 유묘의 침지에 의한 접촉법으로 실시하였고 입제는 Pot를 사용하여 수면처리에 의하여 행하였다. 1. 유묘침지시험에 있어서 Diazinon MEP, PAP제는 벼멸구에 대한 살충력이 현저이 낮었고 MEP제는 끝동매미충에 대해서도 살충력이 낮었으나 MPMC제는 네 가지 공시충에 대하여 선택독성이 비교적 적었다. 끝동매미충에 대한 MEP제의 선택독성을 제외하고는 애멸구, 흰등멸주, 끝동매미충에 대한 살충력은 보다 높아 선택독성을 인정할 수 없었라. 재차 시험에 있어서도 유기인제인 Diazinon, MEP 및 PAP는 벼멸구에 대하여 살충력이 심히 낮었으나 Carbamate계인 BPMC, MPMC는 살충력이 좋았다. 2. 입제의 수면처리시험에서도 Carbamate계 살충제 Carbofuran은 애멸구, 흰등멸구, 벼멸구, 끝동매미충에 대하여 비교적 높은 살충제을 보였으나 유기인계 살충제 Diazinon은 벼멸구에 대하여 살충력이 심히 낮었다. 3. 제제의 형태에 상관없이 유기인계 살충제는 Carbamate계 살충제에 비하여 멸구매미충의 종에 따른 선택독성이 거의 없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