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5.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raditional luxury shops seem to have a natural talent in creating an atmosphere of old luxury. From a semiotic perspective, those shops use a complex texture of different signs for both creating a traditional luxury myth and addressing specific customers who are looking for this brand identity. In our study, we compile a semiotic concept for analysing a shop design which seeks to reflect old luxury and traditional heritage. While the desire for semiotic analysis in the marketing and management domain is increasing, theoretical approaches and case study analyses too often remain superficial regarding the possibilities of semiotic approaches. Our study aims to present a complex analysing concept to fill this gap and apply it to the field of luxury brand management consequently. While semiotic research discusses many different approaches up to today, Peirce’s philosophy may be still regarded as one of the most complex concepts which allows the most precise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meaningful signs. On the basis of his three trichotomies and their major corresponding subcategories we analysed a traditional luxury shop design, discussing the different signs that produce simple to very complex structures of meaning with respect to approaches of creating a mythical frame. The results of our study reflect the need of a shop design using different signs with a complex texture of meaning to support the idea of traditional luxury.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cation theories, the semiotic patterns which are presented in our findings create a narrative frame which eventually leads to a specific myth of old luxury branding. While Peirce’s philosophy offers a complex approach, contemporary studies in marketing and management only use the surface of semiotics. Our study may contribute a rather distinguished methodology, though further research will be necessary to apply semiotics more reasonably not only for fashion and luxury but for several fields of interests in marketing and management research. For brand managers in companies with a traditional heritage, creating myths and classical frames must be of core interest. Our study offers several implications of using semiotic signs to create an aesthetic and old fashioned shop atmosphere. As original values, our study compiles a complex semiotic concept to analyse mythical framing in traditional luxury stores. Our results present specific possibilities of creating specific meaning with respect to the need of representing brand identity within a shop. However, the concept may be also valid for other analyses in marketing and management such as advertising and brand semiotics in general.
        6.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패션마켓은 소비자들의 각기 다른 개개인의 취향을 반영하여 더욱 세분화되고 있으며, 다양한 컨셉과 디자인을 선보 이고 있다. 패션과 패션색채는 사회⋅문화 맥락에서 상징성과 의미를 가지는 대표적 문화 기호이며, 인간의 근원적 욕구인 미적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자기표현과 차별화 수단으로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상징적 가치를 전달하는 시각기호’로서 패션 색채가 변화하는 의미를 지닌 가치대상이며, 동시에 사회적 승인을 기반으로 새로운 상징적 가치를 창출하는 가치행위로 패션마켓에서 사회현상과 함께 패션색채의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Barthes의 신화론과 Baudrillard의 소비이론에 근거하여 현재 패션마켓에서 색채의 기준이 되고 있는 중세에서 현대에 이르는 시기적 구분을 14 ~ 16세기 르네상스 전후, 18세기 중반 ~ 19세기 초반까지의 산업혁명 전후, 제 1,2차 세계대전, 20세기 이후로 나누어 특징적인 색채 5가지를 선정하여 기호학 관점으로 패션색채의 변화를 분석하였 다. 패션과 패션색채의 변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선행이론을 토대로 심층인터뷰를 통해 패션의 소비가치 변화, 패션색채 변화의 기호학적 함의, 현대 패션색채 변화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요인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 정성적 조사를 하였다.
        7.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는 일상생활 속에서 다양한 미적가치를 추구하며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화에 적응하며 발전을 위한 노력을 한다. 현대 화 과정 속에서 공예품이 지닌 전통 고유의 기법을 바탕으로 현대적 공예 디자인으로 발전해 나아가는데 보다 체계적이고 이론적인 의미창출을 위한 노력을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을 지닌 오색전지공예디자인에 적용된 문양은 공예품의 시 각적 특징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 것을 고려했을 때 대중에게 이해 범위를 향상시키고 정서적으로 많은 영향을 끼치는 등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문양의 상징성을 적절하게 활용한 오색전지공예디자인의 기호학적 분석을 통해 그 중 요성을 확인하고 심리적 문양표현을 객관화하는데 의의가 있다. 문양의 의미를 해석할 때 일어나는 의미작용인 기호학적 연구 결과, 오색전지공예디자인에 있어서 문양의 의미해석과 의미창출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선정된 사군자 문양은 도상, 지표, 상징의 세 가지 관점에서 살펴 본 결과, 오색전지공예디자인은 내포한 의미와 전반적인 이미지를 고려한 구성 에 따라 적절한 문양이 적용되어야 한다. 또한 문양은 다양하고 독창적으로 사용됨과 동시에 상징성을 내포한 적절한 의미 표현이 오색전지공예디자인의 이미지와 균일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양한 오색전지공예디자인의 조형적 인 구성이 내용의 깊이와 의미를 적절하게 반영하여야 한다. 따라서 오색전지공예디자인은 대중에게 아름다운 삶의 추구와 실용성을 겸한 생활용품으로 다가가야 할 것이다. 또한 앞으로 체계적인 의미작용을 표출시키는 오색전지공예디자인으로 서 보다 차원이 높은 작품 제작에 정성을 다하여야 한다. 본 논문을 기준으로 오색전지공예디자인의 생활 속에서 살고 있 는 우리는 작품을 제작하는데 객관적이고 이론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한 문양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호학적 의미작 용 분석에 대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가질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