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암은 오랫동안 한국인의 주된 사망원인이었으며, 주로 환경적 요인이 암 발생에 영향을 주고 있다. 암으로 인한 높은 사망률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지리적 및 환경적 요인이 암 발생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국내 사례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적 관점에서 갑상선암, 대장암, 위암, 폐암, 간암, 전립선암, 유방암을 포함한 주요 암의 발생률이 지리・환경적 요인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시군구 수준에서 계산된 암 발생률을 종속변수로 활용하였고, 암 발병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는 13가지 독립변수를 선정하였다. 종속변수의 공간적 의존성 및 군집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역적, 국지적 Moran ’ s I 통계량을 이용하였고, 암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OLS 및 공간회귀모형들을 활용하였다. 전역적 Moran 통계량과 LISA Cluster map을 통하여 암 발생의 공간적 패턴에서 공간적 자기상관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 OLS 회귀 분석을 통하여 암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파악하였다. 이때 대부분의 암에서 연령 효과가 강하게 나타났기 때문에 이를 통제하였다. OLS 모형의 잔차에서 공간적 의존성이 명확하게 나타남을 확인한 후, 공간적 의존성을 모형화하기 위하여 공간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유형 별 암에 대한 발생률을 설명하는데 있어 공간회귀분석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간적 의존성을 고려할 경우 암별로 영향을 주는 요인이 OLS 분석 결과와 상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공간통계분석을 통하여 암 발생에 영향을 주는 지리 환경적 요인을 보다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암을 예방하기 위하여 지역의 환경을 요인을 어떻게 개선할 것인지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5,200원
        2.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사회에서 대표적인 제3의 공간인 카페는 학업과 휴게 등에 중요한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카페를 방문 규모에 따른 공간적인 요구사항을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 좁은 카페의 경우, 더 넓고 높고 깊게 보일 수 있는 디자인 방법을 파악하는 것은 이용자나 디자이너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간의 깊이감과 머물고 싶은 의사의 관계를 시선추적기와 공간 이미지를 이용하여 연구한 것이다. 56명의 실내디자인 학생들은 15개의 렌더링으로 개발된 이미지를 함께 비교하여 보며, 어떤 공간이 가장 깊어 보이는지에 대해 응답하였다. 또한 주어진 공간을 카페로 가정하여 1인 방문 시, 그리고 단체로 방문 시 각각 어느 공간에 머물고 싶은지 응답하였다. 공간을 탐색하는 과정의 시선은 시선추적기를 통해 측정되었다. 연구의 결과, 동일한 규모의 공간일지라도 실내 및 가구요소에 따라 깊이감이 다르게 느껴짐을 보여준다. 어두운 벽에 작은 장식과 분리된 가구가 있는 공간이 밝은 톤의 벽에 큰 장식이 있거나 아예 장식이 없는 경우, 그리고 하나로 연결된 가구가 있는 공간보다 더 깊어 보인다고 인식되었다. 공간의 깊이 감은 1인 방문자에게 중요한 요소이나, 여럿이 방문한 경우에는 큰 고려 요소는 아니었다. 연구의 결과는 공간의 깊이감이 카페 방문객의 규모와 관련해 머물고 싶은 의도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밝히는데 도움이 되리라 본다.
        4,300원
        4.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aiming to figure out two things. First, knowledge of the change in spatial distribution of Tetranychus urticae depending on how to control it (using pesticide or natural enemy). Second, spatial association of T. urticae and Phytoseiulus persimilis in biocontrol plot (B.P). The data was analyzed by spatial analysis by distance indices (SADIE) using global aggregation index, Ia . Ia values were 0.77-1.37 in conventional plot (C.P) and 0.88-1.68 in B.P, respectively. However, the fluctuation level of Ia in B.P was higher than C.P.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clear spatial pattern change in B.P, i.e. prey’s spatial distribution is affected by natural enemy. And spatial association analysis showed that T. urticae and P. persimilis have positively associated. It means that T. urticae is relatively low mobile prey, and P. persimilis is relatively high mobile predator.
        5.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 local distribution of insect pest population should be changed in near future as well as their host. Even though well defined insect geographical distribution model is developed and projected its potential establishment in Korea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 it has defectiveness without geographical matching of its host. SADIE (spatial analysis with distance indices) allows improved interpretation of the spatial associations between two populations within a given sampling area because it is designed for data that are distributed in discrete areas with relatively well-defined boundaries, and measures the extent of clustering with subsequent testing for spatial patterns in relationships among sample locations. In this study, we calculated and analyzed the spatial association between the Ecoclimatic Index (EI) of light brown apple moth, Epiphyas postvittana, using CLIMEX, and projected farm land suitability of apple trees for the possibility of shift and matching geographical location of insect-host relationship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 in Korea.
        6.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patial association of entomopathogenic and free-living nematode populations were analyzed at the landscape scale. Free-living nematodes were classified into functional guilds based on their trophic level (i.e. bacterivores, carnivores, fungivores, and omnivores) and life history characteristics (i.e. r-selected colonizing versus K-selected persisting species) in the soil ecosystem. Differences in life history traits were hypothesized to result in different spatial associations of populations. Spatial aggregation indices were calculated for each nematode group. Spatial associations were analyzed and compared for entomopathogenic nematodes (EPN) and each trophic/life history group of free-living nematodes based on spatial analysis of distance indices (SADIE). Spatial aggregation indices (Ia) revealed that taxa with more K-selected persisting life history were less aggregated in their habitat, whereas more r-selected colonizer life history types showed more aggregation. Spatial aggregation index of EPN populations was similar to that of relatively r-selected colonizer type free-living nematodes, which share several life history traits including high reproductive rates and insect phoresy. There were substantial spatial associations between EPN and r-selected colonizer life history free-living nematode taxa.
        7.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spatial dependence and association of Ambrosia beetle, Platypus koryoensis, which is the vector of oak wilt disease caused by Rafaelea sp. using two geostatistical methods. Two adjacent sampling plots were selected and named as "Sector A" and "Sector B". Sector A area was 63 ha and Sector B area was 420 ha, respectively. We arbitrarily separated each sampling plot by 50m×50m grids. Sector A and B were separated by 19×15 and 43×41 grids, respectively. The oak wilt disease damage level of tree was classified by amount of frass of Ambrosia beetle near target oak tree as follows: Lost tree (LT), Severe damage (SD), Intermediate damage (ID), and Light damage (LD). Number of each damage level of oak tree was counted and recorded in each sampling grid. Spatial dependence and association of oak wilt damage was analyzed and compared using mathematical variogram models and spatial analysis by distance indices (SADIE). Variogram model ranges were 179~368m in Sector A and 634~1073m in Sector B, respectively. The damage levels of all trees in each sector were indicated as aggregated distribution by aggregation indices of SADIE (Ia > 1). Each damage level pair had strong association in the consecutive orders than in any random order based on the results of SADIE association test. The spatial dependence and association of oak wilt damage levels presented here provide the baseline information necessary to understand and manage oak wilt disease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