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spatial dependence and association of Ambrosia beetle, Platypus koryoensis, which is the vector of oak wilt disease caused by Rafaelea sp. using two geostatistical methods. Two adjacent sampling plots were selected and named as "Sector A" and "Sector B". Sector A area was 63 ha and Sector B area was 420 ha, respectively. We arbitrarily separated each sampling plot by 50m×50m grids. Sector A and B were separated by 19×15 and 43×41 grids, respectively. The oak wilt disease damage level of tree was classified by amount of frass of Ambrosia beetle near target oak tree as follows: Lost tree (LT), Severe damage (SD), Intermediate damage (ID), and Light damage (LD). Number of each damage level of oak tree was counted and recorded in each sampling grid. Spatial dependence and association of oak wilt damage was analyzed and compared using mathematical variogram models and spatial analysis by distance indices (SADIE). Variogram model ranges were 179~368m in Sector A and 634~1073m in Sector B, respectively. The damage levels of all trees in each sector were indicated as aggregated distribution by aggregation indices of SADIE (Ia > 1). Each damage level pair had strong association in the consecutive orders than in any random order based on the results of SADIE association test. The spatial dependence and association of oak wilt damage levels presented here provide the baseline information necessary to understand and manage oak wilt disease in Korea.
        2.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영국에서는 지역구분이 필요없고 상대적으로 긴 재현기간에 대해서도 안정적인 확률강우량 추정이 가능한 FORGEX (Focused Rainfall Growth Extension) 기법을 개발하여 강우자료의 지역빈도해석을 수행하고 있으며, 지역빈도해석에 적합한 모집단 성장곡선으로부터 네트워크 최대값(network maximum, netmax) 자료의 분포위치를 고려하기 위하여 영국 강우자료를 이용한 공간상관식(ln Ne)을 유도하였다. 이런 이유 로 영국에서 개발된 공간상관식을 우리나라에 적용할 경우 부정확한 확률강우량을 산정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 서는 우리나라 기상청 산하 유인관측소 지점 중 30년 이상의 긴 강우자료를 보유한 64개 지점의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공간상관식을 유도하였다. 지점 간의 합리적인 비교를 위해 1973년부터 2014까지를 기준기간(reference period)으로 정하였고, 강우지속시간, 지점 수, 네트워크 면적 등 3가지 변수를 고려하여 공간상관식을 유도하였다. 유도된 공간상관식을 FORGEX 기법에 적용하여 지역빈도해석을 수행하였고, 기존의 영국식을 이용하여 산정한 확률강우량 값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새롭게 유도한 공간상관식은 기존의 영국식 보다 정확 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FORGEX 기법에 적용한 결과 영국 공간상관식은 새롭게 개발한 공간상관식보다 확률강우량을 과소 추정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존 FORGEX 기법에서 내포하고 있는 부정확성을 보완할 수 있고, 긴 재현기간에 대한 확률강우량을 보다 정확하게 추 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