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focuses on the architectural changes of stele pavilion at the royal tombs of Joseon Dynasty. Throughout the survey on overall forty two stele pavilions, they were classified into basic type, expanded type, and 4-side corridor type. Basic type was usually used for general small stela, while expanded type was for extraordinarily large ones. 4-side corridor type, however, turned out to be used for both small and large stela and has appeared only during King Gojong period(高宗年間, 1863-1907). When it was first applied at Geonwolleung(健元陵) in 1870s, the purpose of 4-side corridor type seemed to stabilize the enlarged structure due to the size of the larger stele. Later, 4-side corridor type was repeated for small stela at Hongneung(洪陵) and Yureung(裕陵) in 1898 and 1904 respectively, to express higher dignity of Daehan Empire(大韓帝國). This type of plan continued to other pavilions in the center of Seoul such as Kinyeombijeon(紀念碑殿) and Seokgojeon(石鼓 殿) that were built in 1903 with sophisticated proportion and multiple brackets. This architectural change implies that stele pavilion itself has become more significant than stele inside.
        4,000원
        2.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선 중기의 문신 이산해는 1576년에 <이달선비>, 1577년에 <이언적신도비>, 1585년에 <조광조신도비>를 썼다. 30대 후반부터 40대 중반까지 쓴 삼비 중 첫 비인 <이달선비>는 조선시대 승정원 좌부승 지를 지낸 문장가 이달선(1457-1506)의 묘비로, 전남 화순군 화순읍 앵남리 도덕산 아래에 있다. 윤구가 비문을, 이이가 추기를 짓고, 비액과 양면의 글씨는 모두 이산해가 써 당대의 명문장가와 명필의 조합이 환상적인 의미 있는 비다. 전서와 해서로 쓴 이산해 글씨의 출중함은 그가 조선 중기의 명필임을 분명히 말해 준다. 이 글은 두 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은 <이달선비> 글씨의 특징을 살펴 그 서예사적 가치를 찾아보기 위한 것이다. 변화가 많은 비액의 전서는 물론 정연하면서 행기가 부분적으로 있는 전면의 해서, 행서의 필의가 농후한 후면의 해서까지 조금씩 다른 느낌으로 쓰여 <이달선비>는 첩에서는 느낄 수 없는 이산해의 특출한 솜씨를 보여 준다. 동시에 비 상부의 원형, 전서의 원필, 해서 비문의 유려한 서풍이 종합적 조화를 이룬다. 이런 이질감과 동질감을 동시에 표현한 이비는 문화재적 가치가 큰 금석문이다. 이산해는 조선 초기의 유행 서풍인 송설풍을 잇고, 중기의 유행 서풍인 석봉풍과 부분적으로 그 맥을 같이 하면서 동시에 풍후한 안진 경풍도 드러냈다. 그러나 그들에 머물지 않고 힘차면서 유려하고, 노 련하면서 능통한 자신의 독창적 서풍을 창조하여 일가를 이룬 명필 이다. 따라서 그의 나이 38세에 쓴 첫 비인 <이달선비>의 서예사적 가치도 마땅히 그의 서예적 명성에 걸맞게 평가되어져야 한다.
        6,600원
        3.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aboo character is typical phenomenon of Chinese characters system, it is considered as the effective key in decrypting the date of Han-Nom texts inscirption texts. Such key is maintained clearly on the ancient books add steles of Vietnam, specially Taboo characters system in the insription texts of Tran Dynasty (1225-1400). Based on research results, we have found a new form of Taboo character previously published in studies in Vietnam Taboo characters. Such new characters forms have helped us easily discover in cription texts at the date of Tran dynasty in Ninh Binh. This is the useful and reliable source for researching of Vietnam Taboo characters in particular and ancient books of Vietnam in general.
        4,500원
        4.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research platform of digitized ancient Chinese stele inscriptions has four functions: ⑴ the digitized collection and management of stele rubbings, ⑵ the textualization of stele inscriptions and the full‐text retrieval, ⑶ the detailed description of stele attributes and the stele retrieval based on the attributes, ⑷ the collection of Chinese glyph pictures from stele inscriptions and the single glyph retrieval. There are four kinds of digitized resources stored in the platform: ⑴ the scanned pictures of stele rubbings, ⑵ the text of stele inscriptions, ⑶ the attributes of steles, like their times, sites, sizes, owners, calligraphers and so on, ⑷ the single Chinese glyph pictures of stele inscriptions.  All those works can be performed on the research platform. Workers should log in the platform with given name and password at first. Then they can set storing directories of digitized resources, upload scanning pictures of stele rubbings, type‐in texts of stele inscriptions, mark stele attributes, pick up single Chinese glyphs from steles and classified them with abstract characters into three layers (Ziyang, Ziwei, Zizhong, which are terms in Chinese Ideography. 淚 and 泪 belong to the same Zizhong because they were used to record the same word “tear” in Chinese. 群 and 羣 belong to the same Ziwei because they have the same structure meaning but different writings. Two glyphs, only used to record the same word and have the same writing, belong to the same Ziyang).  After all the digitized works, a guest can access those stored resources through three kinds of retrievals: ⑴ Find steles of certain dynasty which contain specified content in their names, ⑵ Find steles of certain dynasty which contain specified text in their inscriptions, ⑶ Find Chinese glyphs of a specified character appeared in stele inscriptions of a certain dynasty stored in the plat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