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0.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examined the role of L1 writing on L2 writing performance by repeating the same topic twice through L1 writing first and L2 writing later. We designed what we call a ‘L1 + L2 writing task’ and a ‘L2-only writing task’ respectively. In the L1 + L2 writing task, students wrote a text in their L1, and wrote the same topic in L2, by removing the initial L1 essay. We focused on validating which task conditions (± L1 writing) account for the variation in linguistic performance in EFL high-school students’ writing. Our study was conducted with two intact classes (n = 60) assigned to the L2-only, and students from the other two classes (n = 60) assigned to the L1 + L2. The findings indicate that L1 writing may push students to direct their attentional resources toward effective text construction, thereby mitigating a large number of simultaneous demands on attention. We add to empirical knowledge on the effects of L1 writing in task repetition, by exploring how task repetition affected our students’ L2 writing performance.
        5,100원
        2.
        201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에서는 한시 교육 평가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관련 연구 성과와 한문과 교육 과정에서 한시교육에 해당하는 내용을 검토하였다. 한시교육평가의 현황은 한문과의 대표적인 대단 위 평가인 대학수학능력시험 ‘한문’ 영역의 한시 평가 문항과 학교 단위에서 이루어지는 평가 문항 및 도구를 살펴보았다. 이론적 검토와 현황 분석은 한시교육 평가의 방향을 모색하는 토대가 될 것 이다. 한시 교육 평가 관련 연구는 주로 한문 교과서 소재 한시 평가 문항 분석, 문학 교육 평가, 교육과 정 분석, 한시 텍스트의 수준과 범위 등에 대한 것이 대표적으로 이루어졌다. 이 글에서는 한시 교육의 전반을 살펴 한시 교육의 평가의 방향으로 첫째, 한시 교육의 목표 점검 을 통한 한시 평가 방향 모색, 둘째, 학생의 문학적 경험을 표현할 수 있는 평가, 셋째, 교육과정 실행 차원에서의 한시교육 관련 교육과정 재구성, 넷째, 한시 텍스트의 수준과 범위에 대한 논의의 구체화 등을 제시하였다.
        5,700원
        3.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tivity ratios of global trunk muscles and local trunk muscles in relation to adjustments in the level of task difficulty while performing stability exercises in easily applied bridging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Twenty healthy subjects performed bridging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while the level of task difficulty was plate was used in the same posture for all the exercises. EMG was used to examine the activity ratios of the global muscles and multifidus in relation to the level of task difficulty. Moreover, the activity ratios of the multifidus muscle, the erector spinae and the gluteus maximus muscle were measured. A on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was used, and a Bonferroni correction was conducted (=.05). When the bridging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were performed at different difficulty levels, the activity of the multifidus muscle, which is a local muscle, was high in all three exercises. Also, compared to low intensity and intermediate intensity exercises, high intensity exercises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05). Among all the muscles, the multifidus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t intermediate intensity.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in the case of bridging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low intensity or intermediate intensity exercises are more suitable and efficient for local muscle stabilization.
        4,000원
        4.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회교육이라 함은 다른 법률에 의한 학교교육을 제외하고 국민의 평생교육을 위한 모든 형태의 조직적인 교육활동으로 개인 또는 공동체 생활의 상황 흐름 속에서 즉각적으로 가치화되고 있는 학습을 생산하는것이다. 이 범주에는 방송과 언론 매체를 활용한 것과 사회(평생) 교육원, 사설 학원 등의 교육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것, 학습지와 인터넷 컨텐츠를 이용한 것 등이 모두 포함되는데 다만 조직성․의도성․체계성이 미약한 우연적 교육과 무형식 교육은 제외된다. 시청각자료를 통한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를 환기시키고 그들의 주의를 집중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강한 학습 동기를 유발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학습에 임할 수 있도록 한다. 또 학습자의 질과 양의 폭을 넓혀서 학습의 효율화를 도모하고 학습 결과를 오래 기억할 수 있도록 하며 정확한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도 한다. 이를 통해 볼 때 방송 매체를 활용한 한자․한문 교육은 사회 교육 차원의 한자․한문 교육의 목표를 성취하는 데 더없이 효과적이라 하겠다. 다만 교육 방송을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한자․한문 교육 관련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하여 보다 체계적으로 조직될 필요가 있으며, 정규 교육 과정기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의 경우 한문과 교육 내용 체계를 고려하여 이를 보완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짜여졌으면 한다. 평생(사회) 교육원은 많은 성인들에게 배움의 기회를 확대하여 그들의 지적․문화적 수준을 높이고, 직업적․사회적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평생(사회) 교육원을 통해 이루어지는 한자․한문 교육 프로그램은 자격증 취득 과정에 개설된 한자(한문)지도사과정과 四書나 『古文眞寶』등의 동양 고전을 내용으로 한 교양 강좌가 있다. 그러나 교양 강좌는 학습자의 수준이 다르고 요구 사항이 달라 체계적이고 일관되게 강의를 진행하지 못하였으며, 자격증 취득 과정은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절대 時數부족으로 효율성에 회의를 갖게 하였다. 까닭에 명확한 교육 목표를 설정과 교육 목표를 달성을 위한 보다 체계적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私設機關의 한자․한문 교육 프로그램은 정규 교육과정과 연계된것도 있고 각각의 독자적 프로그램도 있다. 체계화된 이들 프로그램은 사회 교육 차원에서의 한자․한문 교육의 역할을 비교적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몇몇 프로그램의 경우 수업 방식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는데 이를 잘 보완한다면 정규 교육의 보완 형태로 훌륭한 역할 수행이 될 것으로 보인다. 사회 교육이 시공간적 제약을 넘어 개인이나 공동체 생활 속에서 이를 필요로 하는 개인이나 집단에게 즉각적 가치로 제공되는 것이지만 정규 교과 과정의 보완이라는 현실적 상황도 도외시할 수는 없을 것이다. 까닭에 이를 교육하는 당사자나 학습하는 사람은 한문과 교과 내용 체계에 대한 이해와 한자․한문 교육을 통해 이루게 될 실제적 가치를 아울러 구현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9,000원
        5.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위기상황이 발생하면 철도승무원은 신속하고 정확한 판단 및 대응을 도모하는 비상대응 매뉴얼을 토대로 대처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 운영기관의 비상대응 매뉴얼을 관제사·기관사·역무원으로 구분하여 각 직무별 현장에서 수행해야 하는 사항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이를 통해 개선되어야 하는 점을 도출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총 12개의 도시철도 운영기관의 매뉴얼을 종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 현재 비상대응 매뉴얼대로 진행되지 않을 가능성, 즉 문제점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매뉴얼 상 가장 큰 문제는 기관사에게 모든 방재계획이 집중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는 기관사가 모든 상황을 인지 후 파악하여 조취를 취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다시 말하자면 기관사가 부상을 입거나 사망하였을 경우에는 관제소에서 사고를 인지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부차적으로는 기관사 및 차장과 관제사 간의 소통이 일부 시스템에서 일방 채널로 소통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문제로 들 수 있다. 이처럼 일방 채널로 형성되면 정보 공유에서 차장이 우선순위에서 밀리게 되어 차장이 사고를 인지하는 데 늦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사고의 특성 및 규모에 따라 피해가 확대될 우려가 있다. 사고의 피해 정도는 철도승무원 간의 소통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러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비상상황에 대한 직무 연계성과 업무 특성, 대응 시간 등을 고려하여 기관사에게 집중된 역할을 분산시켜야 할 것이며, 전반적으로 매뉴얼 개선이 어려운 경우에는 최소한 기관사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패닉룸 설치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철도운행 환경의 변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철도운영 종사자 수는 감소하고 한 사람당 수행하는 직무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으므로, 비상상황에서 매뉴얼이 이와 같은 여건 하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무인운전 시스템의 경우에는 수분 동안 승객이 외부로부터 고립될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