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엉겅퀴를 대상으로 식물부위, 건조방법에 따른 총플라보노이드와 apigenin 함량 분석 및 엉겅퀴차의 소비자 기호도 검사를 수행한 결과, 잎에서 추출된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꽃 및 줄기의 순서로 나타났다. 건조 방법에 따른 총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잎과 꽃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줄기에서는 동결건조와 오븐건조가 자연건조보다 높게 나타났다. Apigenin함량도 잎에서 가장 많이 확인되었으며 꽃, 줄기의 순서로 나타났다. 건조방법에 따른 apigenin함량 변화는 엉겅퀴의 잎과 줄기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꽃에서는 동결건조와 자연건조보다 오븐건조에서 그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소비자 기호도 검사에서는 엉겅퀴꽃잎혼합차의 선호도가 엉겅퀴잎차 보다 높았으며, 이러한 제품이 시판될 때의 구매의향도 엉겅퀴꽃잎혼합차가 엉겅퀴잎차보다 높게 나타났다.
녹차, 부분발효차 및 발효차 등 다양한 차제품 117개 제품을 수집하여 분말화하여 측색계로 각 차제품의 표면 색상을 측정한 후 NIRS를 이용하여 가시광선 대역(400~700 nm)에서 스펙트럼을 얻어 중회귀분석에 의해 각각 색상 관련 특성에 대한 검량식을 작성하였다. 1. 측색계로 제품의 색상을 측정한 결과 CIE color scale에서 L값(6.98), a값(0.25) 및 b값(15.42)이 높았으나, a/b(0.09)값은 Hunter color scale에서 높았다. 또한 색상관련 특성 a* (a)와 a*/b* (a/b)의 변이계수가 317.2~327.5% 와 293.8~316.7% 로 제품간 변이성이 매우 컸다. 2. CIE color scale와 Hunter color scale에서 발효정도(X9 )의 변이를 a*/b*(X4) 나 a/b(X8 )로 99.7% 설명될 수 있어 a*/b* (a/b)값으로 차제품의 발효정도를 추정할 수 있다. 3. Modified partial least square(MPLS)를 이용하여 작성된 검량식의 결과 두 color scale을 종합하여 L값의 검량식 작성시 결정계수(R2 )는 0.973~0.977 , 검증시 상관도(1-VR) 0.969~0.972 , a값의 결정계수는 0.999, 검증시 상관도 0.998, b값의 결정계수는 0.858~0.902 , 검증시 상관도 0.833~0.888 , a/b값의 결정계수는 0.997, 검증시 상관도 0.993으로 매우 높았다. 4. 차 제품 표면 색상관련 특성들(CIE color scale; L* , a* , b* , a*/b* , Hunter color scale; L, a, b, a/b)의 검량식 정확도가 매우 높아서 NIRS의 가시광선 대역(400~700nm )에서 이들 특성을 용이하고 정밀하게 측정할 수가 있으며, 또한 근적외선 대역(900~2500nm )에서 기존 성분분석 화일과 병합하여(merge) 차 제품의 표면 색상 및 화학적 성분을 1~2 분내로 동시에 측정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