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3.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systematically analyzed research trends of North Korean defectors’ English education in South Korea using the scoping literature review method. From 2001 to 2022, research on this topic was categorized into three phases: 1) Phase 1 (2000-2011), 2) Phase 2 (2012-2019), and 3) Phase 3 (2020-Present). Each phase was analyzed using school levels, themes, and research methods. Approximately a quarter of previous research investigated alternative schools for North Korean defectors, with students having difficulties with their limited English learning experiences. Research themes mainly concentrated on learner factors (48 papers), followed by educational contexts and teaching methods (21 papers). Most studies on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for North Korean defectors adopted qualitative methods focusing on a small number of participants. Regarding research methods, studies adopting qualitative methods accounted for 48.0%, whereas studies using quantitative ones accounted for 10.4%, reflecting the limited research opportunities to collect a large set of data from various North Korean participants in South Korea.
        7,700원
        2.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Korean listening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and suggest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sulted a total of 57 pre-existing studies, including 32 articles in academic journals, 21 masters’ theses, and four doctoral dissertations conducted from 2005 through December 2021.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o examine the trends by year and type, comparing the 2010s to the 2000s when the research began.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studies greatly increased in the 2010s, and the frequency of studies in the 2020s tend to increase further. Second,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trends by topic, it was found tha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most studied and that there were also many studies concerned with strategy. However, there were relatively fewer studies on evaluation and curriculum. Thir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rends by research method. It was found that the studies mostly employed the survey method, followed by quantitative mixed method and experimental approaches. Consequently, it was noted that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most widely used in the field of listening to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and at the same time, since all studies that used mixed research methods employed another research method along with the survey method,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the survey method was the dominant type of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5,500원
        3.
        2024.0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 어휘의 선정과 배열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 다. 이를 위해 2000년 이후 발표된 248편의 연구를 연도별, 연구 대상 별, 어휘 유형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도별 동향으로 상 승과 하락을 반복하며 전반적인 상승세를 이어왔다. 연구 대상의 학습 목적으로는 ‘일반 목적’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고, 학습자 언어권으로 는 언어권과 상관없이 진행된 ‘범언어권’ 연구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 며, 학습자 숙달도로는 ‘전체급수’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어휘 유형으로는 ‘학술 어휘’, ‘주제별 어휘’, ‘한자어’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이에 향후 학습자의 학습 목적 및 배경, 언 어권, 숙달도 등 변인을 구체화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다 양한 학습 목적 및 언어를 가진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다양 한 어휘 유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4.
        2016.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식기반 사회로의 변화에 따라 교육의 모습 역시 달라졌다. 그 중 하나가 바로 디지털 교과 서의 출현이다. 디지털 교과서는 디지털 이주민 세대와는 다른 디지털 원주민 세대에 적합하게 개발 및 적용되어야 긍정적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디지털 교 과서에 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는 것이 우선시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후 이를 바탕으로 한계 를 보완해 나가며 지속적인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교과서 연 구 중 국내 국어과에 초점을 맞추어서 연구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국내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연구는 디지털 교과서의 전반적인 연구 흐름과 일맥상통하며, 현재 국어과 디지털 교과 서 모형 개발 및 이의 효과성 검증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하지만 그 대상이 초등학교급에만 한정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무엇보다도 국 내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연구 흐름을 살펴봄으로써 이에 대한 관심이 매우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연구의 미흡은 대표적으로 국내 국어과에서의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연구물의 수 를 통해 알 수 있다. 이러한 관심의 부족은 향후 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디지털 교과서의 적용 및 활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그러므로 연구자는 디지털 교과서에 대해 많은 관심 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연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