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ontact Lens Educators(IACLE)가 실시하는 STE결과를 분석하여 한국에서의 콘택트렌즈 교육 실태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10년 IACLE에서 주관한 STE에 참여한 12개 대학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시험성적을 분석하여 대학 및 국가간 비교를 실시하였다. 결과: 12개 대학의 평균은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하여 54.01점이었으며 평균 합격률은 62.75%였다. 문항을 주제별로 7개 부류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평균 점수는 각각 전안부 해부 및 생리 48.73점, 콘택트렌즈 디자인 및 관리 46.14점, 콘택트렌즈 피팅원리 49.08점, 환자 검사 및 콘택트렌즈 처방 73.37점, 콘택트렌즈 관리 및 유지 66.12점, 콘택트렌즈에 대한 안구 반응 55.45점, 콘택트렌즈 착용으로 인한 부작용 52.54점으로 나타났다. 교육기간에 따라 2,3년제 대학과 4년제 대학을 비교해 본 결과 2,3년제 대학의 평균 점수가 53.35점, 4년제 대학의 점수가 54.94점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국가간 비교에서는 중국, 인도, 프랑스, 독일에 비해 한국 학생들의 점수가 다소 낮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결론: 평균점수와 합격률에 있어 학교 및 과목 사이에 편차가 확인 되었다.
        4,000원
        2.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굴절검사 과정에서 자각식 굴절검사를 실시하거나 처방도수를 최종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검안렌즈 세트의 국내 표준규격 및 품질관리가 미흡한 실정이므로, 실무에서 검안 렌즈를 사용하는 사람의 신뢰도를 조사하고 검안렌즈의 품질을 조사하여 외국의 규격과 비교 분석하여 적절한 규격을 제시하고자 한다. 검안렌즈 세트를 사용하는 안경사를 대상으로 신뢰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국내에서 제조된 제품과 수입 제품을 5년 미만, 5년 ~10년 및 10년 이상 사용하고 있는 검안렌즈 세트를 5개씩 선정하여, 광학적 품질을 측정하여 국제규격 (ISO9801)과 비교 분석하였다. 사용 중인 검안렌즈의 신뢰도는 190명(80%)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검안렌즈의 굴절력이 정확하다고 신뢰하며 구입 후 한 번도 품질을 확인하지 않았다고 응답했으며, 226명(95%)이 검안렌즈를 사용할 때 일부 굴절력의 렌즈가 누락되어 불편하기 때문에 누락된 도수를 추가시켜야 한다고 응답했고, 231명(97%)이 한국 산업규격을 국제규격 수준으로 개정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실제 검안렌즈의 굴절력을 측정하여 국제규격을 적용했을 때, 마이너스 구면렌즈에서 130개(30.8%), 플러스 구면렌즈에서 84개(21.5%), 마이너스 원주렌즈에서 46개(30.7%) 및 플러스 원주렌즈에서 12개(8.0%)가 허용오차를 벗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내에서 유통되는 국산 및 외산 검안렌즈세트의 품질을 강화하므로 국민의 안보건 향상과 정확한 시력검사를 통한 시기능 관리를 위해서는 한국 산업규격(KS P4402)을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조속히 개선시켜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300원
        3.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프트 콘돼트렌즈를 처방할 때 사용하는 시험렌즈용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소독방 법은 방법이 간편하며 소독효과가 확실하고 무엇보다 콘택트렌즈의 기하학적 형태에 변화를 주지 않는 방법으로 선택되어야 하나,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관리방법과 사용 횟수에 따른 렌즈의 기하학적언 디자인의 변화 등에 관한 연구는 미홉한 실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일정한 변수를 갖는 제 I 그룹렌즈 및 제 W 그룹렌즈를 대상으로 열소 독, 화학소독, 멸균, 전자파소독을 반복 시행하면서 이에 따라 나타나는 콘택트렌즈의 기하학적 변수 변화값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세척과 소독방법에 따라 콘택트렌즈의 형태변화를 관찰한 결과 제 I 그룹렌즈는 세 척과 열소독, 화학소독, 멸균, 전자파소독을 30 회 반복 시행할 때까지 콘택트렌즈의 전반적인 형태가 잘 유지되었으며 콘택트렌즈의 변수에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제 N 그룹렌즈에서는 열소독과 멸균, 전자파소독에 의해 렌즈의 형태가 왜곡되었고 굴 절 력, sagittal value, 직 경 모두에 변화가 나타났다 각 변수의 변화값은 임 상적 인 허 용값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콘택트렌즈의 모뜬 변수에 변화가 초래되었기 때문에 콘 택트렌즈의 피팅상태와 착용감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제 I 그룹 시험 렌즈의 경우에는 멸균볍을 포함한 모든 소독방법이 시험렌즈의 소독방법으로 가능하 다고 생각되며, 제 W 그룹 시험렌즈의 경우에는 콘택트렌즈 변수 변화가 가장 적은 화 학소독방법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